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화의 철학적 관점의 인식론적 접근과 존재론적, 가치론적 접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인식론적 접근

Ⅱ. 존재론적 접근

1. 현상학적 접근
2. 해석학적 접근
3. 실존론적 접근

Ⅲ. 가치론적 접근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유롭고 자발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존재성을 인격적 차원에서 생각
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반면 실존주의 철학은 개인에게 부여된 자유를 지나
치게 신뢰했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실존론적 접근으로 청소년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선택, 결
단, 책임이라는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과연 오늘날 우
리의 청소년들은 자기들만의 고유문화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이고 주
체적인 선택과 결단을 하고 있는가? 더 나아가서 이들은 자신들의 문화장조
행위에 대해서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가? 만약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킨다면,
청소년문화는 실존주의적으로 충실하다. 이때 개개인 역시 '인격체'로 간주된
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이 결여된다면, 청소년 문화는 실존주의적 차원으로 설
명되기 어렵다. 아니면 지금의 청소년문화는 지나친 자유만끽을 통한 방종의
산물인가?
III. 가치론적 접근
가치론(價値論,axiology)은 '가치있는'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axios'와 '학문'라
는 뜻의 'logos'에서 나온 말로서, 광의로 '선'(努) 또는 '가치'에 관한 철학이다
(브리태니커). '가치'라는 용어는 어떤 것의 '값'을 뜻한다. 그 일이 가치가 있느
냐 없느냐? 그것의 가치는 얼마나 되는가? 등의 가치문제는 참의 본질적 행동
과 태도를 결정한다. 18세기 정치경제학자 애덤 스미스(A. Smith)는 '교환가치'
라는 개념을 통하여 자신의 경제학 이론을 전개했으며, 로체(Kudolf Hermann Lotze)와 리플(Albrecht Ritschl) 등 "신(熱)칸트주의자"들은 가치의 문제를 최초로 철
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이들은 사실판단도 가치판단도 그것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가치요청 또는 규범이 없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가치를(Axiologie)'이라는 용어 자체는 철학자 하르트만(Karl Robert Eduard von
Hanmann, 1842-1906)의 작품인 "가치를 개요 Grunss der Axiologie",에서 처음 나타난다. 미국의 철학자로서 가치의 자연적인 이론(a naturalistic theory of value)을 주창한 페리(Ralph Barton Perry)는 자신의 저서 "'일반가치론(General Theory of Value, 1926), 에서 가치란 ‘어떤 관심의 대상’ 이라고 정의했다. 후에 그는 우리 인간의 삶에는 도덕 종교 예술 과학 경제 정치 법 관습 등 8가지의 '가치영역' 이 존재한다고 분류하면서, 이를 실재론적-실용주의적 접근으로 탐구했다.
독일의 철학자이며 심리학자이며 교육학자인 슈프랑어(Eduard Spranger, 1882-
1963)는 자신의 저서 "삶의 형식들(Lebensformen, 1914)"에서 가치의 영역을 6가지 영역, 즉 이론적 가치, 심미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치적 가치,
종교적 가치로 구분했다.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사회과학은 객관적으로 가치평가된 데이터(사실)를
그대로 기술하거나 아니면 데이터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사실'의 기술과
학이다. 심지어 철학에서는 자연과학 역시 이러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사실의 근거가 되는 가치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아닌지에 대한 타당성은 항상 의문이다. 바로 이러한 의문이 철학적 과제로 남는 것이다. 과연 인간이 무엇인가를 요구하기 때문에 그것이 가치를 갖는 것인가? 아니면 어떤 것이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그것을 요구하는가? 전자가 가치에 대한 주관주의적 관점이라면, 후자는 객관주의적 관점이다.
가치론적 접근을 통하여 청소년문화를 이해하려면, 가치가 상충될 때 과연
진정한 가치는 어떨 것인가? 그리고 누구의 가치가 과연 무엇 때문에 지금의
가치기준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일까? 또한 사실과 사실규명을 위한 가치판단
은 누가 내리는 것인가? 만약 기성성인 내지 성인문화가 가치판단을 주도하
고 가치기준으로 작용한다면, 청소년문화에 대한 이해는 일방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물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우리의 현계 청소년문화
가 '불건전한 소비문화, 문란한 성문화, 혼란스러운 사이버문화' 등으로 비판
된다면, 이러한 청소년문화에 대한 인식은 과연 어떤 가치판단과 가치기준에
의해서 내려진 것인가? 결국 가치판단과 가치기준의 문제 역시 양 문화 간의
대화와 논쟁 또는 조정과 타협에 의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영역이 된다.
가치영역을 세분화시킨 하르트만과 슈프랑어의 가치론에 근거하여 청소년
문화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A라는 특정한 청소년문화는 세분화된 가치영역
중에서 과연 어떠한 가치를 가장 중점적으로 추구하는가에 대해서 파악해 보
는 것도 흥미로운 과제가 된다. 물론 이들에 의해 세분화된 가치영역들은 현
실에서, 즉 문화에서 독립적-독자적으로 군림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세
분화된 가치영역 중에서 오로지 하나의 가치로만 문화가 이루어질 수는 없
다. 현실에서는 세분화된 가치영역은 통합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정도차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청소년문화는 이론적 가치가 우선되지만 그밖
에 다른 5가지 또는 7가지 가치영역이 혼재되어 있고, 어떤 청소년문화는 종
교적 가치가 우선되지만 그 밖의 다른 5가지 또는 7가지 가치가 혼재되어 나
타난다. 이러한 접근방식으로 문화를 파악하는 방식은 특히 문화이해를 위한
해석의 틀을 사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가치논쟁, 즉 가치통합을 위한 문화
와 문화 간의 대화와 의사소통의 지표로도 작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조혜영(2009). 청소년문화의 집 이용 의미와 향후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 한상철(2004). 청소년학. 학지사
- 정주원(2006).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현상에 대한 고찰. 소비문화연구
- 김종길(2007).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 박정자(2006). 로빈스 크루소의 사치: 소비사회를 사는 현대인의 정경. 기파랑
- 유진이(2008). 청소년 여가문화시설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청소년시설환경학회
- 조혜영 외(2005).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개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3.30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