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기원과 발생시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시조의 기원
2.1. 외래 기원설
2.1.1. 한시 기원설(漢詩 起源說)
2.2.2. 불가 기원설(佛歌 起源說)
2.2. 재래기원설
2.2.1. 재래 고급장르의 계기적(繼起的) 기원설
2.2.1.1. 속요 기원설 (俗謠 起源說)
2.2.2. 재래 기층장르의 상승설
2.2.2.1. 민요 기원설(民謠 起源說)
2.2.2.2. 신가 기원설(神歌 起源說)
2.2.3. 재래 높은 장르와 낮은 장르의 교체설
2.2.3.1. 향가 기원설(鄕歌 起源說)
2.2.4. 先行장르의 변형계승설

3. 시조의 발생시기

4. 나가는 말

본문내용

영(崔塋), 정몽주(鄭夢周) 등을 들고 그 작품을 한두수씩 싣고 있으나, 12세기 초엽에 살았던 곽여까지는 대개 시조형식의 시가가 나올 수 없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는 것도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하나의 근거가 되고 있다. 따라서 시조의 발생시기는 고려말엽으로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18세기 이후에 집중적으로 편찬된 시조집이 보여주고 있는 일부 기명 작가에 대해서만 자의적으로 신빙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 이 주장의 중대한 결함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백제의 성충이 그 비장한 최후로 인하여 전설적인 인물이 되었기에 후대인의 의작(擬作)에 의하여 시조작가로 등장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 이방원의 <何如歌>나 정몽주의 <丹心歌> 역시 후대인의 의작일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13세기 발생설이 명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착안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실증적 논거를 제시한 주장이 15세기 발생설이다. 현전하는 자료를 대상으로 작가와 작품의 창작 연대를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 이현보의 <漁夫短歌>, 이황의 <陶山六曲>, 김구의 <短歌> 등이라는 실증적인 자료에 입각한 이 주장은 그 나름의 설득력을 지닌다. 그러나 이 주장도 이별(李鼈)의 <장육당육가>와 같이 이 시기보다 앞선 작품이 발견되기만 하면 쉽게 부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나치게 실증
적인 자료에만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
4. 나가는 말
지금까지 시조의 기원과 발생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재래기원설과 외래기원설 두 가지를 살펴보았는데 요즘 들어 우리 율격과 외국(중국 등)의 율격히 현저히 달라 이를 비교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에 비추어볼 때 재래기원설이 더 타당하다고 볼 수 있겠다. 그 중에서도 선행장르의 변형 계승설이 가장 타당해 보였다. 그리고 시조의 발생시기에 있어서는 고려말엽에 이르러 시조 작자가 대거 등장했다는 점과 그 당시의 작품이 많이 남아있다는 점을 근거로 보아 '고려말엽설'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참고문헌
권두환(1993), 「시조의 발생과 기원」, 『冠嶽語文硏究』18집 21∼45P
성기옥 외 공저(1992),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조동일(1994), 『한국문학통사』2, 3판, 지식산업사, 1994.
김병국(1986), 「시조의 발생시기」,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