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빌딩의 국내외 재난 사고 사례 조사 . 분석 (프리젠테이션 용 겸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고층 빌딩의 국내외 재난 사고 사례 조사 . 분석 (프리젠테이션 용 겸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고층 빌딩과 일반 건물의 피해 현황 비교
2. 화재 원인 분석
3. 발화 위치 분석
4. Smoke Alarm/Sprinkler 성능
5. 초고층 화재 사례 ( 화재 발생 일시, 건물 용도/규모, 건물 특징, 피해 규모, 발생 원인, 화재 개요 및 연기 이동 상황, 문제점: 자동 스프링 클러 미흡, 설계 등 디자인 미흡, 시스템 관련 문제, 화재 통보 지연 문제 등등 다방면으로 분석)
사례 1) Rsidential Highrise in North York, Ontatio
사례 2) MGM Grand Hotel. Las Vegas,
사례 3) First Interstate Bank of California
사례 4) One Meridian Plaza(1991)

6. 초고층 건물의 방재 계획
6.1 화재 유형으로 본 설계 방안
6.2 화재 사례의 통계 분석을 근거로 한 초고층 방재 계획 방안
7. 결론

본문내용

재 계획 요소들을 철저히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고층건물의 층별 화재 발생 빈도에 따른 방재계획
미국의 NFPA의 통계 결과와도 비슷하게, 국내 고층건물의 화재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78%의 화재가 1~4층내에서 발생한다. 고층건물의 저층부 지점은 여러 복합시설이 존재하고 유동인구가 많음에 따라 화재 발생빈도가 큰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출입이 많고 유동인구가 많은 건물의 저층부 및 복합시설물 지역에 화재 감시와 비상대응 계획을 강화하여야 한다.
② 고층건물의 화재 원인별 방재 계획
국내 고층건물의 화재 원인별 분석에 따르면 전기화재가 34%, 담배화재가 10.6% 그리고 방화가 10.3%에 해당된다. 미국의 경우 조리기기 35%, 담배 13%, 방화 11.9% 순으로 해당된다.
전기화재 : 전기시설의 노후화를 개선시키고 화재 발생 우려가 있는 장소에 누전 감지기 등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전기화재의 대부분이 전기시설의 노후화를 원인으로 발생되기 때문이다.
조리화재 :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초고층의 경우 가스시설의 안전성을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해외 선진국들의 경우 초고층에 가스시설을 허가 하지 않으나 국내의 경우 관련 규정이 없어 가스 폭발 및 화재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가스 조리 시설의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꺼지는 시설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담배 화재 : 건물 내 금연운동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③ 고층건물의 화재 장소별 방재 계획
고층건물의 국내 화재 장소별 순위는 2002년 기준으로 거실 29%, 주방 22%, 사무실 13%, 계단/통로가 12%이다. 반면 미국의 통계는 일반적으로 주방이 화재 발생장소 1위이며 침실이 2위를 차지 한다. 국내 자료의 경우 건축법상 거실은 침실을 포함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거실 및 침실 화재 : 화재의 빠른 진압을 위해 감지기 및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한다. 현재 국내법에서는 11층 이상의 건물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초고층 건물에서 예상되는 피해를 고려한다면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방 및 사무실 화재 : 기본적인 자동 감지 및 소화설비, 방화구획, 적절한 마감재와 지속적 교육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주방 요리시설의 경우 가스시설을 전기시설로 대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계단 및 통로시설의 화재 : 주 원인은 화재 발생 가능 물질의 적재이다. 비상시 피난로로 사용되어야 할 계단 및 통로시설을 안전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 고층 건물의 주요 사망 원인별 방재 계획
미국 NFPA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주요사망원인은 연기 78%, 화상 18%에 이른다.
현재의 국내 제연 법규는 제연설비의 성능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적합성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성능위주로 접근하여 기준을 제정하고 그에 맞는 제연설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연돌효과 : MGM 호텔 화재의 경우에서 알수 있듯이 매우 위험하며,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고 피난 계단실을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화상 : 화상으로 인한 사망자의 발생에 대한 대응 방안은 화재 감지시간을 줄이고 빠른 피난이 이루어지기 위해 건물이 피난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적절한 넓이의 피난구와 피난개수를 설계부터 반영하고 훈련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⑤ 연령별 사망자 분석에 따른 방재 계획
NFPA 통계에 따르면 화재에 의한 사망자는 주로 65세 이상 노인들과 5세미만의 아동, 중장년층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초고층 건물을 설계하고 시공할 경우 이러한 노약자를 위한 배려시설이 추가로 설치 될 것을 고려해야 한다.
대피층 설치 : 미국, 호주 등의 소방분야 선진국들은 초고층 건물 시공시 대피층을 매 20~25개 층마다 설치하고 있으며, 홍콩과 중국도 각각 20층 및 15층 마다 피난 층 설립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대피지역의 설치로 장애 혹은 부상등의 문제로 이동이 어려운 사람들이 소방대원이 올 때까지 안전히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대피지역은 방화구획 및 양압시설, 자동 스프링클러, 양방향 통신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7.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초고층 빌딩의 화재 특성 및 화재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초고층 빌딩과 관련한 방재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건축물 내부 공간의 인명안전을 위협하는 요소 중 화재는 그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인원이 밀집하여 있는 초고층 건물에의 화재 안전 확보를 위한 제반 대책은 매우 중요하고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는 최고층의 건축물을 앞 다투어 건설 중이며, 최고층의 주거 형태에서 생활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의 건설 기술력은 이미 입증되었지만, 이에 수반하여 초고층 건물의 화재 안전성능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검토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더욱이 현재 국내 건축 관련 법규나 소방법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정조차 불충분한 현실에서 인명 안전을 위한 화재 안전설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초고층 건물의 화재 특성에 대한 공학적 분석과 연구,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고, 성능기준의 화재안전설계를 통한 적정 수준의 화재 안전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초고층 건물의 방재 안전 현황과 대책, 백민호
U.S Fire Administraion Topical Fire Research Series, Highrise Fires
Fire Investigation Summary, North York, NFPA
북미 초고층 건물에서 화재시 연기이동경로사례
Surrey Fires Service High-rise Fire Service Study , City of Surrey, BC
http://www.iklimnet.com
http://www.nfpa.org/index.asp
http://www.usfa.dhs.gov/
http://911research.wtc7.net/wtc/analysis/compare/fires.html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2.02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