[타당도][신뢰도]타당도(심리검사)의 정의, 타당도(심리검사)의 종류, 타당도(심리검사)의 역사, 신뢰도(심리검사)의 정의, 신뢰도(심리검사)의 종류에 관한 분석(타당도, 신뢰도, 심리검사, 심리검사도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타당도][신뢰도]타당도(심리검사)의 정의, 타당도(심리검사)의 종류, 타당도(심리검사)의 역사, 신뢰도(심리검사)의 정의, 신뢰도(심리검사)의 종류에 관한 분석(타당도, 신뢰도, 심리검사, 심리검사도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타당도(심리검사)의 정의

Ⅲ. 타당도(심리검사)의 종류
1. 내용 타당도
2. 구인 타당도
3. 기준에 의한 타당도

Ⅳ. 타당도(심리검사)의 역사
1. 역사
2. 성숙
3. 검사
4. 측정도구의 변동
5. 통계적 회귀
6. 선발
7. 탈락
8. 선발․성숙 상호작용

Ⅴ. 신뢰도(심리검사)의 정의

Ⅵ. 신뢰도(심리검사)의 종류
1. 반분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2. 문항-전체 상관계수(item-total corr.)
3. 알파계수(Cronbach`s Alpha)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이론의 신호와 잡음의 관계로 설명하고 있는데, 우리가 어떤 정보를 보내려고 할 때 그 속에는 진짜 보내려는 신호를 갖고 있다. 이 때 마치 라디오의 소리를 크게 하면 소리는 커져서 들으려는 음악은 크게 들리지만, 동시에 잡음도 크게 들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보량 진폭을 크게 하면 신호는 커지지만 동시에 잡음도 커지는 원리는 신뢰도에 비유 될 수 있다. 신뢰도란 잡음이 합해진 정보량 속에 진짜 보내려는 신호가 얼마나 차지하고 있느냐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오차의 원천은 어디서 발생하는가? 검사가 잘못되어 그럴 수도 있고, 검사 받는 개인의 기분이나 특수조건에 따라 점수가 변할 수도 있고, 검사 받는 상황의 조건이 어떠냐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채점 눈금을 보는 방법에 착오가 생겨 그럴 수도 있다. 이것들이 모두 신호를 내보내려는데 알게 모르게 끼어 드는 잡음이 되는 셈이다. 신뢰도는 정보를 통해 보내려는 신호의 부분이고 이것이 합쳐져 한 개인의 관찰치 정보량이 되는 것이다.
앞의 내용을 종합하여볼 때 신뢰도(信賴度;reliability)란 어떤 검사의 내적 일관성에 대한 통계적 용어로서,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이다.
신뢰도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째는 측정의 표준오차이다. 이것은 단일한 측정대상을 같은 측정도구를 가지고 여러 번 반복 측정한 결과 어느 정도로 같은 결과를 얻느냐의 일치성에 기초를 둔 항상성, 예언성의 개념이다. 만약 얻은 측정이 신뢰롭다면 여러 번 측정한 결과는 같게 나올 것이고 그렇지 못하다면 그 변화 정도는 클 것이다. 이것은 어느 특정한 개인이 측정치내에 존재하는 변산이 원천이기 때문에 개인내 변산의 일관성을 문제삼는 경우이다.
둘째의 접근 방법은 한 집단의 피검사자에게 측정을 두 번 실시하고 첫 번째 실시했을 때의 측정치의 상대적 순서와 두 번째 실시 했을때의 상대적 순서가 어느 정도 일관성이 있느냐를 보는 방법으로, 처음의 측정치와 또 한번의 측정치 사이에 점수의 상대적 순서의 ‘일관성 정도’를 보아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변산의 원천을 개인간의 점수에 두기 때문에 개인간 변산 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개념은 곧 측정치의 안정성 ,신뢰성, 예언성 을 그 관심의 대상으로 삼는 신뢰도 측정방법이다.
Ⅵ. 신뢰도(심리검사)의 종류
1. 반분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어느 속성(변수)에 대해 여러 개의 문항으로 측정을 할 경우, 무작위로 문항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측정치들간의 상관관계로서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2. 문항-전체 상관계수(item-total corr.)
위와 같은 경우에 전체문항의 종합점수와 각 문항점수간의 상관계수를 구한다. 이때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나는 문항은 제거해도 무방하다.
3. 알파계수(Cronbach\'s Alpha)
가능한 모든 반분신뢰도를 구하여 평균한 값이 알파계수이다. 한 응답자의 알파계수는 0.9이상, 전체표본의 알파계수는 0.6이상 되어야 바람직하다.
*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오차의 근원)
① 시간의 안정성 - 시간의 변화에 따라 검사점수가 달라진다.
② 문항표준의 적부성(適否性) - 학습한 내용 중에서 골고루 출제될 때 신뢰도가 높다.
③ 문항의 동질성 - 검사문항이 동질적일 때 신뢰도가 높다.
④ 집단의 특징 - 동질집단의 신뢰도는 이질집단보다 높다.
Ⅶ. 결론
심리검사를 가장 단순하게 정의한다면, 심리적 현상에서의 개인차를 비교하고 개인의 전체 인격적, 행동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적 측정(psychological measurement)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검사가 심리학적으로 측정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심리검사를 정의하기에 앞서 우선 심리학적 측정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심리학적 측정이란 개인의 행동을 특징짓는 성질, 즉 심리적 특성을 수량화하고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심리학적 측정은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한 간접적인 측정이다. 왜냐하면 심리적 특성은 추상적인 구성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리학적 측정은 구성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측정도구인 심리검사를 제작하고, 심리검사를 통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만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심리검사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한다면, 심리검사란 두 사람 이상의 행동을 비교하는 체계적 과정이며 행동의 표본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정의에서 심리검사에 대한 몇 가지 주요 개념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본다.
첫째, 심리검사는 개인의 대표적인 행동표본을 심리학적 방식으로 측정한다. 즉 개인 행동을 모두 측정해보지 않더라도 소수의 표본 행동을 측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전체 행동을 예견할 수 있게 해준다. 검사 제작과정에서 문항선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조건은 충족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러한 심리학적 측정은 표준화된 방식에 따른다. 표준화란 검사를 시행하고 채점하는 과정이 일정한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검사의 표준화는 심리검사 반응이 실시조건이나 채점방식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해주고 검사 반응이 순수한 개인차를 나타낼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셋째, 심리검사는 체계적 과정이다. 이는 하나의 심리검사가 여러 개인들에게 실시될 때 동일한 종류의 정보가 수집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표준화와 체계화 조건으로 인하여 주관적 판단을 방지해주며, 양적 측정을 통하여 개인간 행동을 비교할 수 있고, 횡단적인 시행을 통하여 개인내 비교도 가능하게 해준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김중술(2001),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영애(1997), 이상 심리학, 서울 하나의학사
김성곤(2000), 심리검사 이론과 실제, 한국가이던스
박영숙, 심리평가의 실제, 하나의학사
박아청(2001), 성격 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이현림, 교육심리와 진로지도, 영남대출판사
최정윤(2002),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0.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