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정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머리말 ㆍㆍㆍㆍㆍ3

◈ 상고 시대의 문학ㆍㆍㆍㆍㆍ3
1. 고대 문화의 개념
2. 고대 문학의 형성 배경
3. 고대 문학사
4. 고대 문학의 특징
◉ 상고 시대의 운문ㆍㆍㆍㆍㆍ4
◉ 상고 시대의 산문ㆍㆍㆍㆍㆍ7

◈ 고려 시대의 문학ㆍㆍㆍㆍㆍ9
1. 고려 문학의 개념
2. 고려 문학의 형성 배경
3. 고려 문학사
4, 고려 문학의 특징
◉ 고려 시대의 운문ㆍㆍㆍㆍㆍ10
◉ 고려 시대의 산문ㆍㆍㆍㆍㆍ14

◈ 조선 전기의 문학ㆍㆍㆍㆍㆍ16
1. 조선 전기 문학의 개관
2. 조선 전기 문학의 형성 배경
3. 조선 전기 문학사
4. 조선 전기 문학의 특징
◉ 조선 전기의 운문ㆍㆍㆍㆍㆍ17
◉ 조선 전기의 산문ㆍㆍㆍㆍㆍ21

◈ 조선 후기의 문학사ㆍㆍㆍㆍㆍ23
1. 조선 후기 문학의 개념
2. 조선 후기 문학의 형성 배경
3. 조선 후기 문학사
4. 조선 후기 문학의 특징
◉ 조선 후기의 운문ㆍㆍㆍㆍㆍ24
◉ 조선 후기의 산문ㆍㆍㆍㆍㆍ26

◈ 참고문헌ㆍㆍㆍㆍㆍ30

본문내용

요 설화집
2. 기록 문학의 발달
(1) 전쟁 체험의 기록
① 임진왜란 : 이순신의 「난중일기(亂中日記)」,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
② 병자호란 : 김성헌의 「남한기략(南漢紀略)」, 어느 궁녀의 「산성일기(山城 日記)」
(2) 국내외 여행의 기록
① 국외 기행 : 홍대용의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 박지원의 「열하일기(熱 河日記), 서유문의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② 국내 기행 : 「의유당 관북 유람 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
(3) 궁중 기록 문학
① 궁중 비화(悲話)를 다룬 것으로, 소설적 성격을 띤 것도 있다.
예) 「인현 왕후전(仁顯王后傳)」
② 여성 특유의 섬세하고 우아한 표현으로 곡진한 정서와 인간미가 넘치는 내간체(內簡體)문장의 전형을 이룬다.
예) 「계축일기(癸丑日記)」,「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한중록(閑中錄)」
3. 한문 문학의 변모와 실학파 문학의 대두
(1) 한문 문학의 변모 : 한문 문학은 조선 후기에도 계속 발전했으나 일부 문인들은 하층민의 생활에 공감하여, 관습적인 한문학에 비판적이기도 했다. 이정구(李廷龜)ㆍ신흠(申欽)ㆍ이식(李植)ㆍ장유(長維)의 4대가(四大家)와 신광수(申光洙)ㆍ김창협(金昌協)ㆍ신위(申緯)등이 활약했다.
(2) 실학파 문학의 대두
① 실학파 문학의 성격 : 지식인으로서 선비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고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며 그 개혁의 방향을 모색하면서 문학론으르 세우고 창작 활동 을 하였다.
② 실학파 문학의 유파
㉠ 경세 치용 학파 : 이익, 이용휴, 이가환, 정약용 등
㉡ 이용 후생 학파 :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이서구 등
㉢ 실사 구시파 : 김정희 등
(3) 박지원 한문 소설의 특징
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적 태도 : 연암 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비판과 풍자 이다. 이는 중세적 봉건 사회가 무너져 가고 새로운 사회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하는 역사적 변환기에 살면서 그 모든 추이들을 직시했던 비판적 태도에 서 기인한 것이다.
② 새로운 인간형의 제시 : 전대의 재자 가인적(才子佳人的)의 주인공에서 벗어 나 평범한 사람 혹은 천대받는 인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예) 「광문자전」의 ‘광문’, 「예덕선생전」의 ‘엄행수’, 「마장전」의 ‘송욱’, ‘조탑타’, ‘장덕홍’
③ 인간 평등 사상 : 남녀 귀천에 관계없이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는 생각이 나 타났다.
예) 「광문자전」, 「열녀함양박씨전」
④ 사실주의적 기법 : 서민들의 삶의 세계로 의식 세계를 확장하면서 당대 평민 층의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하는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뛰어난 소설적 성 과를 이룩하였다.
작품명
특징
출전
호질(虎叱)
도학자들의 위선을 폭로, 풍자
열하일기
허생전(許生傳)
양반의 무능력을 비판하고 자아 각성 고취
열하일기
양반전(兩班傳)
양반 생활의 허식과 부패상의 폭로
방경각외전
광문자전(廣文者傳)
거지 두목인 광문자를 통해 양반 사회의 간접적 풍자
방경각외전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직업적 차별 타파와 천인(賤人)의 성실성 예찬
방경각외전
민옹전(閔翁傳)
무위도식하는 유생에 대한 풍자가 미신 타파
방경각외전
김신선전(金神仙傳)
신선 사상의 허무맹랑성 풍자
방경각외전
우상전(裳傳)
나라의 인재 등용의 맹정(盲政)비판
방경각외전
마장전(馬傳)
유생들의 위선적 교우를 풍자
방경각외전
열녀함양박씨전(列女咸陽朴氏傳)
개가(改嫁)금지에 대한 반대
연상각선본
※ 주요 작품
4. 판소리
(1) 판소리의 성장
① 판소리의 개념 : 전문 예술가인 광대(廣大)가 부르는 구비 서사시(口碑敍事 詩)이다. 여기서 ‘판은’은 일정한 원리에 따라 소리를 구성하는 것을 뜻한 다.
② 공연 방식 : 광대〔창자(唱子)〕와 고수(鼓手) 두 사람으로 공연한다. 광대 는 서사적 내용을 전달하되, ‘창’과 이야기조의 사설인 ‘아니리’를 번갈 아 가면서 판을 짜고, 장면 묘사를 실감 있게 하기 위해서 ‘너름새(발림)’ 라는 동작이나 몸짓을 한다. 고수는 북을 쳐서 장단을 맞춰 주며 ‘추임새’ 라는 탄성으로 흥을 돋운다.
※ 판소리의 변천
시기
판소리의 전성기
신재효(고종)
오늘날
작품명
<판소리 12마당)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 배비장 타령, 변강쇠가, 강릉 매화 타령, 옹고집 타령, 장끼 타령, 숙영낭자전, 무숙이 타령
〈판소리 6마당〉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
〈판소리 5마당〉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
특기사항
「숙영낭자전」과 「무숙이 타령」대신에 「왈자 타령」과 「가짜 신선 타령」을 넣기도 함
신재효는 전라도 고창 아전으로 판소리 이론을 정립하고, 광대들에 대한 지원과 함께 이들을 양상하였으며, 전승 판소리르 여섯 마당으로 정리함
「변강쇠가」는 신재효가 정리한 사설만 전해질 뿐, 곡이 유실되었음
5. 민속극의 성장
(1) 탈춤의 정립 : 연극의 오랜 전통이 조선 후기에 탈춤이라는 민속극으로 정립되었다. 탈춤은 원래 농촌 탈춤에서 비롯되었는데 18세기 중엽 이후 새로운 상업 도시가 등장하면서 그 도시의 주민인 상인과 이속이 주동이 되어 새로운 도시 탈춤으로 변모하였다. 농촌 탈춤이 도시 탈춤으로 바뀌었다기보다는 그들 사이에 떠돌이 탈춤이 있어서 매개 구실을 했다고 본다.
(2) 탈춤의 분류
㉠ 농촌 탈춤 : 하회 탈춤, 강릉 관노 가면극, 북청 사자 놀이
㉡ 도시 탈춤 ┍ 산대 놀이 (중부 지방) : 양주 별산대 놀이, 송파 산대 놀이
┞ 해서 탈춤(황해도 지방) :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은율 탈춤
┞ 오광대 : 고성, 진주, 가산, 마산, 통영의 오광대
┖ 들놀음 혹은 야유(野遊) : 수영, 동래의 야유
(3) 꼭두각시 놀음 (인형극) : 박 첨지 놀음
(4) 민속극의 의의 : 조선 후기에 성장한 평민 의식이 가장 극명하게 표현된 예술로, 민족극(民族劇) 창출의 원동력이 되었다.
◈ 참고문헌
ㆍ國文學新講 編纂委員會, 國文學新論, 새문社, 1985
ㆍ최병해, 마운용 엮음, 문학 및 문학교육Ⅱ〈고전시가ㆍ현대시〉, 희소고시학원, 2004
ㆍ맹용재 외 10명, 디디돌 문학 〈고전 문학편〉, 디딤돌, 2002
ㆍ강문선 외 38명, 자율학습 문학 〈고전 문학〉, (주)지학사, 1998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1.04.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