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상고시대 문학
제2장......................삼국시대 문학
제3장......................통일신라 문학
제4장......................고려의 문학
제5장......................조선의 시가문학
제6장......................조선의 소설문학

본문내용

랑)
마. 창자와 청자가 분리되지 않음
바. 성적인 내용이 중심
5. 무가의 문학세계(성격)
가. 굿판에서 불려지는 노래
나. 주술성신성성문학성을 가진 노래
다. 신을 불러와 기대한 바램을 의탁하는 오신의 의미
제6장 조선의 소설문학
1. 고소설의 발달과정
가. 발전방향
1) 패관문학 → 가전의 형태 → 한문단편(야담) → 한문소설
2) 패관문학 → 설화로 분화 → 국문소설(한문소설)
나. 발전요인
1) 당대인의 사상, 이념, 이데올로기의 변천
2) 독자층의 기호
3) 외부적인 영향(명청 소설의 유입)
4) 문학 내적인 변화
5) 문학 외적인 영향(임병 양란)
다. 고소설의 출발점
1) 김시습의 ‘금오신화’; 전기소설,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내용
2) 허균의 ‘홍길동전’; 사회소설, 최초의 국문소설, 높은 문학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봉건왕조의 관계에 대한 최초의 언급
3) 김만중의 ‘구운몽’; 귀족소설과 서민소설을 하나의 소설세계로 확장심화
한문본과 국문본의 이원표기(고급 독자층 확보)
라. 고소설의 쇠퇴원인
1) 중서민 계층이 독서 층의 주류를 이루지 못함
2) 동학의 실패로 인한 외세의 간섭
3) 새로운 사조와 문물에 따른 당대인의 세게 관과 독서기호의 변모
2. 조선조 소설의 독자와 세계관
가. 독자와 소설의 상관 관계
1) 독자문제; 문학사회학의 영향수용 미학적 측면
2) 신흥 부르조아계층(중인평민계층)의 등장
3) 양반 사대부계층의 소설인식
나. 조선조인들의 소설관
1) 經(경)史(사) 등 점잖은 글에 대립되는 글, 雜記(잡기)에 해당되는 글 모두 포함
2) 중국에서의 소설언급
<장자> 외물편동한인환담
<한서> 예문지에서의 반고의 언급 등
소설배격론
조위이덕문이식유몽인 등
이덕문의 소설비판(소설이 역사적 사실과 다른 허구라는 점에 비판함)
소설의 효용가치 인정
서거정홍만종양성지김만중이양오만하옹이우준 등
다. 고소설의 향유양상과 독자층위
1) 중국계 소설한문소설; 양반서리계층의 남성
2) 국문소설; 양반사대부집안의 영성
3) 직업적 이야기꾼낭독자 등장; 평민천민계층으로 확대
4) 坊刻本(방각본: 목판본인기작품 대량 출판)貰冊本(세책본: 책대여점독자후기가 있어 독자계층을 파악할 수 있다.)딱지본(활판본)의 등장
◆ 작품감상
1.이생규장전
가. 작품해설
매월당 김시습의 금오신화(최초의 소설조선전기소설)중 한 작품
萬福寺樗蒲記(만복사저포기)李生窺墻傳(이생규장전)醉遊浮碧亭記(취유부벽정기)
南炎浮州志(남염부주지)龍宮赴宴錄(용궁부연록)의 5편의 한문단편으로 구성됨
나. 작품구조: 남녀간의 만남과 이별이 핵심사건
1) 1차 만남과 생이별; 부모에 의한 이별
2) 2차 만남과 非命(비명)의 1차 死離別(사이별); 홍건적의 침입에 의한 최낭자의 죽음
3) 3차 만남과 順命(순명)의 2차 死離別(사이별); 최낭자의 환생과 천명에 따른 죽음
※ 김시습의 호: 김시습은 동봉매월당贅世翁(췌세옹)淸寒子(청한자)雪岑(설잠) 등의 호를 사용하였고, 悅卿(향경)은 그의 호가아닌 자이다.
2. 양반전(풍자소설)
가. 출전: 연암집 방경각외전
※ 열하일기
옥과야화 출전: 허생전(연암 박지원 자신의 이야기)
관내정사 출전: 호질
연암집의 다른 곳 출전: 열녀함양박씨전
나. 양반전의 작품구조 줄거리의 핵심모티브
1) 양반이 관록을 빌려먹음(가난 때문)
2) 양반의 위기(관찰사순행시 발견)
3) 천부의 위기에서 구해줌(양반매매조건)
4) 조정자 출현(군수가 개입증명서 작성)
5) 문권작성
제1문권; 양반의 행동규율, 허례허식만을 숭상하는 양반상 비판
제2문권; 양반의 이로운 점, 무단적이고 전횡적인 행위만을 일삼는 양반상 비판
6) 천부의 깨달음; 길떠남
3. 장화홍련전
가. 성격: 작자와 창작연대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계모형 가정소설의 대표작
나. 가정소설
繼母型(계모형): 김인향전황월선전김취경전정을선전콩쥐팥쥐전 등
爭寵型(쟁총형; 처첩간의 반목과 질시중심): 사씨남정기소씨전월영낭자전정진사전소현성록
다. 장화홍련전의 작품구조(아랑각 전설)
수축 → 정지 → 확산의 구조
전반부 애서의 장화의 삶의 태도: 축소 지향적인 삶(계모학대형)
후반부에서의 장화의 삶의 태도: 확대 지향적인 삶(공안류)
4. 박씨전
가. 박씨전의 성격: 여호걸계 소설의 역사군담소설
나. 박씨전의 작품구조
1) 전반부; 이시백의 집안을 배경으로 한 가정의 이야기
2) 후반부; 국가적 이야기인 전쟁담
다. 영향을 준 설화: 온달저동설화나무꾼과 선녀이야기나중이부설화욕신금기설화벼락바위설화지하국대적퇴치설화백조소녀설화용녀의설화
라. 영웅소설
1) 역사군담; 임진록박씨전임경업전
2) 창작군담; 유충렬전조웅전소대성전 등
마. 여호걸계 소설: 홍계월전이대봉전정수정전 등
5. 구운몽(이상사상 즉 꿈)
작품구조: (현실 → 꿈 → 현실)
1) 현실 구조; 성진의 수도 → 꿈 → 깨달음: 성진의 삶
2) 꿈의 구조; 출생 → 結緣(결연) → 고행 → 시련극복 → 행복: 양소유의 삶(조선사대부들의 이상적인 삶 즉 꿈)
6. 배비장전(판소리계 소설해학소설)
가. 형성과정
1) 태평한화골계전의 拔齒(발치)설화
2) 동야휘집의 미궤설화 + 평양기생 이야기(동야휘집)소재
3) 실사총담 중 풍류진중일가사
4) 용천담적기 중 모안염위기광욕
나. 작품구조
1) 전반부; 정비장과 애랑의 이별장면
2) 후반부; 배비장의 봉욕장면(개, 거문고, 업궤신으로 비속화)
※배비장전에서 애랑이 정비장에게 요구한 것은 상토, 금병도, 어금니, 남근 등의 phallic symbolism
7. 춘향전
가. 춘향전의 이본
1) 남원고사 계열: 1830년 경, 판소리 사설의 구성원리를 유지하면서 본격적 소설화, 필사본
2) 별춘향전 계열: 1840년 경, 판소리 사설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는 계통
3) 옥중화계 춘향전: 1910년 경, 개화기의 활자본 춘향전
나. 춘향전의 최고본: 유진한의 만화본 춘향가
다. 춘향전의 구조
1) 전대단락: 현실적 삶의 의미를 바탕으로 한 좌절과 하강의 인간상을 통한 비운의 구조
2) 후대단락: 관념적 삶의 의미를 바탕으로 한 극복과 상승의 인간상을 통한 행운의 구조
라. 문학사적의의: 소재의 현실성표현의 사실성성격의 창조성주제의 저항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4.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