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능력][의사소통능력 신장 사례]의사소통능력의 정의, 의사소통능력의 요소, 의사소통능력의 영역,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의사소통능력의 개발,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의사소통능력의 신장 사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사소통능력][의사소통능력 신장 사례]의사소통능력의 정의, 의사소통능력의 요소, 의사소통능력의 영역,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의사소통능력의 개발,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의사소통능력의 신장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Ⅱ. 의사소통능력의 요소
1. 문법적 능력(grammatical competence)
2. 사회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3. 담화능력(discourse competence)
4. 책략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

Ⅲ. 의사소통능력의 영역

Ⅳ.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1. 초보적 의사소통 행동단계(primitive comminicative behaviors: 0~3개월)
2. 목표지향적인 의사소통 행동 단계(perlocutionary communicative behaviors: 4~7개월)
3. 도구적인 전환기 행동 단계(traditional/instrumental behaviors: 8~11개월)
4. 언어이전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단계(illocutionary communicative behaviors: 11~14개월)
1) 정상 아동
2) 언어이전기적 의사소통 행위(prelinguistic communicative acts)
3) Halliday(1975) 10~18개월 정도에 나타나는 의사소통 행위

Ⅴ. 의사소통능력의 개발

Ⅵ.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1. 언어 사용 행동을 평가한다
2. 직접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3. 통합적으로 평가한다
4. 절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한다
5. 주관적으로 평가한다
6. 학생이 실제 사용할 내용을 평가한다

Ⅶ. 의사소통능력의 신장 사례
1. 1분 말하기
2. 모두 말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개념에서 “능력”(competence)은 Chomsky(1965)가 “수행”(performance)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용한데서 유래한다. 그의 언어학적 관심은 이상적인 화-청자(ideal speaker-hearer)의 언어 지식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Chomsky는 이상적인 화-청자가 아닌 실제로 존재하는 화-청자가 “구체적인 상황의 실제적인 언어사용”(the actual use of language in concrete situations)을 “수행”의 영역에서 다루어질 문제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게 있어서 언어의 사용은 주요 관심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인다면 언어사용의 문제는 이 능력의 핵심적인 부분이 된다. 기존의 외국어 교수에서는 언어 규칙, 구조(structures), 문법성(grammaticality)의 범주를 강조하였다. 이에 비해,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을 수용한 외국어 교수에서는 이 범주들과 아울러 언어 사용 규칙, 맥락(context), 적절성(appropriacy)의 범주도 강조하게 되었다.
Ⅵ.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1. 언어 사용 행동을 평가한다
의사 소통은 정보나 지식을 전달 수수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의사 소통을 학생이 실제로 할 수 있는가 없는가와, 할 수 있다면 어느 정도 할 수 있는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종전의 어휘나 언어의 구조에 대한 지식의 소지 정도를 측정하는 것과는 다른 형태로 언어 사용 행동을 평가한다.
2. 직접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의사 소통 능력 평가는 학생이 언어를 사용하는 행동 자체를 직접 평가한다. 간접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다음, 그 결과를 추후의 언어사용에 투영하거나 추론하지 않는다. 직접 평가는 평가 기법상 여러 가지의 어려운 문제들을 내포한다. 그래서 편의상 간접 평가의 방법을 취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3. 통합적으로 평가한다
언어 사용 행동은 본질적으로 통합적이다. 언어의 구조를 분석하여 낱낱의 요소를 하나씩 평가하는 분리 평가 대신에 한꺼번에 두 가지 이상의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평가하는 통합 평가의 방식을 취한다. 실제의 언어 사용 행동이 통합적이기 때문이다.
4. 절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한다
의사 소통 능력 평가는 일반적으로 의사 소통 능력의 사용에 관한 어떤 기준을 미리 정한 다음, 그 기준에 도달했느냐 못했느냐, 혹은 어느 정도 도달했는가를 평가하는 절대 평가의 형식을 취한다. 일정 수의 학생의 점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상대평가 방식은 별로 의미가 없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학생의 의사 소통 능력의 소지 정도를 평가하면, 평가 결과의 해석, 즉 의사 결정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5. 주관적으로 평가한다
의사 소통 능력 평가는 따라서 주관식 평가의 요소가 많이 가미된다. 특히 표현 기능의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의 언어생활에 있어서도 언어 능력은 일반적으로 주관적으로 판단한다.
6. 학생이 실제 사용할 내용을 평가한다
의사 소통 능력 평가는 학생들이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기대 등에 부합되어야 한다. 이것은 주로 평가의 내용에 있어서 학생들이 앞으로 별로 사용할 것 같지도 않은 내용은 평가에 담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뜻이다. 학생들의 목표 언어에 대한 요구 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평가 문항을 제작 할 때에 참고하는 것이 적극 권장된다.
Ⅶ. 의사소통능력의 신장 사례
1. 1분 말하기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말하기 태도가 필요하다. 학생들은 영어듣기에 대한 부담을 적게 느끼는 반면, 말하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갖고 있다. 이것은 비단, 영어로 말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모국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교사는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없애고 적극적인 태도와 자신감을 갖게 하기 위하여, 정규 수업이 시작되기 전 5분의 시간을 할애하여 5명의 아동들에게 1 분 동안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말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도록 마이크를 준비하여 말하는 소리가 교실에 울리도록 하였으며, 실물화상기로 얼굴을 비추어 프로젝션 TV를 통해 말하는 모습이 나오도록 한다. 또한, 말한 것은 녹음하여 친구들과 같이 듣는 기회도 주었고 1분 이상 길게 말한 아동은 적절한 보상과 칭찬으로 강화를 준다. 물론, 이것은 영어가 아닌 모국어로 말하기이지만 학생들은 이러한 기회를 통해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없애고, 영어로 말하기에 대해서도 좀 더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는 전이를 기대할 수 있다.
2. 모두 말하기
학생들은 자신이 영어로 말할 수 있다는 사실에 영어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를 부여받는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모든 학생이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본 교사는 모든 학생들이 말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학습한 언어 내용을 답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자주 한다. 같은 질문을 40여명의 학생들에게 하는 동안 아동들은 목표한 언어내용을 반복하여 듣게 됨으로써 확실하게 기억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친구들의 대답을 듣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게 되어 청취이해력도 향상되게 된다.
모두 말하기를 위한 훈련을 실시할 때, 처음에는 하나의 단어로 대답할 수 있도록 하여 말하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덜어 주며, 목표한 언어 내용이 익숙해졌을 때, 문장으로 대답하도록 유도한다.
참고문헌
ⅰ. 김진화(2008),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한 영어과 교육의 발전 방향,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ⅱ. 남산고등학교(1999), 성취 수준별 학습활동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남산고등학교 연구보고서
ⅲ. 신용진(1994), 영어 교수 공학, 서울 : 한신문화사
ⅳ. 이송희(2002), 소집단 학습을 통한 영어 의사사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ⅴ. 최진황(1985), 영어 수업모형과 교실 영어, 서울 :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ⅵ. 편유라(2006), 제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의사소통기능 중심 교수법과 그 사용의 실제,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