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근대를 다시 읽는다 룰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근대를 다시 읽는다 룰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경기도의 한 ‘모스크바’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1.들어가며

2. 전쟁 전의 마을
<해방 전의 계급구성과 세력관계>
<‘이천의 모스크바’로 불리게 되기까지>

3. ‘인공’점령기의 전쟁동원과 마을의 대응
<개전과 인민위원회 결성 - ‘계급노선’의 실상>
<의용군 모집과 토지개혁 - 고통과 희망에 대처하는 방식>

4.대한민국의 질서회복과 국가 - 농민관계
<‘수복’과 국가에 대한 공포의 충성서약>
<전 후 폐허를 딛고 서는 힘의 실체>

5.나오며 - 전쟁의 경험 ․ 기억 ․ 구술

본문내용

할 수 밖에 없었던 민중들 역시 여러 국가제도가 강화되면서 명실공히 ‘국민’이 되었다.
결국 전후 새로운 마을질서를 만들어가던 ‘민중의 역동성’은 근대적 교육군대를 첫 세대로 경험한 사람들의 지도력과 그것을 받쳐주는 ‘국민형성’이 맞물리면서 만들어 진 것이다. 저자는 국가주의적 동원에 농민층이 ‘자발적’으로 동원되었던 새마을 운동의 핵심 추진력이 바로 이 ‘30년 전후생’이라는 사실이 많은 고민거리를 던져준다고 말한다.
5.나오며 - 전쟁의 경험 기억 구술
저자는 오두리가 ‘모스크바’의 이미지에 걸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혁명적 마을’이라고 평가하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여기서 저자가 파악한 ‘민중의 역동성’은 혁명성이라기보다 권력과 지배로부터 제한적으로 독립된 혹은 허용된 범위 내에서의 자율성과 대동적 지향에 가까운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오두리의 전쟁경험을 유일한 진실이라고 동의하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가 그들의 기억과 이미지가 이미 레드 콤플렉스에 짓눌려있고, 그 경험들이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오두리 사람들은 한결같이 ‘빨갱이 동네’로 낙인 찍힌 억울함을 호소하고 자신들은 ‘뭘 모르면서도 훌륭한 정철희가 옳다니까 따라간 것 뿐’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이것이 ‘모스크바’라고 과장된 규정에 대한 항변인 동시에 지난 50년간 짓눌려온 반공이데올로기와 전쟁피해의식으로 인한 ‘생존을 위한 구술전략’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구술전략과는 어긋나는 ‘다른 목소리’에는 단지 ‘차이’만이 아니라 반공이데올로기를 뚫고 나오는 민중 자신의 목소리가 담겨있기도 하다.
역사가 ‘기억을 둘러싼 투쟁’이라면 우리는 권력에 의해 또 거대한 담론에 의해 억눌리고 굴절된 민중의 기억을 드러내는 작업을 소홀히 할 수 없다. 어쩌면 주관적일 수 밖에 없는 기억을 객관적으로만 다르려고 하는 우리의 관성이 그들과 우리의 대화를 가로막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오두리에서의 정철희에 대한 신화적 이야기와 존경심을 대할 때, 그 사실 여부를 따지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철희로 상징되는 ‘새로운 삶’에 대한 열망, 자신의 언어로써가 아니라 정철희의 ‘위대함’으로 자기 열망의 정당성을 표현할 수 밖에 없었던 그들의 과거와 현재, 정철희에게 모든 것을 미룰 수 밖에 없었던 그들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 그리고 정철희를 기억함으로써 국가권력이 강요하는 망각에 맞서온 그들의 역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02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