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문화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9-1

2. 지리, 풍토 및 주택의 다양성 9-1
가. 지리와 풍토 9-1
나. 주택의 다양성 9-1

3. 주거문화 형성에 미친 여러 가지 요인들 9-2
가. 전통적 공간개념과 주거공간의 구성 9-2
1) 고대철학에 있어서의 공간개념 9-2
2) 중국건축의 다섯 가지 공간개념 9-3
나. 민간신앙과 주거공간의 구성 9-4
다. 풍수사상과 주거공간의 구성 9-4
라. 가족제도와 주거공간의 구성 9-4

4. 주거문화의 역사 9-5
가. 신석기 시대의 주거와 주거지 9-5
나. 은(殷), 주(周) 및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주거문화 9-5
다. 한(漢)의 주거문화 9-6
라. 삼국(三國), 양진(兩晉),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및 수(隋), 당(唐)의 주거문화 9-6
마. 송(宋),원(元)의 주거문화 9-7
바. 명(明),청(淸)의 주거문화 9-8

5. 결  론 9-9

본문내용

원 예술의 보급과 향상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당대에는 부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귀족과 대지주들이 경쟁적으로 대저택을 호화롭게 건설하는 폐단이 생겼고, 이를 통제하는 건축규제가 생기기도 하였다. 이를 볼때 당시 주택의 규모와 형식은 정치적·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매우 많은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5> 송대 원림
마. 송(宋),원(元)의 주거문화
송대에는 상업도시문화가 크게 발전한다. 그리고 도시에서는 저택의 건설이 많았는데 송대의 저택은 전당후침(前堂後寢)
) 전면에는 집무와 접객 등으로 사용되는 공적공간이 있고, 후면에는 가족의 취침과 휴양을 위한 사적 공간이 있는 공간 구성
의 원리가 이미 정착되었다. 그리고 형식은 사합원과 매우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송대에는 원림건축이 매우 발전한다. 이 시대의 정원은 다른 시대에 비해서 그 규모가 상당히 큰 것이 많았고, 남송때에 와서 더욱 발전한다. 이 시대 원림건축의 특징은 인공산을 만드는 등, 인위적인 성격을 부여한 것이다.
송의 멸망후, 원(元)이 중국을 지배한 이후 정치적, 경제적 탄압으로 건축예술은 상당부분 손상을 입는다. 그리고 농촌산림의 파괴로 원래 목조를 중심으로 한 건축의 성격도 벽돌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의 발전이 두드러 진다.
바. 명(明),청(淸)의 주거문화
원대를 거치면서 중국은 대제국을 성장하고 명과 청을 거치면서 주변의 다양한 외래민족들이 중국에 흡수되면서 문화적으로도 융화되고, 영토도 오늘날과 같은 양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명, 청대의 주거양식은 그 이전 세대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다양하고 풍부한 양상을 띤다. 명대 중기에는 양자강 하류와 운하 연안에 많은 도시가 생기고 이곳에 상업이 번성하면서 여기저기에 부호의 저택들이 많이 건설되는데 이런 양상은 청대까지 이어진다. 또 강남일대의 원림 건축은 청대에 와서 그 발전의 정점에 달하게 된다. 그리고, 명·청대에 정점에 달했던 봉건적인 예교와 가부장제도는 주거건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각 가족을 단위로 복합적인 건축군을 형성했으며 대저택의 대부분은 조상을 모시는 조당을 건축했다. 공간사용에 있어서도 장유유서와 남여의 구분이 명확, 분명해졌다. 또, 사회적으로 풍수사상이 유행하여 주택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명·청대에 있어서의 큰 변화는 여러 소수민족이 중국의 영토에 들어오면서 주거형식이 다양화한 것도 있지만 한족의 주거양식에 여러변화가 생긴다. 목조가 주류를 이루던 한족의 주거양식이 동굴식 또는 토조와 목조의
<그림 6> 사합원
혼합구조 등 새로운 구축방식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5. 결 론
중국의 주거문화는 신석기시대 말기에 한족에 의해 목조건축이 싹트고 이것이 주택에 적용된 이후 은, 주 양대를 거쳐 계속 개량되 한대에 이르러 사합원이 중국을 대표하는 주거형식으로 정착했다. 이후 많은 면에서 계속해서 계량이 이루어졌으나 사합원의 구성원칙은 기본적으로 그대로 유지되어왔다. 이민족의 지배시도 또한 있었지만 그들 또한 한족의 주거문화에 동화되어서 사합원의 양식이 기본적인 주택의 기본원형이 된다. 이는 한족이 지니는 고유한 사고방식과 생활 패턴, 사고방식이 이미 이민족들의 정신체계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사합원이 결코 고정된 형식으로 자리하거나 또는 고착된 유형으로 작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사합원이 중국 주거문화의 형성을 위한 핵으로 작용했지만 각 지방의 자연조건과 각 민족 생활방식의 차이에 의해 다양한 변화를 수반할 수 있었다. 즉, 다양성을 내포한 사합원으로 대표되는 중국의 주거문화는 이민족의 한족으로의 동화를 보여주는 한면으로 볼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4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