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의 기업윤리(미디어윤리)조사및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론사의 기업윤리(미디어윤리)조사및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설문 내용분석
1-1 설문목적
1-2 설문방법
1-3 설문조사 문항
1-4 설문조사 결과
2. 인터뷰 내용분석
2-1 언론사 내 윤리헌장
2-2 언론사가 지켜야 할 기업윤리
2-3 언론사의 윤리수준 실태
2-4 MBC의 불법 도청 X_file 에 대하여
2-5 기자의 윤리
2-6 언론사 기업윤리의 필요성과 한계

III. 결 론
1. 언론사 기업윤리의 필요성
2. 언론사 기업윤리의 한계
3. 해결 방안

본문내용

일반기업(제조업)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업윤리를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언론사가 여론을 형성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해야 책임 기관이라는 기본적인 생각이 깔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언론사가 지켜야 할 기업윤리에 대해서는 사회정의 실현, 청렴성, 공공의 이익을 선택하여 일반기업의 사회공헌, 기업 이익의 극대화, 회계의 투명성과는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언론사가 이윤을 추구하는 일반기업과는 다른 형태로 존재의 이유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언론사도 기업의 한 형태이긴 하지만 그 이상의 가치(사회정의 실현)를 달성해야 존재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언론사 내부자들은 인터뷰에서 보도의 정확성과 공정성을 위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를 지켜야 한다고 답했다. 법의 위반과 국민의 알권리가 상충되는 상황에서도 크게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틀 안에서 행동을 취해야 하며 이러한 행동의 준거가 되기 위해 기업윤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내부자들도 언론이 여론을 형성하고 바꿀 수 있는 사회 기관이기 때문에 그 도덕적 책무가 크다는 것을 밝혔다. 언론사의 내부자나 외부자 모두 언론사의 기업윤리가 필요함을 여론을 형성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언론사 기본 책임에서 찾고 있다.
2. 언론사 기업윤리의 한계
언론사에 기업윤리가 강조되는 것에 비해 실제적으로 일반인들은 현재 언론사들이 기업윤리를 잘 지키지 못하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내부자들도 그들의 윤리의식에 확고한 답변을 내리지 못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우선 각 언론사 간의 경쟁에 따른 보도 제일주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다른 경쟁지 보다 한 발 앞서 보도 할 수 있다면 법은 지키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여겨 온 것이 언론사 취재 관행이다. 심지어 특종을 위해서라면 개인의 사생활 정도야 가볍게 침해하곤 했던 것이 사실이다. 매일 같이 언론사의 취재물과 접하는 대중은 이러한 언론의 취재 행태에 불신을 하고 있고 이것이 설문조사 결과에서 언론의 윤리성이 낮게 측정된 이유이다.
또한 언론이 권력이나 기업과 유착하고 있다는 생각이 우리 사회에 지배적이다. 정부와 정권 즉 정치가 여론에 의해 탄생하는 성격을 갖기 때문에 정치와 언론은 공생의 관계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자조적인 비판이 있다. 그러나 정치와 언론은 공생의 관계가 아니라 서로 비판하고 견제하는 관계에 있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한편 언론사의 특수성을 인정하기 이전에 언론사도 하나의 기업이기 때문에 이익을 내는 조직이어야 한다는 내부적인 한계성도 지적할 수 있다. 아무리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기관이라 하더라도 결국엔 이윤을 통해 조직의 존립을 유지할 수 없는 언론사라면 도산하여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런 경제적인 측면 때문에 언론사가 기업의 영향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언론사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고주들이 일반기업이기 때문이다. 특정 기업에 반하는 내용을 다루거나 신문 기사를 작성할 때 본의 아니게 이러한 관계를 신경 쓸 수밖에 없는 한계성이 있다.
3. 해결 방안
우리 사회에서 문제되고 있는 언론사, 언론인의 윤리문제는 생각하는 것보다 심각한 상황이고 이러한 비윤리적 언론 행위들이 관행적으로 고착화되다 보니 법적 제도적 제어 장치들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언론들은 모두 법적 근거보다는 언론사의 스스로의 자율 규정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지금 당장 이를 규제하는 법적 수단을 만들기란 어려운 일이다. 한 때 독제 정권이 그들의 체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언론 규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법적 규제는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언론인 취재 관행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안은 언론사 차원에서 구체적인 자율 규정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윤리 교육 과정을 통해 언론인 스스로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의식을 갖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통해 규정 자체가 구속력과 실효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입사 시 수습 기간 중에 교육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윤리 교육을 통해 윤리적 의식이 체득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할 때 자연스럽게 조직 내 언론사의 기업윤리를 체화하는 분위기가 형성 될 것이다. 현재 관행처럼 굳어져 있는 특종/보도 제일 주의 분위기도 이러한 지속적인 윤리 교육과 기자 가치관 정립을 통해 해소해야 할 것이다. 남들 보다 먼저가 아니라 남들 보다 정확하고 진실한 보도가 생명으로 여겨지는 보도 분위기가 만들어 져야 한다.
동시에 각 언론사 마다 기업윤리를 지켜야 하는 당위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이를 토대로 좀 더 구속력 있는 법적 제어 장치 마련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언론사 내부의 자율적인 움직임에서 정부에 건의 되어 만들어져야 하는 성격의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론사의 경제적인 한계성 극복으로 언론의 독립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 광고에 의한 수입보다 구독료에 의한 수입 비중이 늘어날 때 가능한 이야기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문 가격의 합리적인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동아일보의 경우 구독자 수가 1백 80만에 이른다. 이들이 내는 구독료보다 광고 수입이 훨씬 크다면 이는 신문 가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행 신문의 적절한 이윤 가격은 1부당 1천원이 넘는다. 그러나 무가지의 출간, 경쟁지와의 무한 경쟁 등으로 가격 인상은 생각도 못하고 있는 것이 신문 업계의 현실이다. 일반 대중들이 언론의 독립을 요구하면서도 정작 그에 따르는 부담은 전혀 하기 싫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언론사의 독립에는 일반 대중들의 이해와 설득이 절실하다 고 할 수 있다.
최근 PD수첩의 협박 취재 사건 등과 같이 공영 방송이나 언론사들이 취재의 본질은 생각하지만 방법적인 면에 윤리적인 개념을 도외시 한다는 것은 결국 신뢰가 생명인 언론사의 신뢰성을 더욱 떨어뜨린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언론사 내부적인 체질 계선을 위한 노력도 있어야겠지만 이러한 노력을 분담하려는 성숙한 시민으로서의 자세도 필요하다.
  • 가격2,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2.29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