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성격과 목적,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탐구이론과 학습교재,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STS(과학기술사회)교육,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좋은 수업,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평가와 교수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성격과 목적,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탐구이론과 학습교재,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STS(과학기술사회)교육,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좋은 수업,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평가와 교수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성격과 목적
1. 과학과 교육의 성격
2. 과학과의 교육 목적

Ⅱ.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탐구이론

Ⅲ.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학습교재

Ⅳ.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STS(과학기술사회)교육

Ⅴ.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좋은 수업
1. 교과서를 덮어라
2. 학습계획부터 학습정리까지 학생의 몫으로 돌려라
3. 보고서를 많이 활용하라

Ⅵ.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평가

Ⅶ.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교수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향이 매우 크다. 이는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배제되어야할 사항이다. 특히 과학 교과서는 실험 및 관찰의 방법, 절차, 결과 등을 자세히 안내하고 있어, 학생들의 사고를 획일화단편화시킬 수 있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사고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을 바란다면 교과서를 과감히 덮어야 할 것이다.
2. 학습계획부터 학습정리까지 학생의 몫으로 돌려라
지금까지 이루어지는 과학수업의 형태는 교사가 공부할 문제를 제시하고 공부할 문제에 따른 해결방법과 자료, 해결과정 등을 안내하여, 학생들은 교사의 지시에 따라가는 수업이 대부분이다. 이는 학생의 몫을 교사가 빼앗아가는 수업이라 할 수 있다. 학습계획부터 학습정리까지를 학생들의 몫으로 돌려주어야지만 진정한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3. 보고서를 많이 활용하라
과학과 교과용 도서는 두 가지의 체제 즉, 학습내용과 과정을 안내하는 과학교과서, 학습결과를 정리하는 실험관찰로 이루어져있다. 이 두 체제는 사실 너무 구체적이고 폐쇄적으로 조직화되어 있어 오히려 창의력과 탐구능력 신장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생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보고서를 많이 활용하기를 권한다. 물론 모든 학습내용에 보고서를 적용할 수는 없지만, 관찰실험에 관련된 학습내용은 보고서의 활용이 꼭 필요하다. 실제로 탐구하고 토의한 내용들을 보고서에 정리해 봄으로써, 학습흐름, 탐구방법, 개념 등이 자연스럽게 정착이 될 것이다.
Ⅵ.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평가
(1) 과학에서는 과학의 기본 개념의 이해, 과학의 탐구 능력 및 과학적인 태도를 균형 있게 평가하며, 다음 사항에 주안점을 둔다.
(가) 기본 개념의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이해 정도를 평가한다.
(나) 탐구 활동 수행 능력과 실생활 문제 해결에 적응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다) 학습과정에서 계속 탐구하려는 의욕, 상호 협동, 증거를 존중하는 태도 등을 평가한다.
(2) 평가는 지필 검사, 관찰, 보고서 검토, 실기 검사, 면담, 의견 조사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3) 타당성과 신뢰성이 높은 평가를 하기 위하여 가급적 공동으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한다.
(4) 평가는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학습 지도의 계획 수립과 지도 방법 개선에 활용한다.
(5) 기본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심화보충 과정은 평가하지 않는다.
Ⅶ. 과학과수업(교육, 학습)의 교수전략
탐구적 교수전략은 아동들이 탐구의 과정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도록 돕는 전략이다.
첫째, 갈등상황의 제공이다. 탐구과정은 문제의 인식에서 출발한다. 물은 100℃에서 끓는다고 아는 아동에게 100℃보다 낮거나 더 높은 온도에서 물이 끓는 상황을 보여주면 갈등을 느끼게 된다. 즉 아동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사고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상황을 제공하는 것은 새로운 문제의 인식시키고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둘째, 아동들의 과학 개념 파악이다. “물은 100℃에서 끓는다.”는 표현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아동들은 인식하지 못한다. 그것은 학습 결과의 단순한 기억, 경험이나 지적발달의 미성숙 등 많은 원인이 있으나, 교사는 이러한 학생들이 가진 학습내용과 관련된 과학개념(선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문제 제기에 효과적이다.
셋째, 생각할 기회와 시간의 부여이다. 적절한 질문에 의해 아동 자신의 생각을 알아보고, 아동은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때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되묻는 것도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점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적절한 질문에 의한 수업의 도입은 자연스럽게 토론으로 이어갈 수도 있다.
넷째, 아동들의 능동적이고도 적극적인 참여 유도이다. 일상의 소재, 주변의 소재, 친근한 소재로 학습경험을 조직하는 것은 아동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새롭고 신선하여 아동들에게 어느 정도 도전감을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곽영순,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이 제안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논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권재술 외 5인,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1998
김인식·최호성, 최신교육과정 및 평가
박범익, STS 교육의 개요 및 실제와 전망(序說 STS, 小川 正賢), 과학교육, 1993
정종진, 창의성 신장/계발을 위한 교수·학습의 방향, 창의성 연수 자료,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개선, 대구광역시교육청, 2002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