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조형요소][전통회화][회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추상화 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조형요소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조형요소][전통회화][회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추상화 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조형요소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분류
1. 그리는 방법에 따른 분류
1) 수묵화
2) 수묵담채화
3) 진채(농채)화
2. 소재에 따른 분류
1) 산수화
2) 인물화
3) 화조화(花鳥畵)
4) 어해화
5) 초충화(草蟲畵)
6) 기명절지화
7) 민화(民畵)

Ⅲ.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특성
1. 그림에 대한 시각
2. 재료와 매체
3. 표현 방법
1) 일필휘지(一筆揮之)가 강조된다
2) 선을 주로 사용한다
3) 여백의 아름다움을 살린다
4)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4. 공간과 원근의 표현

Ⅳ.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추상화 경향
1. 수묵의 조형적 특성 탐구
2. 재료와 소재의 실험

Ⅴ.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조형요소
1. 선(線)
2. 중심점(中心點)
3. 여백(餘白)
4. 단순화(單純化)와 변형(變形)
5. 구도(構圖)
6. 주제(主題)와 부제(副題)
7. 화제(畵題)
8. 낙관(落款)
9. 사혁의 육법 화론
1) 기운생동
2) 골법용필
3) 응물상형
4) 수류부채
5) 경영위치
6) 전이모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순화(單純化)와 변형(變形)
그림이란 결코 자연의 재현이 아니다. 따라서 그리고자 하는 자연적인 사물을 되도록 생략하고 단순화 시켜 꼭 필요한 것만을 취하고 필요하지 않은 것이나 있어서는 오히려 그림을 어색하게 만드는 것은 과감하게 제거시켜야 한다. 그러나 생략하고 단순화시킨다고 하여 대상의 관찰을 소홀히 하여도 된다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세심한 관찰로써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해하였을 때 비로소 단순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하겠다. 그림이란 작가의 마음을 통해서 바라본 대상을 독창적인 형태로 표현하여 작가의 감동과 감정을 감상자에게 전달하고 공감을 얻어야 하는 것이므로 강조와 과장 등이 없이는 큰 효과를 얻지 못한다. 변형은 작가의 감동이나 감정을 보다 강하게 호소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좋은 구도를 만들기 위해서도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5. 구도(構圖)
서양화에서는 좌우균제(左右均齊), 피라미드형, 황금분할(黃金分割) 등 구도 상 몇 가지 정칙이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요지부동이라는 원칙이 있어서 구도란 이렇게 해야 한다는 법칙은 없다. 특히 수묵화는 서양화와는 다른 발상과 독특한 양식이 있고 화면의 크기와 형태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구도에 너무 구애받지 말고 자유롭게 여러 가지로 시도하여 보는 것이 좋다.
6. 주제(主題)와 부제(副題)
모든 회화작품이 그러하듯 완성된 수묵화의 화면 속에도 주제와 부제가 구별되어야 한다. 주제는 작가가 가장 강하게 감동을 느낀 부분, 그래서 감상자에게도 그렇게 전하고 싶은 풍경이나 사물 등을 말하며 부제는 그러한 주제를 더욱 강조시켜 주는 풍경이나 사물 등을 말하는데 이를 종(從)과 객(客)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좋은 회화작품은 주(主)와 종(從)과 객(客)이 서로의 위치에 충실하고 아울러 본연의 임무를 다하였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7. 화제(畵題)
서양화와는 또 다른 동양화의 특징으로 화제를 꼽을 수 있다. 화제란 그림 속 여백의 일부에 비교적 짧은 글귀를 써넣는 것을 말하는데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에서는 원칙적으로 화제를 써야 한층 더 격조 높게 보였던 것도 사실이나 오늘날에는 화제를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화제를 선택하는 데는 부즉불리(不卽不離) 즉 붙어있지도 않고 그렇다고 해서 따로 떨어져 있지도 않은 상태라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림의 내용과 화제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고 전연 무관한 것도 아니어서 그림의 뜻이나 작가의 작의(作意)를 보강해야하고 그것을 쓴 글씨는 그림의 일부로써 구도 상에 결점을 주지 말아야 한다. 화제의 또 하나의 기능은 \"예술가의 목적이나 기본적인 생각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이다.\" 즉, 화가의 창조적인 마음과 보는 사람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8. 낙관(落款)
주로 한국화나 동양화 계통에서 화면의 일정 부분에 도장과 글씨를 남기는 것을 낙관이라고 한다.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그냥 관이라고도 한다. 이는 서화를 완성하고 마무리를 짓기 위해 작가의 자호, 제작연월일, 제작동기, 시문 등을 기록하고 도장을 찍는 것이다.
낙관은 화면의 장식효과 즉 구도의 일부라고 보아야 하므로 화제의 내용이나 서체는 물론이고 도장의 자체(字體), 위치, 크기, 모양 등이 모두 그림과 어울리지 않으면 도리어 그림을 손상시키는 결과가 초래된다. 낙관에 쓰이는 도장의 종류로는 도서인(圖書印), 수인(首印), 유인(遊印)이 있는데 도서인은 양각으로 호를 새긴 도장과 음각으로 성명을 새긴 두 개의 도장인데 호나 이름 밑에 찍되 성명을 새긴 것을 위에 찍고 호를 새긴 도장을 아래에 찍는다. 수인은 긴 장방형에다 좋아하는 글씨나 글귀를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긴 것으로 그림에서는 별로 쓰지 않으며 화제를 썼을 경우 글귀의 앞머리에 찍어주는 것이 상례이다. 유인은 좋아하는 글귀를 음각이나 양각으로 새겨서 그림의 그늘이 되는 쪽의 구석에 찍는데 문장인(文章印), 장수인(長壽印), 장수인(藏收印)이라고도 한다.
9. 사혁의 육법 화론
사혁은 AD 510년경의 중국화가로서, 그가 세운 동양회화론의 이론은 가히 시조라 할 수 있을 만큼 고대회화를 체계적이며 과학적으로 정리했다. 그의 화품론(畵品論)은 후일 많은 화가들에게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이론적으로 후세에 미친 영향은 지대한 것이다. 그가 저술한 고화품록(古畵品錄)은 육품론(六品論)이 정리 된 것이며, 화품이란 화가들의 우열을 말하는 것으로 모든 화가들은 이 육품에 의해 서열이 정해졌다.
1) 기운생동
정기론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사물을 관찰할 때 어떻게 기를 살려 표현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으로 정신적 감정, 공간적 감각, 운율적 감정, 생명감, 생동감을 표현하는 문제이다.
2) 골법용필
사물을 그림에 있어서 붓의 활동, 즉 사용을 뜻하는 것으로 골법이란 골자, 즉 뼈대를 말한다. 또한 운필이란 동양화에서는 생명과 같은 것으로 이 용필이 잘 되지 않으면 그림은 생명력을 잃게 되는 것이다.
3) 응물상형
물체를 그림에 있어서 윤곽을 뚜렷하게 하여 형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윤곽과 정신이 일치하여야 형상과 내용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수류부채
모든 사물에는 색채가 있음에, 색채를 바로 표현하지 않으면 그 물체의 빛깔이 죽어버리게 된다. 역시 감정과 형상에 따른 색의 질감을 회화적으로 잘 표현해야 한다는 것으로 필법과 윤곽, 색채 등이 잘 어울려야 함이다.
5) 경영위치
화면의 포국(布局)구도를 말하는데, 그림을 그림에 있어서 주체적인 것과 그 위치가 정해져야하고 또 다른 모든 사물들이 잘 배치되어야 한다.
6) 전이모사
중국 육조시대의 그림공부는 이화(移畵)로부터 시작했다고 하는데, 이 이화란 모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경관을 얼마만큼 잘 옮겼는가를 뜻한다.
참고문헌
민병산, 동양의 마음과 그림, 서울:새문사, 1985
송수남, 한국화의 길, 서울:미진사, 1995
서성록, 전통의 회복과 현대회화-전통의 수용과 재창조, 서울:예술과 비평, 1990
오광수, 한국화란 가능한가, 공간, 1974
안동숙, 정통동양화기법, 서울:미조사, 1981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서울:문예출판사, 1997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