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언론통제] 일제 시대의 언론통제의 원인과 특징 및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의 언론통제] 일제 시대의 언론통제의 원인과 특징 및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제 강점기 언론사 시대구분
2. 민족지 부재의 시대(1910∼1919)의 언론통제
가) 국·내외 정세와 신문통일정책
나) 총독부 기관지들(매일신보와 경성일보와 The Seoul Times)
3. 민족지 출현-굴절의 시대(1919∼1940)의 언론통제
가) 3.1운동과 그의 영향
나) 민족지와 사회주의 잡지의 등장
다) 언론통제 검열기구 경무국과 일제의 언론정책
4. 민족지의 소멸시대(1940∼1945)의 언론통제
가) 태평양전쟁과 민족지 말살 계획
5. 일제의 언론통제의 원칙과 문제점
가) 동화주의(同化主義)와 현실 통치상의 모순
나) 일제 언론정책·선전의 불합리와 모순
6. 맺음말 : 일제의 對韓 언론정책·선전 실패의 근본적 이유

본문내용

에 대한 언론정책과 선전을 성공하지 못했을까? 그 근본적인 원인 2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일제는 한국 민중들이 가지고 있는 ‘대일감정’의 역사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고유한 문화 문화와 종교를 갖지 않기에 문화적 저항력이 낮은 사회에 대한 동화주의 신민지 정책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한국은 달랐다. 한국은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본에게 선진문화를 보급하는 ‘문화 전파자’라는 우월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에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시대까지 나타나는 일본에 대한 경외와 부러움은 정치·경제적 영역과 관련된 것이지, 문화적 영역에서의 인식과는 별개의 것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적 자존심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일제가 언론정책과 선전을 통해 펼친 민족문화말살정책은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둘째, 일제는 신민지 정책은 본질적으로 군사주의를 기반으로 하였다는 사실이다. 군사주의의 필연적 실패는 중국의 예로 파악할 수 있다. 징기스탄의 경우 타민족 정복방식으로 ‘문화말살통치’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정복방식은 불안전한 초기시기에는 주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결국 민족적 저항을 불러일으켜 식민지 통치의 불안을 야기하였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한(漢)족은 꾸준히 문화주의 방식을 추구해왔다. 이러한 문화주의 방식은 자 문화의 우월성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결국 피지배 민족들은 한족의 문화에 흡수되었으며 민족소멸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를 고려했을 때, 일제의 언론정책·선전이 기본적으로 한국의 문화를 폭력적(군사력에 기반 한)으로 말살하는 방향이었고, 이는 결국 일본에 대한 한국 민중의 문화적 우월성과 충돌하면서 실패의 길로 점철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참고문헌
· 김민환, 박용규, 김문종, <일제강점기 언론사 연구>(서울:나남, 2008)
· 김규환, <日帝의 對韓 言論·宣傳政策>(서울:이우, 1980)
·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김민환, <한국언론사>(서울:나남 2005)
· 정진석, <일제시대 민족지 압수기사 모음Ⅰ>(LG상남언론재단, 1998)
· http://www.pcuniversity.co.kr/an_html/dab_02/dab_02_1293_2.htm
· HJM's residency-general, recent progress in korea, seoul, 1909, p2.
· 최민지, <일제하 민족언론사론>(일월서각)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