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표준말(표준어)의 의미, 표준말(표준어)의 구성, 표준말(표준어)의 기능, 표준말(표준어)과 언어화석, 표준말(표준어)의 문제점, 표준말(표준어)의 오용 사례, 향후 표준말(표준어)의 내실화 방안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준어]표준말(표준어)의 의미, 표준말(표준어)의 구성, 표준말(표준어)의 기능, 표준말(표준어)과 언어화석, 표준말(표준어)의 문제점, 표준말(표준어)의 오용 사례, 향후 표준말(표준어)의 내실화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표준말(표준어)의 의미

Ⅲ. 표준말(표준어)의 구성

Ⅳ. 표준말(표준어)의 기능

Ⅴ. 표준말(표준어)과 언어화석

Ⅵ. 표준말(표준어)의 문제점
1. 표준어 어휘중의 극히 일부이다
2. 억양과 문법이 빠져 있다
3. 현재 잘 쓰이지 않는 말이 많다
4. 언어 현실과 다른 경우가 많다
5. 규정의 본질적 문제

Ⅶ. 표준말(표준어)의 오용 사례

Ⅷ. 향후 표준말(표준어)의 내실화 방안
1.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를 지양해야 한다
2. 복수표준어를 금기시하지 않는다
3. 언어 현실을 고려한 국어 순화를 한다
4. 규범과 언어상의 문제점을 계속 개선 보완한다
5. 표준어 보급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1.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를 지양해야 한다
남북한은 다른 민족이 아니다. 같은 민족이다. 이들의 언어가 이질화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남북이 분단되어 왕래가 자유롭지 못한가 하면, 표준어 기준을 달리 하는 등 인위적인 정책의 차이로 말미암아 많은 언어의 차이가 빚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것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제도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말이 생겨나고, 사정 및 말다듬기를 달리 하여 어휘상의 차이가 생겨난 것을 들 수 있다.
가슴노리(가슴의 맥박이 뛰는 부분), 갑자르다(힘겨워 낑낑거리다), 개잖다(신통치 않다), 난데놈(타관 놈), 날총각(몹시 남을 해롭히거나 난봉을 부리는 총각), 돌서덕(돌이 많은 곳) 등은 남한에서는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는 말이나, 북한에서는 문화어로 인정하는 말이다. 이러한 것은 물론 남한에도 있다. 이러한 사정은 지양해야 한다. 가시아버지 (장인), 소래(대야), 야시꼽다(아니꼽다), 허분하다(느슨하다)는 남한에서 방언으로 다루는 말을 북한에서 문화어로 하고, 괄호 안에 제시한 우리의 표준어도 문화어로 수용해 복수표준어를 인정한 경우이다. 앞으로의 사정은 이러한 포용의 방향을 지향해 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복수표준어를 금기시하지 않는다
표준어는 특정 방언에서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표준어는 두 가지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공통어를 토대로, 거기에 국민적 의식이 반영되어 제정된 이상적 언어체계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전국적인 공통어로, 이는 특정 지역어를 기반으로 세련된 것이며, 널리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실재언어라는 것이다. 우리의 표준어는 전자에 가까운 것이다. 이는 현실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심리적인 존재이다. 이런 의미에서 서울말이 아니라도 국민의식이 표준어로 수용하겠다면 표준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문체상의 차이 등 표현 효과를 드러내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경우에는 복수표준어를 인정하는 것이 좋다. 표준어는 유일무이해야 한다는 생각은 배제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표준어 규정에서 복수표준어를 많이 인정한 것은 잘 한 처사이다.
3. 언어 현실을 고려한 국어 순화를 한다
표준어 정책의 회고에서는 규범을 중심으로 정책을 살펴보았기에 국어 순화의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한자어가 외래어냐 아니냐, 외래어는 국어냐 아니냐의 문제 등 어종(語種)의 문제는 복잡하다. 한자어와 외래어는 국어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이의를 제기한다면 적어도 준국어(準國語)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자체가 바로 순화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한자어는 현실적으로 우리 언어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매체이기 때문이다.
한자어와 외래어가 순화 대상이 된다면 그것이 비표준어인 경우가 아니면, 표현의 문제라 할 것이다. 한글 전용을 하기 위해서 한자어를 풀어 쓴다거나, 쉽게 이해하게 하기 위해 외래어를 번역 차용한다거나 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순화를 할 때는 심리적으로 공감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거부감을 갖게 하여서는 안 된다. 남북이 이질화되지 않게 신경도 써야 한다. 그리고 북한의 다듬기처럼 원말을 사용치 않게 하는 것도 곤란하다. 그렇게 되면 남북의 언어는 심각한 이질화를 초래하게 된다. 언어 현실을 고려해 원어와 순화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할 것이며, 순화어는 권장 사용토록 하는 선에 머물러야 한다.
4. 규범과 언어상의 문제점을 계속 개선 보완한다
표준어 규정은 전무하거나, 있다고 해도 별로 의지가 되지 않는 기준을 바탕으로 지침을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이의 제정은 국어 정책사상 획기적인 것이다. 이러한 규범이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예외 조항이 너무 많다. 이는 일반 시민에게 부담을 준다. 표준어 규정 제7항의 암 -/수-에 따른 어휘사정은 재고돼야 하겠고, 제21항, 제22항, 제25항은 단수표준어를 사정한 것으로 원칙엔 무리가 없으나, 어휘 사정에는 문제가 있다. 언어 현실과 표현 효과를 고려할 때 복수표준어로 함이 바람직할 것이 여럿 보인다. 그리고, 표준어 규정이 어휘 사정에 치중하고 있는데, 문법이나 문형의 규범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오늘날 매스컴에서 많이 쓰는 - 전망이다/ - 채 발견됐다등의 표현은 이러한 필요성을 절감케 한다. 시대의 흐름과 함께 언어의 변화를 예의 주시하여 표준어 재사정의 준비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표준어 사정은 바른말의 여부도 중요하나, 이보다 더 중시되어야 할 것은 얼마나 널리 쓰이느냐 하는 사용 빈도이어야 한다.
5. 표준어 보급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표준어는 정하는 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실용돼야 한다. 우선 표준어 사용의 당위성과 실용성을 인식시켜야 한다. 보급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이나, 사회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때 표준어는 좋은 것, 방언은 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고취하거나, 방언을 박멸하려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이중 방언(二重方言)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쪽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표준어는 교양인이 공적인 자리에서 마땅히 써야 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철저히 심어 줄 일이다. 그렇게 하면 다소 표준어를 안 쓰거나, 못 쓰더라도 그것은 큰 문제가 아니다. 의식이 있는 곳에 정상화는 자연히 수반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글 보급에 그러했듯, 언론 매체의 적극적 동참을 유도하여야 한다. 그리고 조선어문 학습사용 상벌실시 규정까지 만들어 조선어 사용을 독려하고 있는 동북 삼성의 민족어 정책의 정신에서 우리는 큰 깨달음을 받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주필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국어생활 제22호, 국어연구소, 1990
국어연구소 / 표준어 모음, 국어생활 제22호, 1990
이상규 / 공통어를 기반으로 한 표준어로 어문규정의 전환을 위한 정책 제안서, 2003
이기문 / (표준어규정 해설) 머리말,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 해설, 국어연구소, 1989
이익섭 / 표준어의 기능,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3
조태린 / (연속기획) 서울 vs 지방 - 표준어와 사투리] 계급언어, 지역 언어로서의 표준어, 당대비평 제26호, 2004

키워드

표준말,   표준어,   서울말,   언어,   국어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