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생규장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 선행 연구 검토

2. 『전등신화』와의 관계

3. 「이생규장전」의 구조 - 삽입시가의 기능을 중심으로

4. 애정갈등의 양상

5. 비극적 결말과 성격

6. 맺음말 - 「이생규장전」의 교수-학습 내용

본문내용

기소설의 중요한 창작기제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과 '고독'이라고 할 수 있다. 자아와 세계의 대결에서 끝내 패배하고 마는 자아의 좌절과 그에 따른 고독은 전기소설 작품을 통해 드러난다. 여기에서 자아는 작품 내적 자아와 작품 외적 자아로 나눌 수 있다.즉 작품 외적 자아인 작가가 작품 내적 자아인 소설의 주인공을 통해 창작 욕구를 작품에 표현한 것이다. 세계 또한 작품 내적 세계와 작품 외적 세계로 나뉜다. 작품 내적 세계는 소설의 주인공이 대결하는 세계이고, 작품 외적 세계는 작가가 겪는 세계이다. 작품에서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나타내는 모티프들을 찾아보자.
작품내적자아:이생,최랑
작품내적세계:
작품외적자아:김시습
작품외적세계:
「이생규장전」에 드러난'세계에 패배한 자아의 고독'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모티프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3. 「이생규장전」이외에도 조선시대의 전기소설로 여러 작품들이 있다. 그 중 「운영전」의 스토리텔링을 듣고 물음에 답해 보자.
① 「운영전」의 서사구조를 정리해 보자.
② 「운영전」의 모티프를 찾아보고 「「이생규장전」」의 모티프와 비교해 보자.
③ 「「이생규장전」」과 「운영전」에서 드러나는 전기소설의 특징에 대해 말해 보자.
1번은 모티프 찾기와 의미 탐구를 위한 활동으로 「이생규장전」의 중요한 모티프를 먼저 제시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보도록 하는 활동이다. 교사가 시범적으로 모티프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학습자는 나머지 모티프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 또 작품 속에서 직접 모티프들을 찾는 활동을 한다. 2번은 작품의 주제와 관련된 모티프에 대해 탐색해 보는 학습 활동으로 작품외적자아인 김시습이 작품내적자아인 이생과 최랑에게 자신을 투영하고 있음을, 작품의 외적세계인 김시습을 둘러싼 세계와 작품내적세계인 이생과 최랑이 겪는 세계가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알도록 하는 활동이다. 3번은「이생규장전」과 같은 전기소설 장르인 「운영전」과의 비교를 통해 장르적 특성에 접근하는 활동으로 작품의 요약문을 제시하는 대신 학습의 효율성과 동기유발을 위해 「운영전」의 내용은 스토리텔링으로 제시한다.
다. 비평적 감상을 통한 문화의 수용
비평적 감상이란 앞에서 학습한 한문소설 작품을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비평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생규장전」에서는 애정전기 외의 한국의 전기소설·동아시아의 전기소설과의 비교를 통하여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찾아내어 비평적 감상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한자문화권에서 한문소설 양식인 전기소설이라는 소설 문화가 어떻게 수용·변모·창조되었는지 알아볼 수 있다. 한 예로 「이생규장전」과 「용궁부연록」의 비평적 감상을 통한 문화의 수용 학습활동을 들 수 있다.
「이생규장전」외에도 김시습의 『금오신화』 에 수록된 작품으로 「萬福寺樗蒲記(만복사 저포놀이)」,「醉遊浮碧亭記(부벽정에서 취하여 놀다)」,「南炎浮洲志(남쪽 염부주의 이야기)」, 「龍宮赴宴錄(용궁 잔치에 초대받다.)」이 있다. 이 작품들 중 「「이생규장전」」처럼 애정을 소재로 한 작품이 있는가 하면 다른 세계로의 여행을 그린 작품도 있다. 다른 세계로의 여행을 소재로 한 「용궁부연록」의 스토리텔링을 듣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용궁부연록」의 서사구조와 모티프를 정리해 보자.
· 서사구조
· 모티프
2. 「이생규장전」과 「용궁부연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자.
3. 두 작품의 주제와 특징을 통해 전기소설을 정의해 보자.
1번은 「용궁부연록」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파악으로 서사구조와 모티프를 통해 이 작품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학습자들은 이미 「이생규장전」을 통해 서사구조와 모티프에 대한 교수-학습 활동을 하였으므로 이 작품에서는 두 단계를 모아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전기소설의 또 다른 형식인 다른 세계로의 여행을 소재로 한 작품의 구조와 모티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2번은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인물, 서사구조, 모티프, 주제 등의 항목에서 학습자가 발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활동이다. 먼저 1번 학습활동을 통해 「용궁부연록」에 대한 간략한 이해를 마친 학습자는 이 활동에서는 「이생규장전」과의 비교를 통해 「용궁부연록」의 특징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앞서 학습한 「이생규장전」도 이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새롭게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활동을 통하여 전기소설의 대표적인 두 가지 서사전개 형식의 특징을 알고 이를 주제와 관련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3번은 학습자가 두 작품의 주제와 특징을 통해 스스로 전기소설의 정의를 내려 보는 활동이다. 기존의 교과서는 전기소설을 다루면서 전기소설의 정의를 제시하지 않거나 제시한 경우라도 빙산의 일각만을 드러내는 식의 정의에 그쳤다. 이 활동은 교과서의 일방적인 정의가 아닌 학습자가 전기소설의 작품을 학습한 것을 토대로 직접 정의하도록 구성하였다. 현재의 학습자가 바라본 전기소설의 생생한 정의를 통해 우리 한문소설 문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각과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 등을 기를 수 있다.
) 이신혜, 「漢文小說의 敎育的 讀法과 敎育內容 硏究 : 愛情傳奇小說을 대상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pp.85-99. 요약.
<참고 문헌>
김자현, 「<이생규장전>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박희병·정길수, 『끝나지 않은 사랑』, 돌베개, 2010.
윤경희, 「<이생규장전>의 구조적 연구 - 삽입시가의 기능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3, 한국고소설학회, 1997.
이상구, 「<이생규장전>의 갈등구조와 작가의식 - 『전등신화』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35, 민족어문학회, 1996.
이대규,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해석」, 『국어교육』 67, 한국어교육학회, 1989.
이대형, 『금오신화 연구』, 보고사, 2003.
이신혜, 「漢文小說의 敎育的 讀法과 敎育內容 硏究 : 愛情傳奇小說을 대상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채연식, 「애정류 전기소설 연구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19,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0.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