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종교의 세속화][종교와 철학][종교와 종교적 경험][종교의 공존화 방안]종교의 정의, 종교의 세속화, 종교의 이해, 종교와 철학, 종교와 종교적 경험, 종교의 문제점, 향후 종교의 공존화 방안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종교의 세속화][종교와 철학][종교와 종교적 경험][종교의 공존화 방안]종교의 정의, 종교의 세속화, 종교의 이해, 종교와 철학, 종교와 종교적 경험, 종교의 문제점, 향후 종교의 공존화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종교의 정의

Ⅱ. 종교의 세속화

Ⅲ. 종교의 이해
1. 인간의 상황에 대한 이해
2. 인간이 도달할 궁극적 상태
3. 현상에서 궁극적 상태에 이르기 위한 수단

Ⅳ. 종교와 철학

Ⅴ. 종교와 종교적 경험
1. 종교적 경험의 사회학적 맥락
2. 종교적 경험과 신비주의

Ⅵ. 종교의 문제점
1. 우리 나라의 종교는 기복신앙적 성격이 강하다고 한다
2. 보수주의 전통이 강한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3. 교세 성장주의 성향이 강하다고 한다
4. 소외계층과 거리를 두기도 한다는 것이다
5. 탈력사적 성격을 갖는 경향이 크다

Ⅶ. 향후 종교의 공존화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음 (5) 공유된 시간 속에서의 삶(Living in Shared Time) - 현상학자 슛츠(Alfred Schutz)를 따라 사람들이 어떻게 공동체적 경험에 의해 한데 묶이게 되는지를 주목.
지금까지 검토한 종교적 경험에 대한 사회학과 심리학 분야의 제반 이론과 개념들은 주로 미국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 같은 다양한 이론적 배경은 \'급박한\' 종말론을 신봉한 집단가출인들의 종교적 경험과 신비주의 현상을 연구 분석하는데 기본적으로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으로 살펴보게 될 집단가출 신도들이 공통적으로 보여준 \'가출\'의 결정 그리고 일부 개인적 사례에서 나타나는 \'이혼\', \'전직\'(轉職), \'재혼\' 등과 같은 개인적 삶 속의 \'극적인 변화\'와 그로부터 특히 \'자아의 핵심 요소\'가 갑자기 변화한 것은 넒은 의미에서 일종의 갑작스런 \'종교적 전환\'(religious conversion)을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Ⅵ. 종교의 문제점
우리 나라에서도 종교는 대부분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동시에 몇 가지 부정적인 양상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조흥식에 의하면
1. 우리 나라의 종교는 기복신앙적 성격이 강하다고 한다
이러한 종교에서 개인의 관심은 오직 자신의 축복문제에만 있기 때문에, 공동체성의 문제, 이웃의 문제, 사회문제에는 관심이 없고,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종교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할 여지가 없게 된다.
2. 보수주의 전통이 강한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통과 권위를 중히 여기며, 기존질서를 옹호하는 경향이 있어 사회변화의 기능수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3. 교세 성장주의 성향이 강하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자신이 속한 교파의 성장과 확장에만 관심을 갖기 때문에 이웃의 문제나 사회구원의 문제에 대하여 무관심하게 된다.
4. 소외계층과 거리를 두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이 계속되면 종교가 中産層化 되고 귀족화 되면서 사회적 공헌을 하지 못하는 종교의 모습은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들로부터 배척을 받기도 한다는 것이다.
5. 탈력사적 성격을 갖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역사성의 결핍은 의식이 있는 중산층, 교육받은 엘리트층, 변화지향적인 젊은 층으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이유가 된다.
Ⅶ. 향후 종교의 공존화 방안
첫째, 상대방의 종교사상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종교사상을 창조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오래 전부터 동아시아에서는 儒彿道 삼교 교섭의 역사가 있었다. 중국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직후부터 삼교 교섭이 이루어지다가, 隋와 唐을 거쳐 宋 때에 와서 삼교 조화론이 정립되었다. 그리고 宋의 삼교 조화론은 金 이후에는 삼교 합일론으로 전개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예를 王重陽, 李純甫, 林兆恩과 山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중국의 이러한 삼교조화론, 또는 삼교 합일론의 전통은 우리나라의 사상사 속에서도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崔致遠은 스스로 儒者라고 하면서도 불교와 도교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한국종교사상사에서 유불도 삼교에 정통하면서 유불도 삼교의 가치를 똑 같이 인정하였던 최초의 인물이었다. 金時習은 “三敎를 닦아 나감에 길은 각각 다르나 필경에는 敎旨가 동일하다(三敎進修異 畢竟同一旨)”라고 하여 삼교가 서로 같다고 하였다. 그는 승려 생활을 하면서 유교의 義를 지켰고, 도교를 수련하여 仙人이 되고자 하였던 인물로 당시 지성인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西山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비록 불교를 옹호하려는 입장을 보이기는 하였지만 불교의 중심 개념인 心을 중심으로 유불도 삼교를 회통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던 인물이다.
20세기에 柳永模가 삼교에 기독교를 포함하는 四敎 회통사상을 제시하기는 하였지만,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들어 온 이후 유불도 삼교 교섭의 사례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다른 종교사상을 참조하여 자신의 종교사상을 재해석 내지는 창조적으로 변형시키는 의도는 철저히 봉쇄당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불교사상을 참조하여 기독교사상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는 기독교 내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또한 기독교사상을 참조하여 불교사상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도 불교 내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외국에서는 그러한 시도를 하는 학자들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오히려 대학 강단에서 설 자리 조차 잃고 있는 형편이다.
둘째, 사상적으로는 항상 보편성을 강조하더라도 한국종교의 활동 무대는 기본적으로 한국이라는 사실을 새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종교는 대체로 특정 민족보다는 전 인류의 구원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대교와 같은 민족종교가 특정 민족의 구원을 목표로 한다고 하더라도 그 목표는 보다 큰 목표, 다시 말해서 전 인류의 구원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그러나 지구상의 모든 종교가 전 인류의 구원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 지역을 주 활동무대로 가지고 있다는 점 또한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수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이 전 지구에 존재하며, 이들이 전 인류의 구원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실제로는 영국의 기독교, 미국의 기독교, 일본의 기독교, 한국의 기독교 등이 각기 따로 존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영국인의 기독교는 영국인의 자존심, 미국의 기독교는 미국인의 자존심, 그리고 일본의 기독교는 일본인의 자존심 형성에 분명히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의 유교, 불교, 기독교 등이 한국인의 자존심 형성에 나름대로 기여해 왔는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한국종교가 한국인의 자존심 형성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한국종교는 한국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 확립과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문형만(1991), 교육철학 및 교육사, 형설출판사
2. 신득렬, 교육사상사, 학지사
3. 송경호, 종교 사상의 이해
4. 이원규(1986), 종교 사회학의 발전 과정과 연구 주제, 기독교 사상, 제 30호 제 3권
5. 존 H.힉, 황필호 역(1980), 종교철학개론, 종교서적출판주식회사
6. 폴 발타 외, 윤정임 역(1999), 세계의 종교이야기, 미래M&B

키워드

종교,   세속화,   철학,   공존화,   신앙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9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