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_주요_국가의_물류산업의_현황_및_한국의_대응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동북아 주요국가의 물류산업 현황

① 한국의 물류산업 현황
② 일본의 물류산업 현황
③ 중국의 물류산업 현황
④ 홍콩의 물류산업 현황

Ⅲ 한국 물류산업의 문제점
Ⅳ 한국의 대응전략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물류 수요는 중국 경제발전의 추진하에 안정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중국 사회물류총액은 전년대비 7.4% 증가한 96조6500억 위안에 달했다. 2009년 중국 사회물류총액 성장률을 살펴보면 1분기는 비록 전년 동기대비 3.3% 감소했지만 3분기 들어 2%로 상승해 2009년 연간 성장률이 7.4%에 달했다.
2009년 3월 10일 '물류업 조정진흥계획'이 2009년에 물류업의 급격한 발전을 추진했다면 2010년 출시된 '물류진흥계획세칙'은 사회물류 수요 잠재력을 한층 더 발휘하여 물류산업을 황금발전단계로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공업품 물류총액은 전년대비 9.4% 증가한 87억4100억 위안으로 전반 사회물류총액의 90.4% 차지했고 증가폭은 전년대비 1.7%p 상승되었다.
상하이시는 2011년에 물류업 부가가치의 연평균 성장률을 10% 이상으로 유지하고 물류업 부가가치가 전시 GDP에서 13%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세계 컨테이너 처리량 2위의 상하이는 2020년까지 무관세 자유항을 목표로 하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물류센터 설립, 대교건설로 내륙 내의 유통망을 더욱 견고히해 원가, 인프라면에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심천 또한 심천과 중산을 묶는 심중대교를 건설하고 샤오관시와 공동물류센터 개발을 계획하고 있어 중국 내륙지역의 물류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은 현대 물류업 육성, 현대 물류서비스 시스템 구축, 물류 수준 제고, 산업구조 고도화를 중점적으로 물류산업 발전을 추진할 것에 관한 4대 진흥계획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의 물류허브 목표와 계획>
■ 홍콩의 물류산업 현황
홍콩은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은 싱가포르, 상하이의 뒤를 이어(2007년∼2009년 2분기) 전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홍콩 물동량은 세계 경기침체로 2009년에 작년 동기 대비 -20%(1분기), -17%(2분기) 하락세를 보였으나, 세계 최대 운송기업 UPS(United Parcel Service)의 홍콩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홍콩 물류경기를 좌우하는 구미지역 수송량이 이번 4분기 2007년 수준 이상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도 홍콩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상승세를 지속 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 물류산업의 문제점
한국의 물류산업은 시계적인 글로벌 물류업체들과 비교해 볼 때 여러 가지 면에서 경쟁 열위에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서비스의 범위와 규모의 영세성 문제가 있으며 물류정보시스템이 미약하고 신속 정확한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있다. 또한 해외에 거점이 되는 네트워크 구축이 미약하여 글로벌 물류업체와의 경쟁환경이 열악하다.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살펴보겠다.
첫째, 동북아 물류시장의 성장이 급물살을 타면서 글로벌 물류업체의 진출과 주변국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물류강국에 준하는 물류효율성, 물류인프라, 물류업체의 규모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즉 전문 물류업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물류시설의 영세성이다. 국제물동량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으나 물동량유치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중국경제의 성장으로 세계물동량의 1/3이상을 동북아시아에서 소화해내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중국에 밀려 컨테이너 처리량 순위가 갈수록 떨어지는 실정이다. 홍콩의 경우 13층 규모의 연면적이 축구장 160개에 달하는 장치화물조작장(CFS)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홍콩 전체화물의 40%를 처리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차량5대 미만의 영세 운수업체가 97%를 차지하고, 물류창고도 비영업용이 76.8%에 이른다.
셋째, 한국의 수송체계는 수송효율이 높은 철도의 화물수송 분담비율이 매우 저조하다. 한국은 화물수송의 대부분을 화물자동차 운송 중심의 노동집약적인 고비용의 수송구조를 지니고 있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 볼 때 한국은 도로화물운송비는 63.5%호 미국과 일본에 비해 높으며 철도 화물수송분담비율을 비교해 보면 6.6%로 미국, 프랑스, 러시아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걸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경우 화물연대의 파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화물연대의 파업은 국가물류체계의 마비를 가져올 정도로 큰 위협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한국의 대응전략
한국은 종합물류업 육성을 강화 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DHL, Fedex, UPS와 같은 초대형 물류회사를 만들어 글로벌 물류업체들과 경쟁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한국은 동북아중심 주요 간선항로상에 위치해 있다는 강점을 살려 피더네트워크(간선항로와 떨어져 있는 국내 또는 외국 항 사이의 컨테이너지선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적화물 유치에도 역량을 집중시키고 특히 고부가가치 화물환적 전문항구로 거듭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부가가치화물 환적에 강점이 있는 로테르담항은 물동량 처리 규모 면에서 세계 10위이지만 연간 238억 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해낸다. 반면 물동량기준 세계 5위의 부산항은 고작 80억달러의 부가가치만을 창출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물류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창출할 수 있는 외국 물류기업 유치와 함께 우리 물류기업의 글로벌화를 통한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 참고자료
◎ http://www.globalwindow.org (KOTRA 무역투자정보포털)
· 일본, 물류업계를 통해서 본 실물경기 (김준한 2009)
· 2010년 中 물류업 황금발전단계 들어설 것 (오영주 2010)
· 물류허브 홍콩의 현재와 미래 (김규리 2009)
· 中, 2020년까지 상하이 글로벌 금융·물류 허브로 키운다 (김윤희 2009)
· [中, 10대 산업진흥책(10)] - 물류업 (김윤희 2009)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이정언 석사학위 논문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Approach to Logistics Industry in Korea’
◎ http://cafe.naver.com/worldrank.cafe
◎ http://cafe.naver.com/team3gl 물류인 포럼
◎ http://www.weeklytrade.co.kr
.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0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