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의의,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단계와 모형,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창의적 활동,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제고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의의,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단계와 모형,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창의적 활동,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제고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의의

Ⅲ.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1. 장단 지도 내용 프로그램 구성
2.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민요지도
1) 호흡법
2) 민요창법지도
3) 민요지도를 위한 도움말

Ⅳ.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단계와 모형
1. 지도단계
2. 지도모형

Ⅴ.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창의적 활동방법
1. 대문놀이
2. 긴 줄넘기
1) 방법ꊱ - 줄에 혼자 들어가기
2) 방법ꊲ - 줄에 4명이 들어가기
3. 우리 집에 왜 왔니? -‘6학년 싸름’에 맞추어
4. 수건돌리기
5. 신 강강 술래

Ⅵ.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제고 방향
1. 민요교육의 중요성
2. 전통음악 학습지도 요령
1) 정간보(井間譜) 지도
2) 시김새 표현 지도
3) 율명으로 부르기(律名唱)
4) 메기고 받아 부르기
5) 장단 치며 부르기
6) 국악기 반주에 맞추어 부르기
7) 서양음악식 민요 부르기 체험
8) 국악 학습지도상 기타 유의점

Ⅶ.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자신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기 조국의 민요를 철저히 알고 있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손자병법(孫子兵法)중에도 지피지기이면 필승 이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상식적인 이치(理致)와 같이 우리는 우리 음악을 보다 더 철저히 알아야 하는 것이다. 외국어 교육에 앞서 국어 교육을 중시하듯이, 서양음악 교육에 앞서 우리 국악 교육을 중요시하여야 한다. 음악 교과의 학습지도는 이해, 표현(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의 전 영역을 통합적으로 지도하여야 한다. 그런데, 학습활동은 가창영역이 중심이 되어 통합적 지도를 하여야 바람직한 방법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국악학습지도 역시 가창교재인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전 영역이 통합적으로 지도되어야 하는 것이다.
2. 전통음악 학습지도 요령
1) 정간보(井間譜) 지도
교과서에 우리의 음악을 오선보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서양 음악적 이론으로 보고 있음은 물론, 서양음악의 같은 방법으로 학습지도를 하고 있으니, 우리음악의 참다운 맛을 체득시키지 못하고 있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오선보는 지도상 참고로 활용하고, 우리의 악보인 정간(井間譜)을 도입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인 것이다.
2) 시김새 표현 지도
우리나라 음악에서 기악곡은 농현법 이요, 성악곡은 시김새라는 창법이 큰 특징인데, 민요 부르기에서 시김새가 없는 민요창은 우리 민요가 아니라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이 시김새는 각 지역마다 표현 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3) 율명으로 부르기(律名唱)
우리 민요를 계명창(階名唱)으로 지도하는 것은 엄밀하게 말하면 우스꽝스러운 방법인데, 계명창으로 지도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가능은 하겠으나, 이상하지 않은가? 이미 학생들이 오선악보는 알고 있으나, 정간보를 잘 모르는 상태라면 아래와 같이 오선보를 겸한 악보로 지도를 한 후 정간보에 익숙해지면, 정간보에 의해서 민요를 부르도록 지도하여야 바람직할 것이다.
4) 메기고 받아 부르기
우리 민요는 메기고 받는 형식 으로 된 노래가 매우 많이 있다. 메기는 부분은 독창으로 선창(先唱)하며, 사설의 내용이 변하지 않는다. 민요를 익혀서 흥겹게 부를 수 있게 된 후에, 그 민요 가운데 메기는 부분의 사설을 지어서 바꾸어 부르게 지도한다. 이와 같은 지도방법은 창작지도라면에서도 교육적으로 매우 효과가 높다고 하겠다.
5) 장단 치며 부르기
그 민요에 적절한 장단을 치면서 민요 부르기를 지도한다. 장단 치기와 민요 부르기를 익힌 후에, 발전적인 학습활동으로써 빠르기를 변형하여 부르기를 지도한다. 예를 들면, ‘아리랑’을 세마치장단으로 부르기도 하고, 중모리장단으로 바꾸어 부르기를 지도한다. 장단이 바뀜에 따라 민요의 느낌은 달라진다. 즉, 세마치장단의 ‘아리랑’은 흥겨운 느낌을 주고, 중모리 장단의 ‘아리랑’은 애절한 느낌을 준다. 이처럼, 같은 민요곡이라 하더라도 빠르기, 즉 장단이 바뀜에 따라 느낌이 달라짐을 체감할 수 있게 지도한다.
6) 국악기 반주에 맞추어 부르기
민요를 익숙하게 부르게 된 후에, 가능하면 단소나 가야금과 같은 국악기로 연주해 보는 체험은 매우 이상적이다. 그리고 국악기 반주에 의해서 민요 부르기 지도, 즉 실제 국악기 반주 또는 녹음된 국악기 연주를 반주로 하여 민요 부르기를 한다.
7) 서양음악식 민요 부르기 체험
(1) 돌림노래 부르기
예를 들어 우리 민요를 두 분단으로 나누어 돌림노래를 하는 방법인데, 같은 민요로 부르는 방법, 그리고 두 곡의 민요로 부르는 방법을 하여 본다.
(예) 아리랑의 돌림노래
(예) 두 곡으로 돌림노래
(2) 서양악기 반주로 부르기
피아노(오르간), 기타 등과 같은 서양악기 반주에 의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불러봄으로써, 우리 음악에 대한 체험의 폭을 넓히고, 우리 음악의 맛을 여러 가지 면으로 맛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합창곡으로 부르기
우리 민요를 서양 음악식인 합창곡으로 편곡을 하여 불러봄 으로써, 민요의 느낌을 다양하게 체감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8) 국악 학습지도상 기타 유의점
(1) 우리 음악을 서양 음악처럼 조성으로 파악하는 것은 잘못이다.
(예) `아리랑‘은 바장조의 곡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2) 우리 음악의 계명창 지도는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서양 악보에 의해서 가락을 익히기 위한 수단일 뿐, 시험에 계명으로 출제하는 것은 잘못이다.
(3) 우리 민요의 5음계를 파(Fa), 시(Si)가 없는 5음계(솔, 라, 도, 레, 미)라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예) 우리의 5음계는 서양의 5음계와 음계 구성의 원리나 성질이 다르다.
(4) 우리 음악의 악곡 분석을 사양음악처럼 하면 안된다.
(예) ‘아리랑’은 두 도막 형식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예) 차라리 `아리랑‘은 메기고 받는 형식의 노래라고 하는 것이 좋다.
(예) 가락을 화성적으로 따지는 것은 잘못이다.
Ⅶ. 결론 및 시사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교육 과정의 내용에 전통음악 학습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우리 학생들이 민족 문화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긍지를 지닌 사람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한다.’ 라고 밝혀 전통음악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전통 음악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우리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초보적인 표현능력을 길러, 전통음악을 사랑하고 우리 문화 창달에 참여하여, 바람직한 국민으로 성장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학교 교육에서도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우리의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고 나아가 그것들을 올바로 수용하여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심어주어 민족 자긍심을 배양하고 세계 속의 당당한 한국인으로서 성장시키기 위해 올바른 국악교육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강등학(1996) /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류상일(2000) / 장단학습을 위한 우리 장단·춤·음악, 세종출판사
박경수(1998) /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인천사랑유치원(1998) / 놀이중심의 국악동요 음률활동을 통한 국악표현력 신장, 시범유치원 운영보고서
임석재 / 한국의 민요 CD 1-5
한국국악교육학회 / 알기 쉬운 국악개론, 풍남출판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0.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