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학습시간의 의미, 학습시간의 연구 동향,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 활용 패턴,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과 과제학습시간,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과 학습효과의 관련성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교육]학습시간의 의미, 학습시간의 연구 동향,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 활용 패턴,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과 과제학습시간,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과 학습효과의 관련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학습시간의 의미
1. Carroll의 학습 시간 개념
2. Bloom의 학습 시간 개념
3. 학습 시간에 관한 보다 미시적 접근

Ⅱ. 학습시간의 연구 동향

Ⅲ.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 활용 패턴
1. 고등학교 경력교사와 초임교사의 체육교수시간 활용 패턴
2. 초임교사의 체육교수시간 활용 패턴 차이 분석

Ⅳ.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과 과제학습시간
1. 수업의 구조화
2. 명확한 과제의 제시
3. 과제의 전달
4. 피드백을 통한 감독 활동의 효과적 전개

Ⅴ. 체육수업(체육교육)의 학습시간과 학습효과의 관련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가 평균보다 큰 집단이 있어 멀리뛰기 학습 후가 학습 전보다 좋지 않는 기록이 다소 있다고 판단되나, 교사성별, 교사경력별, 학습자성별로 집단을 구분하였을 때, 학습효과는 확실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 연구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비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시간이라는 양적인 측면에만 관심을 가질 뿐, 수업의 질이라는 본질적인 측면을 적절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Shulman, 1986). 즉 교실에서의 역동적이며 복합적인 상호작용이나 사건을 다루는데 실패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학습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도 알려주지 못한다는 것이 가장 커다란 약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음의 비판은 학생들의 주의 집중 여부에 대한 관찰자의 판단이 신뢰할 만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그리고 Doyle(1979)의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에 따라 학습시간의 양이나 의미는 달라질 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학습시간 연구에 대한 비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비판에 대한 확인 과정이 필요하므로 교사들의 지도시간이 학습자의 활동량과 학습효과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수업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고 관찰대상 행동의 빈도와 학생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로서 과정-결과 연구는 교사의 어떤 행동(과정)이 학생의 높은 학습 성취(결과)를 유발시키는가 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는 교수효율성연구라고도 불리며 수업에 관한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체육수업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의 교수변인들 중 지도시간은 실제학습시간과 관련하여 매우 주요한 요인으로 연구되어 왔고, 학습효과로서 수업 전 기록과 수업 후의 기록 차를 분석하는 것은 결과변인으로 타당성 있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변인이다.
지도시간이 교수변인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36명의 교사가 멀리뛰기 3차시 수업을 한 교사들의 지도시간과 다른 교수변인들의 상관을 남녀교사집단과 남녀학습자집단으로 나누어 나타냈다.
그 결과 전체집단에서 지도시간과 가장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은 이동시간(r=-.787)이며, 다음은 과제설명시간(r=-.724), 대기시간(r=-.7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동시간, 과제설명시간, 대기시간이 적을수록 지도시간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남교사는 학습시간을 늘이기 위해 과제설명시간을 줄이는데 역점을 두는 반면에, 여교사는 이동시간과 대기시간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나 관련성이 수업이나 교수효율성의 기준으로 타당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활동량이나 학습효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지도시간과 학습자의 활동량인 보수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효과인 멀리뛰기 학습 전후 차이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을 나누었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Siedentop 등(1979)의 실제 체육학습 시간 단일변인으로서 체육교사들의 교수효율성을 가장 잘 측정하고 있다는 주장과, Siedentop(1983a)과 윤명희(1995)의 실제학습시간이 학습자의 학습성취도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을 한 것과는 상반된 결과이나, 단순히 시간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Kim(1993)의 주장과 일치하고 있다.
멀리뛰기수업 전의 기록과 수업 후의 기록차인 학습효과와 교수변인들과의 집단에 따른 상관계수는 먼저, 전체 교사가 수업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교수변인은 과제설명시간(r=.118)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을 나누었을 때, 남교사 집단이 r=.20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남자학습자 집단이 r=.132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집단에서 학습효과와 차시예고는 r=-.101로 역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역상관이 있는 집단은 여자학습자 집단(r=-.170)이며, 다음은 남교사 집단(r=-.132)으로 나타났다.
남교사 집단에서 학습효과와 교수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은 과제설명시간(r=.201), 평가시간(r=.190)이며, 이와 같은 현상은 과제설명시간과 평가시간이 길수록 학습기능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의한 역상관이 있는 교수변인은 진단시간(r=-.182), 준비운동시간(r=-.158)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진단시간과 준비운동시간이 짧을수록 학습효과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여교사집단에서 학습효과와 교수변인 간에 유의한 역상관이 있는 것은 이동시간(r=-.135)과 준비시간(r=-.132)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시간이 적을수록 학습효과는 큰 것으로 생각된다.
학습효과와 교수변인들 간의 관련성 분석에서 가장 높은 상관이 나타난 변인은 과제설명시간, 이동시간, 대기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간들이 많을수록 지도시간이 줄어들어 비효율적임을 의미한다.
교사들의 교수변인 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지도시간과 높은 역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은 이동시간(r=-.787), 과제설명시간(r=-.724), 대기시간(r=-.708)순으로 이들 시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지도시간이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학습효과와 지도시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인 멀리뛰기의 학습 전후기록 차이와는 관련성이 없는 경향을 보였다.
참고문헌
강신복·손천택 역, 체육학습교수법, 서울 : 보경문화사, 1992
강신복, 체육 교수시간의 패턴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3권 제1호, 1993
김승재, 체육실제학습시간과 학습성취도의 관계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유재정, 학습시간과 학습태도 및 학업성적 간의 관계. 숙명 여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윤명희, 체육교사의 피드백간여가 학습자의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1993
Alec Mackenzie, 시간 함정(The Time Trap)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