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한국전통한지][한지(전통한지) 제작방법]한지(한국전통한지)의 특성, 한지(한국전통한지)의 관련용어와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유형,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제작방법 및 한지(한국전통한지)의 평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지][한국전통한지][한지(전통한지) 제작방법]한지(한국전통한지)의 특성, 한지(한국전통한지)의 관련용어와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유형,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제작방법 및 한지(한국전통한지)의 평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지(한국전통한지)의 특성
1. 소성
2. 삼투성
3. 흡수성

Ⅱ. 한지(한국전통한지)의 관련용어
1. 통물
2. 뜬다
3. 통
4. 통꾼
5. 남바
6. 풀구유
7. 풀을 낸다
8. 대막대기
9. 푸대친다
10. 외발지발
11. 개량지발
12. 바닥
13. 쓰레
14. 철판쟁이, 비벽쟁이, 비벽꾼
15. 베개 놓는다
16. 바탕
17. 깔모
18. 궁글대 친다
19. 티를 줍는다
20. 종재기
21. 물질한다
22. 물을 턴다
23. 닥풀을 낸다
24. 일군다
25. 일대, 이랫대, 이라지대
26. 닥채겨릅
27. 짐짠다
28. 통간
29. 쇠판간, 철판간
30. 다름
31. 다름한다
32. 해기깐
33. 물나무
34. 건조비
35. 거품질
36. 도침

Ⅲ.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유형
1. 화선지(畵仙紙 혹은 畵宣紙)
2. 옥판선지(玉版宣紙)
3. 당지(唐紙)
4. 마지(麻紙)
5. 죽지(竹紙)
6. 순지(純紙)
7. 장지(壯紙)
8. 태지(苔紙)
9. 색한지(色韓紙)

Ⅳ.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제작방법
1. 한지 제작과정
2. 한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생산도구 및 사용되는 용어
1) 닥낫
2) 닥칼
3) 솥
4) 보고리틀
5) 닥돌
6) 닥방망이(닥메)
7) 휘젓이
8) 수통
9) 지함
10) 닥풀자루
11) 지통
12) 풀작대기
13) 발틀
14) 벼개(벼개골)
15) 궁글통
16) 이릿대
17) 빗자루
18) 건조기
19) 지방
20) 통끈
21) 저피
22) 흑피
23) 백피
24) 박피
25) 고래
26) 풀바라지
27) 유지
28) 압착
29) 물질
30) 칸자리(마실자리)
31) 닥달
32) 거품
33) 비벽질
34) 장수

Ⅴ. 한지(한국전통한지)의 평가
1. 한지의 장점
2. 한지의 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덜하여 중복해서 칠할 수 있기 때문에 채색화에서 주로 사용한다.
8. 태지(苔紙)
태지는 이끼에 저(楮)를 섞어 만든 한지의 일종으로 1541년에 김안국(金安國)이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태지는 솜털이 일고 이끼가 박혀있어 피지라고도 부르며 물기를 잘 흡수하지 않고 발묵이 좋은 편은 아니나 질기고 독특한 바탕이 초등학교에서 재미있는 표현을 하기에 좋다.
9. 색한지(色韓紙)
색한지는 한지에 여러 가지 색깔의 물을 드린 종이이다. 색상이 아름답고 색깔이 다양하여 그림뿐만 아니라 한지 공예에도 많이 애용된다.
Ⅳ. 한지(한국전통한지)의 제작방법
1. 한지 제작과정
한지를 만드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서 많은 손질이 필요하다. 특히 질이 좋은 종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성을 많이 들여야 한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주로 농한기를 이용하여 정성껏 한지를 만들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갔다.
11-2월 사이에 닥을 채취하여 껍질을 벗기는데, 이때가 닥껍질의 섬유질이 가장 잘 생성되어 있을 때이고, 닥껍질의 수분도 적당하여 껍질을 벗기기가 쉽다. 베어온 닥나무를 커다란 솥에 넣고 삶아서 껍질을 벗기고 차가운 시냇물에 담가서 불린 다음 겉껍질을 벗겨내고 안쪽의 흰 부분인 내피만 남긴다. 다시 내피를 솥에 넣고 잿물(매밀잿물 등)을 넣어 푹 삶아서 질이 연해지면 참나무 방망이로 두들긴 후 잘게 부순다. 이것을 지통에 넣고 잘 풀어서 섬유질이 골고루 섞이게 하고 여기에다 닥풀즙(밀명 황촉규즙)을 섞는다. 그런 다음 한지를 뜨는데, 한지를 뜨는 장방형의 대나무 발이나 쇠머리풀 발을 발틀에 올려놓은 다음 발틀을 지통 속의 용액에 담가 전후좌우로 흔들면서 닥의 섬유질을 고르게 건져내는데, 지통 속에서 흔드는 횟수에 따라서 종이의 두께가 달라진다. 건져낸 섬유질의 젖은 종이를 한 장씩 차례대로 모아 판자를 얹어 무거운 돌로 눌러서 물기를 빼고 말리면 노르스름한 한지가 된다.
겉으로 보아서는 손으로 만든 한지가 화공약품을 사용하여 만든 종이보다 투박하고 색깔이 깨끗하지 못하며 가격도 비싸다. 화공약품을 사용하여 기계로 만든 종이는 불에 태워 보면 재가 까맣게 되어 내려앉지만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든 한지를 태워보면 하얀 재가 되어 공중으로 가볍게 올라가기 때문에 소지(燒紙)종이로 많이 사용된다. 한지는 겉만 보기 좋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재래의 방식대로 얼음을 깨고 닥껍질을 찬물에 담가 제댈 만들어야 천년의 전통과 조상의 얼이 담긴 질기고 은은한 색깔의 한지가 만들어진다. 한지를 만드는 데는 계곡에서 흘러나오는 차고 깨끗한 찬물이 필수적이다. 깨끗하지 못한 물은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수온이 높은 물은 닥의 섬유질을 삭게 하여 못쓰게 되기 때문이다.
2. 한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생산도구 및 사용되는 용어
1) 닥낫
닥작을 벨 때 사용되는 낫
2) 닥칼
닥나무 껍질을 벗기거나 흑피를 벗길 때 사용되는 칼
3) 솥
닥나무를 삶는 솥
4) 보고리틀
삶은 닥을 삼베보에 싸서 얹어놓고 씻는 틀
5) 닥돌
삶은 닥껍질을 두드릴 때 사용하는 넓적한 받침돌
6) 닥방망이(닥메)
닥껍질을 삶아서 두드릴 때 사용하는 방망이
7) 휘젓이
지통에 닥섬유를 풀어 넣고 휘젓는 막대
8) 수통
닥껍질을 씻는 물통
9) 지함
두드려서 연해진 덕껍질 반죽을 담는 통
10) 닥풀자루
황촉규나 느릅나무즙을 담는 자루
11) 지통
물을 붓고 닥의 섬유 및 닥풀을 물어놓고 한지를 떠내는 통
12) 풀작대기
지통에 닥풀을 넣고 젖는 작대기
13) 발틀
종이를 뜨는 틀
14) 벼개(벼개골)
떠낸 한지를 쉽게 떼기 위해 동이를 떠서 한자리에 놓을 때 매 장마다 놓는 가느다란 실이나 노끈
15) 궁글통
물기를 빼는데 사용하는 둥근 나무기둥
16) 이릿대
여러장 붙은 종이를 뗄 때 사용하는 대가지
17) 빗자루
젖은 종이를 건조판에 부착시킬 때 사용하는 빗자루나 솔
18) 건조기
젓은 한지를 건조시키는 철판
19) 지방
젖은 한지를 건조시키는 방
20) 통끈
한지를 뜨는 사람. 지장(紙匠)
21) 저피
닥나무 껍질
22) 흑피
닥나무의 겉껍질
23) 백피
닥나무의 속껍질로 한지의 원료가 된다.
24) 박피
닥나무의 껍질을 벗기는 일
25) 고래
방망이로 작껍질을 두들겨 반죽하는 일
26) 풀바라지
지통에 닥풀용액을 함께 풀어 넣는 일
27) 유지
갓 떠낸 젖은 종이
28) 압착
젖은 종이를 쌓아놓고 물을 빼는 일
29) 물질
발로 종이를 뜨는 일
30) 칸자리(마실자리)
발로 뜬 종이를 펴놓는 자리
31) 닥달
한지로 장판지를 만들 경우 다듬질을 하여 반들반들하고 빳빳하게 하는 일
32) 거품
닥달한 것을 건조시키는 일
33) 비벽질
종이를 말리는 일
34) 장수
한지 1권: 20장, 1축: 200장, 1동: 2000장
Ⅴ. 한지(한국전통한지)의 평가
한지의 특성은 우리 민족성처럼 강인하고 부드러우며 깨끗할 뿐만 아니라 은은하기도 하며 정감이 있다. 또한 투박하지만 질감과 빛깔이 곱고 한지 특유의 냄새가 향긋하다.
1. 한지의 장점
질겨서 잘 찢어지지 않는다.
냄새가 향긋하다.
지질이 매우 부드럽다.
빛깔이 곱고 은은하다.
통풍이 잘 된다.
여러 가지 넣어서 제작할 수 있다.
물감을 들이기가 쉽다.
기름을 잘 먹기 때문에 유지(油紙) 제조가 쉽다.
먹물을 잘 빨아들여 글을 쓰거나 그림 그리기에 좋다.
가볍기 때문에 운반하기가 쉽다.
옷에 넣어 방한용으로도 쓴다.
2. 한지의 단점
물기에 약하다. 오래되면 먼지가 많이 낀다.
통풍이 잘 되어 열전도율이 높으므로 겨울 방한에는 좋지 않다.
오래 쓰면 지면(紙面)이 핀다.
물감이 잘 번지므로 염색할 때 주의해야 한다.
피지(皮紙)의 경우 티가 많아 보기에 좋지 않다.
참고문헌
김민정(1987) / 지필묵연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동숙(1981) / 정통 동양화기법, 서울 : 미조사
이겸노(1989) / 문방사우, 서울 : 대원사
왕백민 저·강관식 역(1991) / 동양화구도론, 서울 : 미진사
조지 로울리 저·김기주 역(1987) / 동양화의 원리, 서울 : 중앙일보사
최병식(1989) / 동양미술사전, 서울 : 갑을출판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