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부와 장기의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부
2. 장기
3. 장부와 장기의 비교
Ⅲ 결론
*References

본문내용

운동에 의하면 음식물을 위액과 섞으며 묽은 죽과 같이 부수어 놓는 일을 한다. 이것을 위의 소화작용이라 하며 죽과 같이 된 음식물을 소장으로 내려 보내는 일도 한다. 위가 정상인 경우는 3-5시간에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보낸다.
위는 육부 중에서 가장 으뜸되는 것으로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 시장 같은 것이라 하였으며 수곡(음식물)을 받아 들여 여기서 정기를 얻어 온 몸에 공급한다고 믿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위는 오장육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극히 중요한 장기라고 설명되고 있다.
대장
대장의 운동으로 변이 항문 쪽으로 이동된다. 대장은 소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한 음식물의 찌꺼기를 썩히는 일을 하고 있다. 대장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이것이 가능하며 음식물이 썩을 때 가스가 생기며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대장에서는 약간의 수분과 염류만을 흡수하고 대변 덩어리를 형성하고 배변을 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대장을 일명 회장 또는 광장이라고 하였다. 대장이 등에 붙어서 소장에서 찌꺼기를 받아 배꼽으로 돌아서 겹겹이 쌓이고 항문에서 하구를 열고 있다고 보아 왔으며, "전도지관으로 변화해서 배출한다."고 하였다. 이 뜻은 음식물의 찌꺼기를 시 즉, 대변으로 만들어 이것을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한다.
방광
신장에서 수뇨관을 통해 내려 보내진 오줌을 저장하였다가 주기적으로 몸 밖으로 배설하는 일을 한다.
오줌을 저장하는 일을 주관한다. 음식물 즉, 수곡은 비장과 위의 작용에 의하여 진액으로 변하여 전신에 옮겨지는데 인체에서 필요한 양만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모두 몸 밖으로 배설한다고 믿어 왔으며, 이 나머지의 진액이 땀으로 되어 나오고, 나머지 대부분은 삼초의 수도를 거쳐서 방광으로 보내져 소변이 된다고 하였다.
3. 장부와 장기의 비교
위의 사실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학문적 특성, 연구방법의 차이 등을 알 수 있다. 즉, 한의학에서는 포괄적, 전체적으로 인체장기들을 이해하였고, 서양의학에서는 분석적, 개별적으로 인체장기를 이해하였다. 각각의 장부를 살펴보면, 간에 있어서 한의학에서의 간은 단순히 간장자체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소화기 계통, 중추신경계통, 자율신경 등의 기능까지도 부분적으로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에 있어서도, 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양의학의 심장보다 포괄적이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사유나 의식, 정지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통의 활동까지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대뇌피질에 대한 인식의 부족 때문이라 생각된다.
폐에 있어서는 거의 서양 의학적 인식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폐가 기를 주관한다는 것은 기혈과 영양물질의 교통뿐만 아니라 호흡기계와 결부되어 있는 방위기능과 면역기능 및 자율신경의 협조 작용까지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차이점들이 많다. 한의학에서의 비와 서양의학에서 말하는 비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일치된 견해가 없는데, <난경>에서 말한 “비편광삼촌, 장오촌, 유산고반척”은 췌장(pancreas)과 비슷한 것이며, 기능상으로 볼 때도 한의학적인 비와 서양의학적인 비는 같지 않다. 즉, 한의학에 있어서 비는 구조적으로 볼 때 는 서양의학의 비장(spleen),기능적으로 볼 때는 췌장(pancreas)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20C중반까지 서양에서도 해부학자들의 계획적인 해부에 의해서도 췌장을 관찰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기능의 비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나한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한의학에서는 비를 “후천지본”이라 하는데 사실상 성인의 비장을 절제해 버릴 경우 면역기능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 뿐 다른 중요한 영향은 없고, 심지어 요즘에는 비장제거술이 모종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까지 통하고 있는 이상 비에 대한 구조, 기능의 한의학적인 개념정립, 수정이 필요할 듯하다.
신에 있어서도 구조에 있어서는 서양과 일치하나, 기능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는데, 곧 소변배설기능이 그것이다. 이것도, 신에서 소변이 걸러진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 한 것 때문이라 사료된다.(동양의 해부도를 살펴보면, 신과 방광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
한의학에서는 서양의학의 신장의 비뇨작용과 세뇨관의 재흡수작용 및 수뇨관, 방광의 작용 등이 모두 한의학적인 방광의 기능으로 개괄되어진다고 하는데, 이것도 신의 구조, 기능을 정확히 연계시키지 못한 설명인 것 같다.
Ⅲ 결론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인체 장기에 대한 해부학적인 위치와 형태 또, 그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해부학적인 형태는 삼초를 제외하면 그다지 차이가 많이 없었지만 기능에 대해서는 상이한 점이 많았다. 한의학의 장부는 서양의학의 장기에 비해 구조보다는 기능이 중요시 되는 듯하다. 그 기능 자체도 과학적이기 보다는 상당히 철학적인 면이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현대사회에서 한의학이든 서양의학이든 의학은 자연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잘 발달할 수 있다. 한의학은 명확하게 개념과 이론이 정리되어야 하고, 장부는 그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이 체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한의학에서 심은 혀를 주관하고 간은 손발톱과 관련된다는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또한 삼초에 대해서 전혀 몰랐었는데 해부학적으로 형태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삼초는 인체의 기화작용을 주관하고 수액대사에 관여한다는 서양의학과는 다른 한의학만의 장부에 대한 부분을 새롭게 알 수가 있었다.
*References
-동양의학의 기초 옥은성 p78~p136
-한방간호학 양경희 외 p27~p36
-동의학 어떻게 배울 것인가 한상모 외 p79~p99
-http://blog.naver.com/dawnshine?Redirect=Log&logNo=80035830662
우리 몸 사전 김종대·주경복 옮김
-http://yoonhani.co.kr/YZboard/view.php?id=84&code=new_02&start=0&s_que=&mode=&field=&page=1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인체장기에 대한 구조적기능적 입장차이에 대한 고찰
-http://blog.naver.com/phr4610/110015398722
한의학에서 보는 오장육부의 의미

키워드

장부,   장기,   오장육부,   삼초,   심포
  • 가격4,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