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편종과 자바라,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대금과 소,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박과 축, 전통악기(국악기)양금과 꽹과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편종과 자바라,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대금과 소,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박과 축, 전통악기(국악기)양금과 꽹과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의 종류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
1) 향악기
2) 당악기
3) 아악기
2. 재료에 의한 분류
1) 금
2) 석
3) 사
4) 죽
5) 포
6) 토
7) 혁
8) 목

Ⅱ.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Ⅲ.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편종과 자바라
1. 편종
2. 자바라

Ⅳ.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대금과 소
1. 대금
2. 소

Ⅴ.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박과 축
1. 박
2. 축

Ⅵ.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양금

Ⅶ.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꽹과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음이었다. 이때는 천금(天琴) 또는 번금(番琴)으로 불렸고, 지금 중국에서는 양금(楊琴)으로 표기한다. 이것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영조 때 청나라를 왕래하던 실학자들에 의해서이다. 한국에서는 서양금(西洋琴)서금(西琴)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으로도 불렸다. 〈연암속집 燕巖續集〉에 따르면 홍대용이 이 악기를 처음 연주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후 19세기 후반부터 영산회상과 가곡 등의 연주에 널리 쓰이게 된 듯하다.
양금은 사다리꼴 몸통에 주석과 철의 합금으로 만든 철사를 얹는데, 통은 오동나무로 되어 있으며 같은 모양의 뚜껑이 있다. 통 위에는 2개의 침괘(枕)를 세우고, 그 위에 같은 음으로 된 4벌을 1벌로 하여 14벌의 줄을 얹는다. 양금에서 낼 수 있는 음은 모두 18음이고 조율방법은 서양의 7음계와 같다. 양금의 채는 해죽(海竹)을 깎아 만드는데 채의 손잡이와 자루 부분은 대의 껍질이 지닌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얇게 깎고, 줄을 치는 머리 부분은 대나무의 두께를 살려서 두텁게 만든다. 사진자료에 의하면 왼손으로 양금의 몸통을 받쳐 들고 오른손으로 연주하기도 했으나 오늘날에는 뚜껑을 벗겨 받침으로 사용하여 연주자의 정면 바닥에 악기를 놓고 오른손의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Ⅶ.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꽹과리
꽹과리는 농악과 무악 따위에 사용하는 타악기의 하나로써 놋쇠로 만들어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징보다 작으며 주로 농악에서 상쇠가 치고 북과 함께 굿에도 쓴다.
<타법>
잰 잰의 타법은 지역마다 다음처럼 조금씩 다른데 꽹과리의 기초 타법이라 할 수 있다.
① 막음새를 다 열고 친다.
② 한 번의 막음새와 동시에 친다.(주로 쓰는 타법)
③ 치기 전에 살짝 막고 떼며 친다.
잰을 세게 치는 가락을 특별히 적을 때는 짼으로 한다.
재 잰을 이어서 칠 때 적는 소리이다.
잰보다 부드럽게 친다.
기 아주 여리게 친다.
잿 잰을 치고 바로 막는다.
재앳 잿보다 조금 늦게 막는다.
짓 완전히 막으며 친다. 이어 칠 때는 지로 적는다.
닥 꽹과리를 눕혀서 완전히 막고 친다.
기잰,기재 두 번을 빠르게 이어 치는데 흔히 감아 친다고 한다.
잰을 치기 전 기는 여리고 빠르게 쳐 꾸며준다.
지짓 막고 두 번 이어 친다.
기짓 기잰을 치되 짓에서 막는다.
재르르르 부드럽고 빠르게 여러 번 이어 친다.
흔히 굴려 친다고 한다.
재기 꽹과리와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긁어 친다.
읏, 은 박자를 맞추기 위한 구음으로 치지 않는다.
‘읏’에는 꽹과리를 막고, ‘은’에는 엷는다.
다른 악기에도 사용하는 구음장단이다.
참고문헌
* 국립국악원(1998), 국악기는 내 친구, 서울 : (주)삼화인쇄
* 국립국악원(1990),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 경북교육과학연구원(1996), 전통 음악 지도, 대구 : 경상북도교육과학연구원
* 박범훈(1992), 작곡·편곡을 위한 국악기 이해, 세광음악출판사
* 손태룡 지음, 한국의 전통악기, 영남대학교출판부
* 이성천, 국악사, 서울 : 민중음악연구회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