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머리

2. 여음의 개념과 종류
2.1. 개념
2.2. 종류
2.2.1. 위치별 분류에 따른 여음의 종류
2.2.2. 성분별 분류에 따른 여음의 종류

3.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징
3.1. 여음의 기능
3.1.1. 종결의 기능
3.1.2. 분리의 기능
3.1.3. 조흥의 기능
3.1.4. 수사의 기능
3.1.5. 해음의 기능
3.1.6. 시작의 기능
3.1.7. 대치의 기능
3.2. 여음의 특징

4. 맺음말

본문내용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3.2. 여음의 특징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으로는 반복성, 음악성, 분절성, 연속·강조성, 민족성의 재현 등을 들 수 있는데, 순서대로 자세히 살피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성'이 나타나는 양상은 韻단위, 語단위, 句단위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더 세분하여 同韻반복과 類韻반복, 同語반복과 類語반복, 同句반복과 類句반복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여기에 다시 頭韻반복과 末韻반복, 頭語반복과 末語반복을 들 수 있지만, 고려속요의 반복의 특성은 무엇보다도 '후렴이 갖는 회귀반복'이라 할 수 있는데 회귀반복은 제 1연의 여음이 제2연에, 다시 다음 3연으로 반복 회귀하는 형태를 말한다.
둘째, 반복성에 의해 느낄 수 있는 여음들의 조화와 '음악성'도 고려속요 여음의 특성이다. 고려 속요는 민요로 불리어지다가 변개·개작의 과정을 거쳐 궁중의 속악으로 불리어진 노래이다. 그러므로 고려 속요에 있어서 여음이 후렴으로서 많이 쓰인 것은 음악적 효과를 위한 것이고, 여음이 악기의 의성어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에서라고 볼 수 있다. <청산별곡>의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서경별곡>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등에서 음악적 리듬감을 충분히 엿볼 수 있는데, 우리 시가에서 문학적인 면 못지않게 음악적인 면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고려속요 여음의 음악성은 매우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분절성'은 본사의 형태에 대해 갖는 특징으로, 여음은 고시가의 후렴부에 주로 붙어 연을 분절한다. 본사가 길면 긴 노래일수록 여음이 개재되어 장형화된 연시로 분절됨을 볼 수 있는데, <정읍사>는 3장 6구의 단연시였는데 여음에 의해 3연으로 되었고 3연이던 〈서경별곡〉은 여음의 사용으로 분절되어 14연체가 되었다. <처용가>는 歌意에 의하면 분명 4연이지만 昌위주로 그 형식을 분절해 보면 小葉 초두마다 '아으'가 개입됨으로 6연으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정석가〉는 歌意를 보면 6연이겠으나, 昌위주로 보면 후렴첨가 형식의 효과를 모방하여 각 연마다 평균 2행식의 실제적 시구를 반복하여 11연으로 분절할 수 있는 장형시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예를 보면 속요의 연시형은 여음의 분절성에 의해 이루어진 형태라 할 수 있다.
넷째, '연속·강조성'은 반복성에 의해서 나타난 특성이지만 여음은 歌意와 歌를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때에 따라서는 누그러지는 듯하기도 하지만 여음의 누그러지는 듯한 사설들이 리드미컬하므로 한층 절실한 연속 강조성을 더하여 준다. <이상곡>, <정석가>, <사모곡>, <만전춘> 등의 末句 시조의 종장은 前句에 대한 결어적 요소로서 강조하는 임무를 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즉 여음이 있음으로 해서 연시는 회귀반복되어 歌意를 더욱 치밀하게 계속적으로 강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민족성의 재현'을 들 수 있는데, 여음은 우리 민족성을 재현시켜 준다는 특징도 가진다. 우리 민족은 상고시대부터 시가생활을 영위해 왔다. 아름다운 자연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며 때때로 하늘에 제(祭)를 올렸고 동시에 이에 대한 각종 가무(歌舞)의식이 행해졌던 것은 기록에 나타나 있는데 이런 현상을 통해 민족정서를 느껴볼 수 있었고 특히 시가에 따르는 여음은 이를 더욱 고조시키는 역할을 했다. <청산별곡>의 '얄리 얄리 얄랑셩 얄라'는 비애에 잠기면서도 낙천적인 명랑성을 재고시켜주고 있으며, <사모곡>의 '덩더둥셩', <서경별곡>의 '두어렁셩'은 어깨춤을 일렁이게 하는 흥겨움을 준다. <정과정>의 '아소 님하'는 애환이 담긴 여음으로 어떤 염원을 간절히 바라는 애상이 깔려 있다. 이처럼 여음을 통해서는 민족정서 또한 느낄 수 있다.
4. 맺음말
지금까지 고려속요 여음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여음이 가지는 기능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 중요한 형식상 특징 중의 하나인 여음은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로, 그것의 '내용'·'성분'· '창법'·'형태'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위치'와 '성분'에 따라 전치여음(前置餘音)·중치여음(中置餘音)·후치여음(後置餘音)과 감탄여음(感歎餘音) ·의성여음(擬聲餘音)·어사여음(語辭餘音)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음의 기능에 대해서는 정재호의 의견을 따라 '종결(終結)'·'분리(分離)'·'조흥(助興)'·'수사(修辭)'·'해음(諧音)'·'시작(始作)'·'대치(代置)'의 7가지로 나누어 파악했으며, 여음의 특징으로는 '반복성'·'음악성'·'분절성'· '연속강조성'·'민족성의 재현'을 들고 설명해보았다.
고려속요의 여음은 문학적 측면과 음악적 측면 둘 다를 고려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고려속요 작품들을 접할 때에는 여음이 가지는 기능과 특성을 고려하여 작품의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파악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쾌덕(1983), 「여음에 대한 한 고찰」, 『태야최동원선생 환갑기념』, p35-50.
노철(1974), 「시가요의 여음고」, 『전북대 논문집』2, p135-152.
이병기(1968),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이희승(1982),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p2603.
정경란(1996), 「고려속악의 여음」, 『한국학대학원논문집』11, p115-151.
정동화(1976), 「여음고」, 『선청어문』7, p389-419.
정병욱(1992), 「악기의 구음으로 본 별곡의 여음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정재호(1980ㄱ),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 『국어국문학』84, p188-190.
정재호(1980ㄴ), 「한국시가 여음의 기능고 -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교육논총』10, p63-82.
조동일(2003),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조해숙(1998),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 양상」,
『전농어문연구』10, p263-287.
한국문학개론 편찬위원회(2001), 「속요」, 『한국문학개론』, 혜진서관, p88-104.
황희영(1957), 「한국시가여음고」, 『국어국문학』 18.

키워드

고려속요,   여음,   기능,   특징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