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춘향전’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1
2. 본론 2
(1) 춘향전 개관 2
(2) 춘향전의 핵심 내용 2
(3) 춘향전의 형성과 문학사적 의미 3
(4) 춘향전의 국문학사적인 위치와 가치 3
(5) 춘향전에 나타나는 언어의 이해 4
(6) 춘향전의 구성상 특징 5
(7) 춘향전의 특징 5
(8) 춘향전의 인물 6
1) 각 인물의 성격 6
2) 인물의 표현 방법 6
(9) 춘향전의 주제 7
(10) 문체, 언어, 표현의 특징 7
1) 4.4조의 율문적인 흔적 7
2) 양반과 서민의 언어가 혼합 7
3) 전라도 방언 8
4) 개성적인 비유보다 다수의 상투적인 비유 8
5) 다수의 의성어, 의태어 8
(11) 춘향전의 배경 8
1) 시간(시대, 계절) 8
2) 공간 9
3. 결론 9
* 참고 문헌 9

본문내용

양반과 서민의 언어가 혼합
양반과 서민의 언어가 혼합 되어 나타난다. 이는 식자층과 무식한 대중에 고루 영합,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 한자어 : 육각 풍류, 녹의 홍상, 백수 나삼, 한시구(어사 출도시, 왕유의 시구), 좌우도 순읍, 어전 숙배, 삼당상 입시, 문부를 사정, 이조 참의 대사성 봉하시고, 정렬 부인 봉하시니 등
- 비어 및 서민 언어 : 애고, 박 터졌네., 농부가 장면
3) 전라도 방언
전라도 방언이 많이 나타난다. 특히 완판본의 경우가 심한 편인데, 이는 작품의 배경이 전라도이고, 판소리가 또한 전라도 지방에서 성행했기 때문이다.
- 지야자 두덩실 하는 소리, 남원 읍이 우군우군, "애고 중다."
4) 개성적인 비유보다 다수의 상투적인 비유
개성적인 비유보다 상투적인 비유가 많이 나타난다. 이는 판소리의 민중의 공동작, 적층 문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 달 같은 마패를 햇빛 같이 번쩍 들어
- 강산이 무너지고 천지가 뒤눕는 듯. 초목금순들 아니 떨랴
- 동.서문 출도 소리 청천에 진동하고, ...저 불 속에 어찌 들랴
5) 다수의 의성어, 의태어
의성어, 의태어가 많이 쓰인다. 이는 묘사를 생생하게 하여, 현장감을 살리려는 수법으로 볼 수 있다.
- 지야자 두덩실 하는 소리, 수군(수군수군), 우군우군, 등채로 휘닥딱
(11) 춘향전의 배경
1) 시간(시대, 계절)
역사적 배경으로 우선 조선 후기의 시대정신을 꼽을 수 있다. 조선 후기는 근대정신, 서민 의식, 한국적인 정신의 탐색기이다. '춘향전'은 당시의 회화, 음악, 탈춤, 실학 등과 궤를 같이 한다. 계절적으로는 봄, 여름, 가을과 겨울, 새봄의 순환을 보여 준다. 시간적으로는 가장 관심이 가는 시간은 삼경이다. 이들의 의미를 조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봄 : 남녀 주인공의 만남과 사랑이 싹트는 시기
- 여름 : 사랑의 무성하는 시기
- 가을 : 사랑의 낙엽이 지는 이별의 시기
- 겨울 : 춘향이 변사또에게 수난당하는 시기
- 새봄 : 사랑의 이별과 그에 따르는 수난이 새로운 재회(再會)로 해소되는 시기
- 三更의 前(기생의 딸)과 後(또는 이튿날, 신분 해방, 정렬 부인)
2) 공간
전라도 지방을 택하여 향토적이고 토속적인 지역 분위기와 이를 토대로 서민 의식을 드러내는 데에 성공하고 있다. 수양버들 늘어진 광한루원과 지리산에서 발원하는 요천강물을 끌어들여 연못까지 조성한 광한루는 월궁으로 비유되는 사랑의 성소로 나타나며, 특히 춘향이 갇힌 감옥은 여러 가지 점에서 상징성을 가진다.
- 전라도 지방 : 향토성, 서민 의식의 형상화가 적당한 지역
- 광한루 : 월궁으로 비유되는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
- 감옥 : 재생의 제의적인 공간. 모진 시련을 겪고 변신하는 곳으로 감옥은 기생의 신분에서 사대부의 정식 아내가 될 자격과 사랑을 성취하기 위한 시련의 장소. 혼사를 위한 통과 의례의 장소. 본능적 성애에서 정화된 정신애로, 세속적인 혼란에서 조화된 질서의 세계로, 이별에서 재회로, 16세의 소녀에서 성숙한 여인으로, 기생인 춘향에서 신분이 해방되고 나아가 정렬부인으로 변신하는 공간
3. 결론
‘춘향전’은 오랜 세월을 두고 이루어진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 양식으로 설화, 판소리, 소설의 특성을 두루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한민족의 전통적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춘향전’은 형성 과정부터가 철저한 민중 문학으로서 특정한 개인이 지은 것이 아니라 설화를 바탕으로 하여 민중들이 스스로 집단적으로 창작한 적층 문학이다. ‘춘향전’을 읽는 과정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에 대응하고 갈등을 해소해 나가는 방식에 대해서도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단순히 춘향전을 문학 갈래로서 고전 소설이라는 관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언어 자료로서 인물들의 재치와 해학, 표현 방식의 묘미, 인간성을 존중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정신 등 주제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창조적인 부분들을 찾아 활동을 적극 진행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참고 문헌
- 이문성, 『필사본 춘향전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 정하영, 『춘향전의 참구』, 집문당, 2001.
- 장덕순,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96
- 설성경 외,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2004.
- 한규섭, 『춘향전의 정서 연구』, 『어문논총』,동서어문학회 ,1999
- 이문성, 『경판 춘향전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99.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2.21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