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정약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다산의 생애와 사회적 배경
2. 사상과 사회복지와의 연관성
3. 업적과 저서

본문내용

홍역에 대한 연구서로 卷末에는 홍역유행의 원인을 적고 있는「의령」이라는 의학논문이 실려 있다.
아언각비
(1819년)
갖가지 용어 379개를 93항에 걸쳐 그릇됨을 고치고 올바른 뜻을 바로잡은 책임.
보완
이담속찬
392항에 걸친 속담을 모은 책으로서 신작과 형 약전의 도움과 이익의 <백언>들을 참고하여 편저.
보완
문헌비고간오
(1800년)
이만은이 편찬한 <문헌비고>를 수정 · 윤색하여 내놓은 정정본이다.
심경밀험
(1권)
(1815년)
<소학지언>과 함께 육경사서에 대한 연구에서 터득한 바를 실천하기 저술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쓴 수양서.
<대학공의> 권말에 수록
교육
소학지언
(1권)
(1815년)
소학에 대한 이전 학자들의 注를 보완하였다.
소학주관
(1811년)
아학편>과 함께 아동의 교육서로서 좋은 구슬을 꿰어서 보물을 만들듯이(珠串) <소학주관>에서 古經에 나오는 名物 중 학문에 도움이 되는 300조를 골라 숫자순으로 정리하였다.
여유당전서>
文集에 수록
아학편
(2권)
(1811년)
한자 2천자를 有形之物·物情·事情에 관계된 글자로 나누어 八字一韻으로 정리하였다.
구분
서 명
내 용
비 고
논어
論語古今註
(40권)(1813)
洙泗學的 古義에 충실하여 논어 521장중 1/3에 해 당하는 175조의 異義記錄를 총괄하여 卷頭에「原義 總括」로 묶고 본문에서 원문과 古今의 註를 집성
제자 李綱會 · 尹동이 도움
論語對策
(1791)
규장각의 月課에 제출
『論語古今註』卷末에 있음
春秋聖言蒐
『春秋』 · 『國語』에 나오는 공자의 언행 63장을 편집
論語手箚
(3권)
『論語古今註』의 底本이 되는 저술로 판단되는 것 으로 원문을 선별하여 주를 담
逸本 3권만 존재하며 <여유당전서> 文集에 수록
맹자
孟子要義
(9권)(1814)
역대의 주를 편집하고 자신의 비판적 견해를 덧붙 인 저술로 性嗜好說을 주장하고 4단에 대해 독창적인 견해를 피력
대학
大學講義
(1권)(1789)
정조가 창경궁 희정당에서 초계문신들을 불러 대학 강론하게 할 때 발표한 것을 정리
原題『熙政堂大學講義』
大學公議
(3권)(1814)
古本『대학』을 27절로 나누고 각 절에 대한 역대 의 주와 자신의 견해를 정리한 책으로『大學章句』 에서의 주희의 견해를 비판하고 있다.
<小學枝言>과 <心經密驗>이 卷末에 붙어 있음
중용
中庸講義補
(6권)(1784)
經義進士로 太學에서 수학 중 정조가 내린『中庸』 에서 의심스러운 70條에 대한 질문에 이벽과 상의 하여 답한 저술(甲辰本)
1793년 갑진본을 재정리(明禮坊本)
中庸自箴
(3권)(1814)
비교적 고증이 부차적이며 원문의 충실한 해석에 중점을 둔 것으로 이전의 양본(갑진본과 명례방본) 과 직접적 관계가 없는 독자적 서술형식을 취함
시경
시경강의
(12권)(1809)
1791년 정조가 40일 기한으로 냈던 시경조문 800여조에 대한 대답형식으로 저술된 강의물로 1809년 재정리
자찬묘지명에는 모시강으로 되어있다.
시경강의보
(3권)(1810)
시경강의를 보완한 뜻에서 저작
풍증으로 고생하던 때라 제자 이청이 받아씀.
서경
매씨서평
(9권)(1810)
매색의 고문 25편이 위서임을 밝힌 책.
일명 <매씨상서평>
상서고훈
(6권)(1810)
매씨서평중에서 밝힌 고문 25편의 미서를 제외한 금문 28편의 고훈을 정리한 책. 일명 고훈수략
1834년 봄, 상서지원록을 조별로 나누어 고훈수략의 해당부분에 합친 상서고훈 21권을 편집
상서지원록
(7권)(1811)
경문의 대의를 파악
독상서고전
(1권)(1827)
홍석주의 상서보전을 읽고 쓴 독후감
함씨고문소
증초
(8권)(1827)
함약거의 고문상서 소증을 읽고 이에 대한 소감을 쓴 책
예기
상례사전
(50권)
(1803-1811)
상례외편과 함께 사대부의 상례에 대한 저술로 상의광(17권,1803), 상구정(6권,1809), 상복상(6권,1809), 상기별(21권,1811) 4권을 합친 저술
상례사전이 너무 방대하여 실용에 번거로움으로 요약한 상례절요를 1815년 지음.
상례외편
(12권)
(1803-1805)
예기 단궁편의 취지를 드러내고 고주의 잘못을 수정한 단궁자모 6권, 서건학의 독례(??)고를 읽으면서 떨로랐던 생각을 1821년 이인영이 편집한 예고서정 1권, 조선후기 예송의 쟁점이었던 기해방례(1659) · 갑인방례(1674) · 경신방례(1800)에 대한 윤휴 · 송시열 · 허목의 예론을 비판하고 독창적인 주장을 한 정체전중변(3권), 조전고(1권), 고례영언(1권)을 합한 책
사례가식
(9권)
(1808-1817)
사대부의 4례(관혼상제)를 정리한 것으로, 고례에 비해 향연의 사치스러움을 지적한 제례고정(2권-1808), 관례와 혼례에 관한 가례작의(1권-1810), 상례사전의 요약본인 상의절요(6권-1817)를 모은 책
국조전례고
(2권)
(1818)
정체전중변과 함께 왕실의 전례(왕조례)를 정리한 책으로 상례외편의 끝에 편입되어 있다.
<여유당전서> 文集에 수록
예의문답
(3권)
(1805)
1805년 10월 강진읍의 보은산방에서 장남 정학연이 예에 관해 질문한 것에 대한 답변으로 일명 승암문답으로 불린다.
역경
주역사전
(24권)
(1804-1808)
주역을 4원리(추이 · 물상 · 호체 · 효변)로 풀이한 것으로 1804년부터 시작하여 4번의 추정을 거쳐 1808년 무진본이 완성됨.
자찬묘지명에는 주역심전으로 되어있다.
두 아들과 이정이 참여함.
역학서언
(12권)
(1808-1821)
이정조의 주역집해(17권)을 중심으로 역대 제가들의 학설을 정리 · 비평 · 수정을 거쳐 완성. 여기에는 정약전의 자산역간과 제자(이강회 · 이청) 및 아들과 토론한 다산문답이 들어있다.
춘추고징
(12권)
(1808-1812)
춘추에 나타난 주대의 예제를 정리한 예서로 1808년 겨울 정학유의 초본과 1812년 겨울 이강회의 재고로 완성됨
악기
악서고존
(12권)
(1811-1816)
진시황의 분서갱유이후 육경중 유일하게 원문이 전해지지 않는 악경을 복원한 것으로, 상서 · 주례를 주자료로하고 춘추좌전 · 국어를 보조자료로 활용하고 기타 경전의 자료를 종합하여 저술
경학연구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0.07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