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성과 병진진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생성과 병진진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생성과 병원성
2. 병원체의 기주범위
3. 식물체에서 병의 발생
4. 병진전 단계 : 병환
가.접종
나.침입전 현상
다.침입
라.감염
마.병원체의 전반
바.병원체의 월동 및 월하
5. 병환과 전염병의 관계

본문내용

대륙으로 퍼져 나기도 한다.
다른 병원체의 공기전반은 빈도가 매우 낮음
사과나무의 화상병균(벌 매개)
선충
바람은 바이러스, 세균, 포자 등을 몸에 지닌 곤충의 이동에도 영향을 미침
바람은 또한 식물체간의 마찰을 일으켜 병원체의 접촉 전염을 일으킴
* 물에 의한 전반
토양에 존재하는 세균, 선충, 균류의 포자, 균사 조각은 토양 표면이나 토양 내에서 이동하는 빗물이나 관개수에 의하여 전반
모든 세균과 대부분의 균류 포자는 끈적끈적한 액체 상태로 존재하므로 빗물이나 관개수에 의하여 씻겨 내려가거나 여러 방향으로 튀겨서 전반됨
빗방울이 두상관수 (위에물을뿌려주는것)에 의한 물방울은 공기 중에 있는 균류 포 자와 세균을 씻어 내려 감수성 식물체에 도달하게 한다.
병원체의 원거리 이동에는 물이 공기보다 덜 중요하지만 병원체는 이미 젖어 있는 기주 표면에 도달하므로 단거리 이동에는 물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곤충, 응애, 선충 및 다른 매개체에 의한 전반
곤충, 특히 진딧물류, 매미충류, 가루이류는 바이러스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
매미충류는 몰리큐트, 국재성 세균, 원생동물의 주요 매개체임
곤충의 종류에 따라 특정한 균류나 세균 전염
세균성무름병, 탄저병 같은 많은 식물병에서는 곤충이 단지 세균이나 끈적 끈 적한 균류 포자를 우연히 몸에 붙여서 전반시킴
매개충이 발병을 조장하기는 하지만 매개충이 있어야만 발병하는 것은 아님
몇 종의 응애와 선충도 바이러스 매개
식물체 사이를 이동하는 동물
어떤 균류의 유주자도 바이러스를 다른 식물체로전반
기생식물은 두 식물체를 침해하면서 바이러스이동시킴
화분 및 종묘, 사람에 의한 전반
화분 및 종묘
일부 바이러스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의 화분(꽃가루)에 의해 매개됨
많은 병원체는 종자, 이식묘, 접수, 묘목의 내외에 존재하고 이들을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전반됨
종묘(종자, 묘목)에 의한 전반은 그 병원체가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지역에 병원체를 전파를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실질적
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임
사람에 의한 전반
사람은 모든 종류의 병원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단거리 또는 원거리로 전 반시킨다.
병든 포장의 담배를 만진 손으로 다른 담배잎을 만지면 TMV 전파
사람의 발, 농기구, 식품이나 기타 물건 수입, 종묘 이동으로 병을 전파 (느릅나무시들음병, 포도흰가루병, 수수맥각병)
바. 병원체의 월동 및 월하
① 구조
- 무성번식체: 내성포자(endospore), 포자, 균사, 균핵, 후막포자
- 유성번식체: 난포자, 자낭, 담자기
② 은신처
토양, 병든식물의 잔재(병든 가지, 뿌리, 땅에 떨어진 과실, 낙엽),
- 종자 및 영양번식체(괴경), 곤충, 중간기주(배나무별무늬병균의 향나무)
일년생 식물은 생장기가 지나면 죽음, 다년생 낙엽수의 잎이나 과실, 일부 줄기도 죽음
병원체는 기주 식물 없이도 추운 기간 또는 여름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함 식물병원성 난균류와 균류(Fusarium, Rhizoctonia)의 일부는토양서식균으로서 기주 없이도 계속해서 부생적 으로 살 수 있음 기타의 토양균류는 토양체류균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휴면포자나 부생체로 살 수 있음
- 일부의 녹병균은 기주교대로 월동
- 바이러스 등은 다년생식물의 지하부, 영양번식기관, 일부의 기주 종자 등 살아있는 조직에서만 생존 가능
- 선충은 알 상태로 식물 뿌리, 잔재물에 생존, 일부 선충은 종자 또는 구근에서 수년 동안 유충 또는 성충으로 생존
기생식물은 토양내 종자 또는 기주식물체 상에서 영양체로 생존
7. 병환과 전염병의 관계
- 단주기성 병원체 : 1년에 한 번의 병환 또는 병환의 일부분을 마치는 병원체
( 깜부기병, 수목의 녹병, 뿌리썩음병과 시들음병 같은 토양병)
이들 포자는 토양에 존재해 있다가 이듬해에 1차전염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단주기성 병원체는 2차전염원도 없고 2차감염도 없으므로, 전 기간 동안 1차전염원이 유일한 전염원이다. 생육 말기에 형성된 전염원의 양은 생육초기의 전염원의 양보다 많으므로, 단주기성 병해에서 전염원의 양은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히 증가한다.
- 다주기성 병원체 : 대부분의 병해는 한 식물의 재배 기간 동안 여러 세대를 거침
다주기성 병원체는 주로 공기 전염되거나 충매전염 되어 많은 작물에서 폭발적인 전염병을 일으키는데 균병, 감자역병, 흰가루병, 각종 점무늬병과 잎마름병. 맥류의 녹병, 그리고 충매전염 되는 여러 바이러스병 등이 대표적이다.
수목에 발생하는 시들음병, 몰리큐트병, 바이러스병 등에서는 병원체가 1년에 병환을 완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염원을 형성하여 새로운 감염을 시작하려면 수년이 걸리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병원체를 다년성 병원체라고 한다.
다년성 병원체는 1년 동안 주어진 지역에서 많은 새로운 감염을 일으키지는 못하고 전염원의 양도 크게 증가하지는 못하지만, 다년성 기주에서 생존하므로 매년 초에도 전년도 말과 거의 같은 양의 전염원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매년 전염원의 양은 꾸준히 증가하고, 수년 동안 이러한 증가가 유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심한 전염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병의 대표적인 예로 느릅나무 마름병, 배나무 decline병, 감귤나무 tristeza병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특정한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단주기성인가, 다주기성인가, 또는 다년성인가에 따라 주어진 기간 동안 해당 병해가 얼마나 발생할 것인가에 영향을 주므로 역학적으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여러 병해에서 전염원 또는 병의 증가율이 계산되었다. 옥수수 깨씨무늬병, 감자역병, 맥류의 녹병, 담배 모자이크병 등 잎을 침해하는 다주기성 병해에서는 r값이 0.1-0.5日이었고; 침엽수의 겨우살이, 느릅나무 마름병, 밤나무 줄기마름병, 복숭아 모자이크병 등 다년성 병해에서는 r값이 0.02-2.3/年으로 다양하였다. 다시 말해, 잎을 침해하는 다주기성 병해에서는 매일 10-50%씩, 그리고 위에서 열거한 수목의 다년성 병해에서는 매년 2-230%씩 전염원의 양 또는 병해의 발생량(감염식물의 수, 감염조직의 양 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키워드

기생성,   병진,   병원체,   병환,   전염원,   전반,   침입,   병의 발생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0.31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7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