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지용 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지용(鄭芝溶)의 생애

2. 정지용 시에서의 전통과 근대의 문제

3. 모더니스트 - 정지용과 김광균

4. 후기 시에서의 모더니즘 찾기

5. 정지용 시의 변화 - 정지용의 삶과 관련하여

6. 전통지향성과 새로운 시각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시에서도 역시 그의 실험은 끝나지 않은 것이다. 오히려 그의 시에서 그가 더욱 치열한 검증으로 원하는 무언가를 찾으려고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의 논의를 통해 알 수 있듯, 그의 시작(始作)은 모더니즘이었고 이후의 시작(詩作) 또한 모더니즘이었다. 다시 말하지만 그와 모더니즘을 떼어놓고는 생각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의 생각일 뿐 지용의 생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는 실험정신을 버리지 않았다. 그렇다면 그는 초기시의 어떤 이유 때문에 이를 내친 것일까. 우리는 그 이유를 초기시 안의 ‘모던함에의 추구’라고 결론지었다. 그의 초기시를 읽다보면 좀 어설픈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의 초기 실험적인 시들은 모더니즘 문학으로써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실험의 결과물과 동시에 삐걱삐걱 위태로웠던 ‘실험 과정’이 드러나는 것이다. 물론 지금 우리는 1920~30년대에서 보기에 미래인(未來人)이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용도 그런 느낌을 받지 못했을까? 그가 시간이 흐른 뒤 우리와 같은 입장이 된 후에 그는 과거의 위태로움을 버린 것이다. 자신의 젊은 날, 모더니즘에의 갈망을 버린 것이다. 그의 이런 버리는 행위 자체의 성격을 우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견주어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개정판, 믿음사, 2004, p. 36.
김욱동은 그의 책에서 비록 현대에는 활동을 하지 않지만 적어도 작품의 경향이나 스타일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에 가까운 예술가들이 과거에도 얼마든지 있었다고 말한다. 그 예로 그는 윌리엄 블레이크, 에즈러 파운드, 프란츠 카프카와 같은 아방가르드 전통에 서 있는 작가들을 포스트모던 작가라고 본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우선 모더니즘의 이성주의적 입장을 비판하며 등장했다. 모더니즘에서는 진리의 절대적 기준이던 인간의 이성을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부정한다. 하지만 이성 자체를 부정한다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 기준으로써의 이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인간(이성)만이 절대적 기준이라는 것을 깨고, 인간 외의 동식물에 대해서도 인정하기 시작한 것이다.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인간과 동물의 교감을 확인하고, 무분별한 개발을 주장하기보다 환경의 중요성을 주장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백록담, 장수산 1,2등의 후기 자연시에서 추구하는 삶의 방식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물론 이러한 해석은 기존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개념의 광범위성 안에서 보면 분명히 그의 버림은 모더니즘으로부터의 거리감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의 계승과 논리적 발전인 동시에 또한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과 의식적 단절 위의 책, p. 87.
의 큰 의미 안에서 본다면 이제까지 다루어 온 모더니스트 정지용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한 축이 되는 것이다.
7. 결 론
지금까지 우리는 기존에 진행되어 왔던 정지용의 시에 대한 이분법적인 논리로가 아닌, 하나의 연결고리를 찾아볼 수는 없을까 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의 시는 모더니즘과 전통성이라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개념을 동시에 끌어안고 있었다. 이는 그의 삶과 연결해 보았을 때, 그가 겪은 여러 가지의 중간자적 입장의 갈등 상황으로 인한 최종적인 결과물로서 모더니즘적 측면의 시와 전통지향성을 가진 시를 함께 발전시켜 나가게 한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정지용을 이해하려고 할 때, 이런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앞서 말했듯 그의 전·후기 시를 봤을 때,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를 모더니즘과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었다. 이에 우리는 여러 번의 토론과 비판을 거쳐 그가 모더니즘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정지용의 행위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것이었다. 물론 우리의 논의로도 정지용을 완벽히 이해했다고도, 설명했다고도 할 수 없지만 정지용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써 받아들여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권영민, 정지용 詩 126편 다시 읽기, 민음사, 2004.
권오만, 정지용 시의 은유 검토, 김은전 이승원 編, 한국현대시인론, 시와시학사, 1995.
김신정, 정지용 문학의 현대성, 소명, 2000.
김용희, 정지용 시의 미학성, 소명출판, 2004.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개정판, 믿음사, 2004.
김윤식 김현, 韓國文學史, 민음사, 1973.
김종태, 정지용 시의 문명 인식, 한국시학연구, 제 7집, 한국시학회, 2002.
김종태, 정지용의 백록담에 나타난 동양정신, 한국 현대시의 전통성, 하늘연못, 2001.
김종태 編, 정지용 이해, 태학사, 2002.
김창원, 김광균과 소멸의 시학, 김은전이상원 편저, 한국현대시인론, 시와시학사, 1995.
김학동, 정지용 연구, 민음사, 1987.
문덕수,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시문학사, 1981.
신범순, 정지용 시에서 ‘병적인 헤메임’과 산문 양식의 문제, 오세영 최승호 編, 한국현대시인론 I , 새미, 2003.
오세영, 지용의 자연시과 성정의 탐구, 한국현대문학연구, 제 12집, 한국현대문학회, 2002.
윤의섭, 은유에서 초월로, 조창환 外, 한국현대시인론, 한국문화사, 2005.
윤해연, 정지용 후기 시와 선비적 전통 -「장수산ㆍ1과「인동차를 중심으로, 시와시학, 2003년 여름호(통권 제50호), 시와시학사, 2003.
이석우, 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 평전, 푸른사상, 2006.
이선이, 정지용 후기시에 있어서 傳統과 近代, 우리문학연구, 제 21집, 우리문학회, 2007.
이숭원, ‘白鹿潭’에 담긴 芝溶의 美學, 鄭芝溶硏究, 새문사, 1988.
이승훈, 한국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2000.
임성권, 김광균의 우울한 모더니즘, 김학동 外, 김광균 연구, 국학자료원, 2002.
차한수, 鄭芝溶論, 송백헌 編, 韓國現代詩人論叢,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3.
최동호, 정지용 사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하재연, 일본 유학 시기 정지용 시의 특성과 창작의 방향, 비교한국학, 제15집, 국제비교한구학회,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