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관점(발생론적-인간학적, 역사적, 놀이론적 접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발생론적-인간학적 접근

Ⅱ. 역사적 접근

Ⅲ. 놀이론적 접근

*참고문헌

본문내용

크게 자유롭지 않다. 오늘날은
사이버상의 컴퓨터게임, 전자오락을 통한 놀이의 등장으로 인하여 청소년들
에게 시간적 남용뿐만 아니라 정신적-육체적 차원(게임중독), 인터넷 중독, 핸드폰
중독, 스마트 폰 중독, 사이버 중독 등)까지 혼을 빼감으로써 사이버 놀이의 후유증
은 실로 막대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즉, 청소년의 세계에서는 소위 '일탈적
인 청소년문화'가 우리의 일상에 혼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일탈'이 과연 누구에 의해서 무슨 기준으로 규정되
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상황은 많이 달라질 수도 있다. 혹시 기
성성인의 잣대에서 일방적으로 규정된 '일탈'은 아닌지? 물론 성민의 기준이
정당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일할의 기준과 범위 등이 성인 개개인에게
도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법적 차원에서 정한 기준이라면 즉
그것이 자연법의 기준이 아니라 실정법 상의 기준이라면, 오히려 놀이
본래의 '자연법적 성격'이 먼저 고려될 수 있어야 할지도 모른다. 결국 여기
서도 '일탈'이라는 개념의 성격규정과 기준범위 등에 관해서 청소년문화와
성인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벽이 허물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만약 '일탈'개념에 성인들과 청소년들이 합의할 수 있다면, '일탈로부터의 자
유' 또는 '일탈기준의 일상적 적용문제'가 보다 정당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자면, 긍정적 차원에서 청소년문화는 놀이로부터 창조되고 재창조될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 차원에서는 소위 '일탈된 놀이'를 통한 청소년문화의
창조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도대체 '건전한 놀이'란 무엇인가? 아니면
'불건전한' 놀이, '퇴폐적인' 놀이 등의 개념은 무엇이고 이는 누구의 기준에
서 '불건전'이고 '퇴폐'인가?
결국 문제는 '일탈' 또는 '일탈된'의 개념 그리고 '건전한' 놀이에 대한 사
회적 합의 여부이다. 이를테면 청소년들은 정말 자신들이 하고 있는 놀이가
일탈된 것인지 모를 수도 있으며, 일탈의 기준범위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
에 일탈개념에 무감각할 수도 있다. 또한 성인들이 말하는 '건전한' 놀이는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지금의) 기성성인들이 말하는 건전한 놀이만 한
다면, 정말 우리의 문화와 우리 사회는 건전해지고 건강해질 수 있는 것인지?
18세기 프랑스의 사회사상가인 루소(Jean-Jancques Kousseau)는 자신의 저서
"에밀(Emile ou De I`Education, 1762)" 에서 '어린이들은 새로운 어른을 꿈꾼다고 했다.
그는 "우리가 조물주의 손에서 나을 때에는 선(努)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인간은 점점 악해진다"고 주장했다. 기성성인이 만든 사회를 믿을 수 없다는
논리이다. 그래도 정말 지금의 어른들의 기준을 따라도 되는 것인지? 실제로
우리는 많은 연구에서 "건전한 놀이(문화)의 육성이 중요하다"는 말은 무수히
해왔지만, 청소년들에게 과연 진정으로 '건전한 놀이'란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 객관적-과학적으로 대답해 준 적이 있는지?
물론 '일탈된 놀이'의 개념 또는 '건전한 놀이'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정당한 놀이행위와 정당한 문화창조행위를 도와줄 것이
다. 아니면 카일로이즈(Caillois, 1958)의 주장처럼, "놀이는 비생산적이고 허구
적"이기 때문에 문제일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면, 과연 그런가에 대한
정당한 논의도 있어야 할 것이다.
호이징가의 논리에 의하면, 놀이의 위기는 문화의 위기이자 참의 위기이다.
이는 청소년세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청소년의 위기'는 '놀이의 위기'이며
'청소년문화의 위기'가 된다. 결국 인간의 문화적 본질인 '놀이문화로서의 청
소년문화'를 연구하는 일은 현계 우리의 청소년문화가 마침내 (정당한 또는 건
전한) 하위문화로 자리매김을 하는 데 있어서 필수과제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조혜영(2009). 청소년문화의 집 이용 의미와 향후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 한상철(2004). 청소년학. 학지사
- 정주원(2006).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현상에 대한 고찰. 소비문화연구
- 김종길(2007).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 박정자(2006). 로빈스 크루소의 사치: 소비사회를 사는 현대인의 정경. 기파랑
- 유진이(2008). 청소년 여가문화시설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청소년시설환경학회
- 조혜영 외(2005).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개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30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