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전용][한글전용 긍정적 측면][한자병행론][국한문혼용][한자병용]한글전용의 개념, 한글전용의 배경, 한글전용의 필요성, 한글전용의 긍정적 측면, 한글전용과 한자병행론(국한문혼용, 한자병용)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전용][한글전용 긍정적 측면][한자병행론][국한문혼용][한자병용]한글전용의 개념, 한글전용의 배경, 한글전용의 필요성, 한글전용의 긍정적 측면, 한글전용과 한자병행론(국한문혼용, 한자병용)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글전용의 개념

Ⅲ. 한글전용의 배경

Ⅳ. 한글전용의 필요성

Ⅴ. 한글전용의 긍정적 측면
1. 여자들의 지위 향상
2. 한글의 합리성과 대중성
3. 한자 배우기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주지하여 자일이다
4. 정보화 시대에 가장 알맞은 알파벳 문자
5. 한글의 우수성

Ⅵ. 한글전용과 한자병행론(국한문혼용, 한자병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가야 한다는 논리로 연결시키곤 한다. 그렇다. 말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어휘가 늘어나고 표현이 다양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다른 나라의 어휘를 받아들이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넘어서는 안 될 분명한 한계가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것은 ‘자국어의 청각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다른 나라 언어의 어휘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의 어휘가 자국어와 청각성에서 마찰을 일으키게 되면(외국에서 들어온 말과 자국어가 청각적 변별력이 없이 혼란을 일으킨다면) 그것은 자국어를 뿌리째 뒤흔들어 혼란을 일으키게 하기 때문이다. 잘못하면 자국어의 주체성까지 위협받게 되어 자국어의 정체성을 잃을 염려까지 있다.
내 생각에 영어가 국제어가 된 이유는 영국이나 미국 등 영어를 쓰는 나라의 국력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그리고 영어가 세계를 주름잡게 된 것 또한 그리 오래 된 일이 아니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일어난 아주 특이한 일일뿐이다. 이른바 ‘세계의 지구촌화’에 따라 일어난 일이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통신 혁명’이 이를 부채질했다. 그런데 영어의 표기 체계는 문자로서 가장 이상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완전한 표음문자로서의 기능을 많은 부분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를 쓰는 나라들의 문맹률이 우리보다 높은 이유는 영어의 이러한 표음문자로서의 취약성 때문이다. 영어에서는 소리와 글자간의 1대1 대응 관계가 많이 훼손돼 버렸다. 예컨대 ‘a, c, i \' 같은 글자는 단어에 따라 여러 가지 소리로 발음되기 때문에 완전한 표음성에서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영어가 표음문자로서의 이상적인 모습을 상실한 것은 그리스어나 라틴어 등 다른 나라 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런 면에서 좀더 이상적인 문자 국가로 독일을 들고 싶다. 독일에서는 원래 고유의 문자가 있었지만 불편하다고 보고 로마자를 수용해 쓰고 있다. 독일어만의 특수한 발음을 위해 몇 개의 글자는 로마자를 변형해 새롭게 만드는 등(o 같은 글자) 완벽한 표음문자로서 기능 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그래서 독일어에서는 발음과 문자 사이에 거의 예외가 없이 1대1 대응이 지켜지고 있다. 이것은 독일이 비교적 최근에 문자 개혁을 단행한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기도 하지만(영어는 오랜 세월 동안 사용해 오면서 변해 왔기 때문에 독일과 같이 완전하고 순수한 표음문자로 지켜 오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문자로서는 이상적인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독일어에도 그리스어나 라틴어에 뿌리를 박고 있는 말들이 많이 수용되어 있지만, 영어에서와 달리 문자에서 가장 중요한 완벽한 표음성을 해치지 않도록 수용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독일인다운 합리적 사고가 빚어낸 결과란 생각이 든다.
완벽한 표음성을 가진 문자를 가지는 것이 문자이상국이 갖출 제일의 조건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우리가 한자어를 무조건 받아들일 수만은 없는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자어도 우리말에서 수용되어야 하지만 그것 역시 우리말의 청각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명심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한글전용론은 당연한 귀결이다.
참고문헌
박광민(1998), 한글전용 중심의 어문정책 약사, 어문연구 제99호
박천서(1999), 한글 전용 정책과 그 공과, 어문연구 제27권 제2호
신경철(1998), 상용한자와 한글전용, 어문생활 28호
이응호(1969), 언어 정책의 역사적 연구, 한글 전용 국민 실천회
한글학회(1971), 한글 전용으로의 길, 한글 학회 50돐 기념 사업회
홍성민(1999), 창의력 신장을 돕는 고등학교 한문Ⅰ평가 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