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우주탐험][우주관][태양계행성][항공우주산업][우주개발]우주의 구조, 우주와 우주탐험역사, 우주와 우주관, 우주와 태양계행성, 우주와 우주 관련 직업, 우주와 항공우주산업, 우주개발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주][우주탐험][우주관][태양계행성][항공우주산업][우주개발]우주의 구조, 우주와 우주탐험역사, 우주와 우주관, 우주와 태양계행성, 우주와 우주 관련 직업, 우주와 항공우주산업, 우주개발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주의 구조

Ⅲ. 우주와 우주탐험역사
1. 인류의 우주 탐험 역사
2. 미국의 우주왕복선 5대
3. 우주정거장 사업에 당분간 차질

Ⅳ. 우주와 우주관

Ⅴ. 우주와 태양계행성
1. 수성(Mercury)
2. 금성(Venus)
3. 화성(Mars)
4. 목성(Jupiter)
5. 토성(Saturn)
6. 천왕성(Uranus)
7. 해왕성(Neptune)
8. 명왕성(Pluto)

Ⅵ. 우주와 우주 관련 직업
1. 항공우주공학기술자
2. 우주비행사

Ⅶ. 우주와 항공우주산업

Ⅷ. 결론 및 제언
1. 우주개발 투자확대 및 인력양성
2. 국제협력 방안 및 전략
3. 우주개발 기반조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극히 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 주요기업의 우주관련 투자 누계는 총 150억 5000만원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 금액 중 77.3%가 1994년 투자되어 우주산업이 초기단계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 기간동안 정부지출 누계를 보면 무궁화호 3,450억원, 우리별200억원, 과학로케트 30억원 등 약 3,680억이 지출되었다.
한편 정부 연구기관을 포함한 국내 우주관련 총 인력 수는 약 840~88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이용분야를 포함한 연구기관은 약 330~370명, 관련기업은 508명으로 기업들의 보유인력이 다소 높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정부연구기관 중 보유인력수가 가장 많은 기관은 KARI, ETRI, ADD 등이다. 이들 연구기관들에 종사하는 인력은 국내 전체연구기관 인력의 80%이상에 달하고있어 국내 우주분야의 연구를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ADD의 우주분야 인력은 약 130~170명 정도로 추정되어 국내 최대를 자랑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기업의 우주관련 보유인력은 508명으로 전년대비 6.5%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중 연구개발분야는 같은 기간동안 54.1%를 기록하여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비해 기술직 및 기타인력은 같은 기간동안 각각 15.7%, 19.3%의 감소를 보여 연구개발분야와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부문별 인력의 증가 또는 감소가 크게 발생하고 있는 원인은 국내 주요 개발사업들이 종료되고 있거나 신규사업들이 창출되고 있는데 기인된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앞으로 비약적으로 증대하는 인력수요에 대응해, 질적 양적인 면에서 소요인재의 양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경험 있는 연구인력의 확보와 양성이 시급하며 항공우주공학뿐 아니라 전기전자공학, 물리학, 천문학,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을 확보하여 재교육과정을 거쳐 우주관련분야에 활용토록 해야 할 것이다.
연구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2015년에는 우주분야에 4000명이 넘는 인력이 수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국제협력 방안 및 전략
우주산업은 타 산업과는 달리 국가간 협력이 보편화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우주산업 시장수요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발비용의 분산과 위험분담 그리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이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기술도입을 통한 종속적 국제협력관계를 형성해 왔으나, 21세기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국제협력관계로 그 위상을 제고시켜야 한다. 더욱이 구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에 따라 선진 우주기술의 유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우리와 같은 후발 우주개발국의 기술획득에 호기가 되고 있다. 따라서 우주산업의 국제협력사업에 대한 정부의 자금지원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금의 설치가 시급히 요청된다.
우주산업의 국가간 협력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상호협력에 의한 시장기회확대를 위해 협력하는 것으로 미-유럽간에 이루어진 스페이스 시스템사(미)와 에어로 스페셜사(프), 알레라나사(이), DASA사(독) 등이 연합하여 유럽의 직접 방송위성 개발사업에 참여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서방업체들이 기술면의 보완을 위해 러시아, 중국업체들과 협력하는 것으로서 서방업체들은 주로 낮은 비용으로 첨단기술을 입수하기 위해서이고, 구 사회주의 업체들은 낙후된 상업기술을 획득하기 위해 서방업체들과 상호 협력하는 경우이다.
우리나라 역시 우주산업의 효율적인 육성과 국제경쟁력확보를 위해서 국가간의 협력이 중요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제협력 사업에 대한 정부의 자금지원 강화와 범국가적 우주산업 육성체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3. 우주개발 기반조성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에 대한 수요는 소득수준의 증가, 경제발전의 지속, 우주과학 기술에 대한 연구노력, 환경오염방지, 과학영농을 위한 기상관측, 자원탐사를 비롯한 요인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우주산업의 발전정도는 통신방송분야 등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정부의 우주산업의지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의 우주산업 육성의지가 높을 경우 그 발전 가능성은 매우 큰 편이라고 판단된다.
향후에도 국제간의 업무교류증대, 국민소득의 증가 등은 우주산업의 상업화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할 것이다. 이러한 수요발생 요인들과 함께 정부의 우주산업 육성의지가 고조될 경우 2015년까지의 국내위성 수요는 최대 32개로 추정된다.(KIET 전망)
우주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일반제품들이 연구개발을 거쳐 대량 생산 방식을 통하여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는 것에 비해 용도와 목적이 한정되어 있어 경제성을 검토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우주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 우주개발에 따른 경제적기술적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럽 우주 통합기구인 ESA는 1977~86년간 40억 ECU를 투자한 결과 약 127억 ECU에 달하는 간접효과를 보았다고 하였다.
우주개발은 전 산업에 대해 광범위한 개발생산효과를 파급시킨다. 특히 방송통신산업의 경우 방송통신용 인공위성의 발달에 따른 HDTV, 반도체, 위성수신용 기기, GPS방향수신기의 개발 및 생산촉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발생될 우주산업에 대한 대규모의 국내수요를 수입에 의존할 것인가, 아니면 국내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할 것인가는 앞으로의 우주개발상황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주개발의 기반조성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요청된다.
참고문헌
○ 김경란, 신비스런 우주여행, 도서출판 대우
○ 민영기(1994), 우주개발의 오늘과 내일, 한국과학기술연구재단
○ 마틴 하위트·강용희 역(1991), 우주의 발견, 서울 : 민음사
○ 박용한(2000), 21세기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 경영대학원
○ 채연석(2006), 우리는 이제 우주로 간다, 서울 : 해나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20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년사 : 21세기 항공우주선진국으로의 도약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