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수혈로 인한 에이즈(AIDS) 감염 사례][헌혈증][지정공혈]수혈의 정의, 수혈의 목적, 수혈의 과정, 수혈의 주의사항, 수혈의 부작용, 수혈로 인한 에이즈(AIDS) 감염 사례, 수혈과 헌혈증, 수혈과 지정공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혈][수혈로 인한 에이즈(AIDS) 감염 사례][헌혈증][지정공혈]수혈의 정의, 수혈의 목적, 수혈의 과정, 수혈의 주의사항, 수혈의 부작용, 수혈로 인한 에이즈(AIDS) 감염 사례, 수혈과 헌혈증, 수혈과 지정공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수혈의 정의

Ⅲ. 수혈의 목적

Ⅳ. 수혈의 과정
1. 절차, 투여될 혈액제제, 투여시간, 수혈 후의 바람직한 결과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
2. 기본적인 활력징후 측정
3. 주입 부위를 준비
4. 혈액은행으로부터 혈액제제를 가져온다
5. 환자의 신분 확인

Ⅴ. 수혈의 주의사항

Ⅵ. 수혈의 부작용
1. 알레르기 반응
2. 열성 반응
3. 용혈성 수혈
4. 폐부종(pulmonary EDEMA)
5. 세균 오염
6. 바이러스 감염
7. 철분 과다(iron overload)

Ⅶ. 수혈로 인한 에이즈(AIDS) 감염 사례

Ⅷ. 수혈과 헌혈증

Ⅸ. 수혈과 지정공혈
1. 정의
2. 지정공혈의 목적
3. 지정공혈의 문제점
4. 지정공혈의 정책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고 요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3. 지정공혈의 문제점
지정공혈자가 많이 필요하여 환자와의 관계가 먼 사람들까지 하게 될 때 공혈자와 보호자의 부담감이 비례하여 커진다. 특히 공혈자는 공혈의 요청을 거절하기가 곤란하여 어쩔 수 없이 참여하게 되고 보호자는 헌혈에 관련된 재정적인 부담을 많이 갖게 되었다. 그리고 공혈자와 보호자 모두 지정공혈로 인하여 시간적인 부담감을 매우 크게 느낄 것이다. 지금처럼 환자가 입원해 있는 병원까지 가서 정해진 시간에 혈액검사와 헌혈을 해야 하는 여건에서는 당연한 반응이라고 하겠다.
지정공혈이 수혈감염에 있어서 더 안전하다는 주장은 이미 많은 연구들에서 서 설득력을 잃고 있다. 그리고 환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지정공혈을 시행함으로써 환자들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정공혈을 계속해야한다는 서구의 주장도 주치의의 요구로 지정공혈을 하게 되는 예가 70%이상인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 앞의 문헌고찰에서 보았듯이 우리나라에서는 전혈공급과 혈소판성분채혈제제의 공급을 보충하는 수단으로 지정공혈이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국가적 차원에서의 혈액사업의 미진한 점을 지정공혈로 무리하게 확대 시행해 나가는 것은 공혈자와 보호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있으므로 지정공혈에 대하여 다시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4. 지정공혈의 정책 과제
전혈혈액에 대해서는 지역과 병원별로 합리적인 수요를 산출하여 필요한 만큼의 적절한 공급을 적십자 혈액원에서 담당해주며 그와 같은 협의를 위하여 혈액원과 의료기관과의 상설 협의기구를 둘 필요가 있다. 의료진은 신선혈액의 선호를 앞세워 무계획적으로 보호자에게 지정공혈을 요구하는 일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자가혈액에 대한 최근 선호도 조사에서 자세한 설명이 없이도 공혈자와 보호자의 50%정도가 자가 혈액을 이용하겠다고 하였으므로 자가 수혈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주치의의 권유가 동반된다면 많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혈소판성분채혈제제의 공급에 대해서는 성분헌혈이 국민적으로 자리 잡아 나가는 현 단계에서 병원의 부설혈액원이 당분간 많은 역할을 계속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공혈자와 보호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여 고칠 수 있는 점을 개선하여 지정공혈제도 개선문항에서 제안한 바 있는 공혈시간, 공혈 장소를 확대하고 공혈자를 구하는 협력기구를 설치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적십자 혈액원에서도 혈장성분채혈을 위주로 하고 있는 현재의 헌혈사업을 혈소판성분채혈도 같이 하는 방향으로 바꾸어서, 급격히 늘고 있는 혈소판성분제제의 요구에 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우리나라의 혈액사업의 방향은 자진헌혈자 등록제도이다. 전국적으로 혈액사업의 전산화와 온라인망이 수립되면 의료기관에서 요구하는 전혈이나 혈소판성분채혈제제까지 계획적으로 채혈하여 공급하게 될 텐데 그 때에는 등록된 헌혈자에게 헌혈을 요청하여 실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헌혈자보상방법의 개선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공혈자들은 공혈에 대한 보상을 별로 바라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국민의 무상헌혈에 대한 인식이 많이 확대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자진헌혈자의 등록사업도 노력만 한다면 충분히 국민의 협조를 얻어 우리나라의 혈액사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김상인 외, 수혈의학, 고려의학
대한적십자사, 적십자봉사원 교본, 1989
박명희·한규섭·조한익, 수혈의학(양장), 고려의학, 2006
이선호·이남용·한규섭·조한익·김상인, 원발성 간암환자 수술시의 지정공혈자 혈액사용 경험, 대한수혈학회지, 1992
이학인, 임상경락수혈학, 법인문화사, 2000
최영식, 간호이론, 수문사, 1990

키워드

수혈,   혈액,   헌혈,   에이즈,   헌혈증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