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미술] 불교 공예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미술] 불교 공예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儀式具
(1) 梵鐘
(2)鼓
(3) 木魚
(4)雲板

Ⅱ. 供養具
(1)香爐
(2)花甁
(3) 淨甁
(4) 燈
(5) 舍利己

Ⅲ. 莊嚴具
(1)佛壇
(2) 佛龕
(3) 幢
(4) 幡

본문내용

자리하는 것을 대좌라고 하거니와 이는 불단의 원형이 되지만 현재에 이르러서는 불단과 대좌가 분리되어 조성된다. 이를 테면 불상은 부처님의 몸체와 광배 그리고 대좌가 함께 조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단 위에 다시 모시기 위해 제작된 것이 불단이다.
불단은 돌·흙·나무 등으로 만드는데 그 재료에 따라 石壇·土壇·木壇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는 석단이나 토단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조선시대 후기에 크게 유행한 목단이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목단은 대부분의 사원에서 아직도 불단으로 쓰이고 있다. 불전의 중심부에 약 1~2m의 높이로 직사각형의 단을 짜고 그 위에 불상들을 안치하고 있다. 정면과 좌우 측면 등 각 면에는 여러 가지 꽃·새·짐승·당초·보상화 무늬들을 浮彫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기에 단청으로 채색을 한다. 上面의 테두리에는 난간을 두르고 난간 역시 화려한 무늬들고 장식하고 있다. 은해사의 백흥암·선운사·대흥사·직지사·화엄사와 같은 사원의 불단들은 화려하면서도 웅장한 면모를 과시하고 있어서 법당의 분위기를 장엄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2) 佛龕
집의 축소형으로 寶閣이나 廚子와 비슷하다. 불감은 안에 불상을 봉안하기 위한 것인데, 작은 것은 이동하기 쉽도록 닫으면 동그랗게 되는 것도 있고, 집모양으로 된것도 있다. 재료로는 동이나 나무가 많이 쓰였으며 조선시대 때는 나무로 된 불감이 많았다. 송광사의 불감이나 동국대 소장 불감, 상백운암 불감 등은 나무 불감이여, 천은사 불감이나 간송미술관 소장 불감은 동으로 된 집 모양의 불감으로 뛰어난 걸작들이다. 보각(寶閣)에 가까운 것으로는 동국대 소장 흥국사 보전(興國寺 寶殿)등이 있는데 특히 장곡사 상대웅전의 전각형 불감과 봉정사 극락전의 전각형 불감은 매우 정교한 공예적인 佛殿들로 주목된다.
(3) 幢
당은 절의 문 앞에 긴 장대(간주)를 세우고 그 끝에 용두의 모양을 만든 다음 깃발을 달아서 부처와 보살의 위신과 공덕을 표시하는 장엄구이다. 당번(幢幡)은 항상 달아 두는 것이 아니고 기도나 법회 등 의식이 있을 때만 불전이나 불당 앞에 세우는데 중생을 지휘하고 魔軍을 굴복시키기 위한 표시이다. 당은 긴 막대기에 여러가지 비단을 단 것으로 원래는 각종 왕실 의례에서 왕을 따르는 호위병이나 장군이 병졸을 통솔할 때 사용했던 군기의 일종이다. 그러나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는 법왕이기 때문에 불교의례에 적극 수용되어 모든 번뇌를 파괴한다고 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게 되었다. 보통 막대기의 끝이 용 머리 모양을 하고 있으면 如意頭幢혹은 摩尼幢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당간 지주가 많이 남아 있어서 일찍부터 번으로 불전을 장엄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 幡
번은 부처와 보살의 위덕과 무량한 공덕을 나타내는 것으로 깃발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불전을 장엄하기 위하여 불전 내의 기둥이나 법회가 진행될 때 幢竿에 매달아 뜰 가운데 세우거나 혹은 천개나 탑의 상륜부에 매달아 높은 곳에서 나부껴 사람들을 불교에 귀의하게 하는 효능을 지닌다.
현재 남아 있는 유물은 조선 후기의 직물제가 대부분인데, 중국에서 제작된 일반적인 번의 형태보다 간략화되면서 한국적인 조형감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즉 번신(幡身)은 상하가 긴 직사각형이고 번두(幡頭)는 이등변삼각형이 변형되어 꼭지점 부분의 모서리가 모죽임 되어 번신까지 내려왔다. 그리고 번수(幡手)와 번미(燔尾)는 간략화되어 번신과 분리되지 않으며 마치 線을 돌린 것처럼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세부 표현에는 한국적인 장식성이 가미 된 것이 특징이다. 번두는 검은색으로 처리하며 그 위에 오색천으로 깁고 오색실로 수놓은 복장 주머니 두 개가 매달려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1.20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