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특성,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도덕성발달이론,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과 지도방법,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평가,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발전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특성,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도덕성발달이론,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과 지도방법,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평가,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특성

Ⅲ.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도덕성발달이론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단계
1) 습관의 단계(habit level)
2) 성인의 기준에 적합(conformity to adult requirement)
3) 같은 동료들 간의 상호적응(mutual adjustment of equals)
4) 행동의 기저에 있는 동기존중(appreciation of underlying motives)
5) 규칙, 원리 및 이상의 설정(codification of rules, principles and ideals)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단계
1) 인습이전 수준
2) 인습수준
3) 인습 이후 수준
4)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의 특성

Ⅳ.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
1. 내용 선정
2. 내용 조직

Ⅴ.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지도방법

Ⅵ.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1. 초등학교 도덕과 ICT활용교육의 목표
2. 초등학교 도덕과 ICT활용교육의 특성
3. 초등학교 도덕과 ICT활용교육의 교수학습모형
1) ICT 활용 개념분석학습 모형
2) ICT 활용 가치갈등학습 모형
3) ICT 활용 가치명료화학습 모형
4) ICT 활용 역할놀이학습 모형

Ⅶ.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평가
1. 제6차 교육과정 도덕과의 평가
2. 제7차 교육과정 도덕과의 평가

Ⅷ. 향후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발전 방안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의 방법에 있어서도 가급적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필 평가, 행동 관찰, 자기 보고법, 면담법, 구술 평가, 포트폴리오(portfolio), 토론 과정 및 발표에 대한 관찰 평가, 학생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과 기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④ 평가 결과는 기록, 보고, 보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을 촉진하고, 도덕과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 자료와 수단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⑤ 도덕과 평가는 학생들을 등급화, 서열화하는 판정과 분류로서의 평가가 아닐,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과 도덕과 교수학습의 개선을 지향하는 성장과 개선으로서의 평가가 되도록 한다.
제 7차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에서 평가는 학습의 결과를 확인하고 측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과정으로 실시하고, 학생들의 자아 개념을 긍정적으로 키워주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평가의 결과를 학생 개개인의 도덕적 성장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제 7차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으로 성취도를 평가하고, 평가의 결과는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지도’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선다형 일변도의 객관식 평가를 지양하고 논술형의 주관식 평가를 조화롭게 실시하여, 평가의 결과를 상호 비교하거나 등급을 매김으로써, 인간관계나 자아 의식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하고자 한 점이 특징적이라고 생각된다.
Ⅷ. 향후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발전 방안
도덕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교수 방법이나 기법에 관한 교사의 지식보다도 교사의 인간 됨됨이라는 자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정의’를 가르치기보다는 ‘아동을 정의롭게 대하는 것’을 실천해야 한다. 교사 스스로 그들의 역할, 태도, 가치, 신념 등이 아동들의 눈에 어떻게 비춰지고 있는지에 관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즉, 아동에 대한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를 실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의 모습을 오직 그 아동에 의해서만 지각되는 방식 즉, 아동의 눈을 통해 교사 자신을 보려는 수용적인 자세와 안목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하여, 월말이나 학기말 또는 학년말을 시점으로 삼아, 교사에 대한 아동들의 불만사항이나 건의사항을 자유롭게 토로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방안을 예시하면, 익명을 원칙으로 한 메모하기를 들 수 있다. 아동들에게 백지를 나눠주고 교사에 대한 갖가지 의견을 자유롭게 적게 한 후, 이를 바구니에 넣게 한다. 모든 아동의 의견이 다 모아진 바구니 속의 내용물을 임의로 섞어서 아동들로 하여금 다시 그 의견서 중 한 장씩(아무거나 손에 잡히는 것)가져가게 한 후, 자신의 글씨로 그 내용을 다시 베껴 쓰게 한다. 그런 다음 다시 베껴 쓴 용지만을 교사에게 제출하고 원본은 아동들 스스로 폐기하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교사가 읽게 될 자신의 의견서는 다른 아동이 대필한 것이 되므로 자신의 신분이 철저히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은 편안한 마음으로 그들의 심정을 솔직하게 술회하게 되고 교사는 아동들의 시각을 통한 자신의 모습을 재검토 할 수 있게 되어, 아동 이해 및 자기 반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와 교사아동간 친애도는 아동의 입장에서 볼 때,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며, 어떠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개선하려는 사려 깊은 계획안을 수립하여 실천해야 한다. 교사의 차별행위 이외에 도덕교육을 저해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역기능적 요소는 학급 내에 만연되어 있을 것이다. 아동들로 하여금 긴장, 불안, 공포, 체념, 도덕적 혼란 등을 유발하여 학습을 저해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Ⅸ. 결론
도덕교육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녀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핵적인 인격 특성 혹은 덕을 함양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만 한다. 아울러 도덕교육은 학교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실행되어야만 한다. 교사의 수범, 학교의 교칙, 교과 활동, 클럽 활동, 생활 지도, 학교 환경 관리, 학교 행사, 학급회의, 학부모 및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학교 생활의 모든 측면들을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기회로서 활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학급 혹은 학교는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응집력 있는 도덕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이것은 학급 혹은 학교 자체가 올바른 도덕성을 구비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실이나 학교는 우리가 지향하는 사회의 축소판이 되어야 한다. 인간은 관계를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존재이며, 올바른 도덕성은 관계를 통하여 학습되고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 교육이 공동체적 삶의 형태로서의 학급 혹은 학교의 역할을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고, 갈등을 민주적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가운데 도덕성의 함양을 무엇보다도 소중히 여기는 응집력 있는 공동체가 될 때, 도덕교육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도덕교육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부모 및 지역 사회를 도덕교육의 협력자로 활용해야 한다. 학교, 학부모, 지역 사회 사이에 학생의 학습 및 발달에 관한 공유된 목적과 사명이 결여되어 있는 곳에서는 도덕교육이 결코 성과를 거둘 수 없다. 학교는 가정 및 지역 사회를 학교의 다양한 도덕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가정 및 지역 사회를 학교의 도덕교육을 위한 자료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Ⅲ), 교육부, 1998
◇ 남궁달화,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5
◇ 박용헌·이돈희·이흥우, 도덕과 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75
◇ 심성보, 도덕 교육의 담론, 학지사, 1999
◇ 서울초등도덕교육연구회, 초등도덕, 서울 현문사, 1997
◇ 서강식, 도덕과 교육론, 서울 양서원, 2001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5.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