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_5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3
Ⅱ 본론 …………… 3
1. 개화기문학 …………… 3
2. 1910년대 …………… 7
3. 1920년대 …………… 10
4. 1930년대 …………… 13
5. 1940년대 …………… 17
6. 1950년대 …………… 19
7. 1960년대 …………… 22
8. 1970년대 …………… 24

Ⅲ 결론 …………… 28

본문내용

한 감각적 시풍과 구별 배행의 형태 혁신
「개화(開化)」
「살구꽃 피는 마을」
정완영
민족사적 서정의 표현으로 고전적 정서와 현대적 인식을 통일시킴.
「조국」
이영도
섬세한 여성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현실적 관심을 표현함
「낙화(洛花)」,「진달래」
◇문예지
ⓐ<<창작과 비평>> : 처음에 백낙청이 지식인의 맡은 바 몫을 문제삼고 출연한 <<창작과 비평>.은 시민문학론을 통한 근대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에 이르고, 민족문학론을 통한 제 3세계와의 통로에 이른다.
ⓑ<<문학과 지성>> : 김승옥, 김현, 김치수 등의 <<산문시대>> 동인들에 이청준과 김주연이 가담해서 <<68문학>>이 간행되었다. 그리고 김병익이 가담하면서 <<문학과 지성>>이 탄생했다. <<문학과 지성>>은 자유의 개념을 내세웠다.
8.1970년대
◇1970년대의 시
① 형성 배경
㈀ 비민주적이고 억압적인 현실 상황 인식
㈁ 대중화된 사회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반성
㈂ 청년 문화와 지적 엘리트주의의 형성
② 특징
㈀ 절박한 현실 인식을 고통스럽고 의지적인 언어로 형상화함.
㈁ 1960년대 시의 언어에 대한 자율적 인식을 극대화한 의식적 방법론이 부각됨.
㈂ 지적(知的)이면서도 내면화된 서정성이 강함.
③ 작품 경향
㈀ 민중시
㉠ 민중의 현실적 삶과 정서의 형상화 : 서정적 관점에서 역사적 주체로서 민중의 건강한 삶과 저항 의식을 표출하는 한편, 농민의 생활을 소재로 공동체적 삶을 지향함.
조태일의「국토」, 이성부의「전라도」「백제」, 신경림의「겨울밤」「농무」등
㉡ 정치사회적 현실 비판 : 독재 정치에의 항거와 산업화에 따른 계층적 갈등이 심화되는 현실에 대해 비판적으로 형상화함.
김지하의「타는 목마름으로」「오적(五賊)」, 정희성의「저문 강에 삽을 씻고」등
㉢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 : 산업화된 사회에서 소외당한 도시 변두리의 빈민과 이농민들, 광부들을 소재로 공동체적 삶을 지향함.
정호승의「맹인 부부 가수」, 김창완의「인동 일기」, 정일남의「어느 갱 속에서」등
[예문]
신새벽 뒷골목에 / 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 지 오래 / 내 발길은 너를 잊은 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 가닥 있어 / 타는 가슴속 목마름의 기억이 / 네 이름을 남몰래 쓴다 민주주의여.
김지하의「타는 목마름으로」이다. 1970년대 초의 암울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민주주의를 갈망하며 쓴 시로, 비장한 언어와 격렬한 어조로 저항 의지와 신념을 표현하고 있다.
㈁ 모더니즘 시
㉠ 지성과 서정의 조화 : 유연한 이미지의 흐름을 형상화함으로써 대상의 지적 파악과 회화적 감성의 울림을 융합시키는 한편, 존재의 의미에 대한 진지한 사색의 공간을 확보함.
황동규의「기항지」, 오세영의「그릇」등
㉡ 현대적 언어 탐구 : 내면 의식을 탐구하려는 입장에서 형식의 실험, 시간과 공간의 해체, 문법 구조의 왜곡을 통한 모호성의 강조, 비유와 상징 및 다양한 이미지의 활용과 같은 시도를 통해 언어의 시적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의도적 방법론을 추구함.
김영태의「첼로」, 이승훈의「어휘」등
㉢ 자유로운 상상력의 확장 : 사물을 개인의 내면 심리를 통해 해체하여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물질적 상상력을 이끌어 내고 존재론적 입장에서 새로운 관념을 형성함.
정현종의「사물의 꿈」, 오규원의「비가 와도 젖은 자는」등
◇1970년대 소설
㉠특징
㈀ 사회적 혼란과 시대적 갈등에 고뇌하는 비판적 현실 인식을 보여 줌.
㈁ 상황과 대결하여 극복하려는 능동적이고 의지적인 인간상을 형상화함.
㈂ 공동체 의식의 확산으로 역사 소설, 분단 문학 등 민중 문학의 지평을 확대함.
㉡전개 양상
㈀ 농촌 공동체 파괴의 현실 고발 :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궁핍한 현상과 농민의 고통스런 삶을 형상화함.
송기숙의「자랏골의 비가」, 이문구의「관촌 수필」등
㈁ 산업화와 노동자의 삶의 조건 반성 : 노동자 계층의 뿌리뽑힌 삶의 현실과 유랑 의식을 드러냄.
황석영의「객지」「삼포 가는 길」, 윤흥길의「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등
㈂ 일상적 삶의 모랄과 휴머니즘 탐구 : 사회 전반의 풍속 혼란, 윤리 의식의 동요, 자기 소외의 심화 현상을 비판적이면서도 인간에 대한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그려냄.
최일남의「노란 봉투」, 박완서의「지렁이 울음 소리」, 최인호의「별들의 고향」등
㈃ 분단 현실의 조망 : 625 전쟁의 민족사적 의미를 객관적으로 탐구함.
박완서의「나목」「엄마의 말뚝」, 윤흥길의「장마」, 김원일의「노을」, 현기영의「순이 삼촌」등
㈄ 민족사의 재인식 : 민중의 삶에 근거한 민족사를 재인식하여 대하(大河) 역사 소설을 씀.
박경리의「토지」, 황석영의「장길산」등
ⓐ<농무> : 신경림의 <농무>는 농촌공동체의 제의 형식이며, 허무주의와 분노의 감정이 깔려있다. 농촌공동체의 붕괴의 계기는 6·25와 산업화(근대화)이다. 이 두 사건은 자유와 평등의 의식과 관련된 것이다. <농무>는 이런 농촌공동체 파괴 현상에 대한 문학적 항의인 것이다.
ⓑ<삼포가는 길> :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은 70년대에 얻어진 산업사회로의 진입에 관한 문학적 대응이다. 즉 부랑근로자들의 도달점이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현대문학사를 정리해 보았다. 비록 얕은 나의 지식이 책과 인터넷에 의존하여 정리하였지만 2학년에 들어서 새롭게 배울 한국문학사를 조금이나마 보고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만족한다. 책 한줄 읽지 않는 게으른 내가 아주 조금이지만 예습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었다.
지금은 잘 이해도 못하고 잘 모르지만 2학년이 되어서 배울 생각을 하니 사실 조금은 두렵다. 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내가 잘 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지만 열심히 배워야겠다.
얄팍한 지식을 두껍게 채워나가기 위해서 말이다.
◈참고문헌◈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이재선, {현대한국소설사}, 민음사, 1991.
전광용 외, {한국현대소설사연구}, 민음사, 1984.
박태상, {전통부재시대의 문학}, 국학자료원, 1993.
박태상, {한국문학과 죽음}, 문학과지성사, 1993.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04.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