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가족의 문제와 복지대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이혼가족의 문제

1. 이혼부부에게 미치는 문제
1) 경제적 문제
2) 대인관계 및 사회적 문제
3) 신체 · 정신적 건강문제

2. 자녀에게 미치는 문제
1) 심리 · 정서적 문제
2) 사회적 문제
3) 경제적 문제

Ⅱ. 이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이혼예방대책
1) 가족생활 교육프로그램
2) 가족상담 치료프로그램

2. 이혼과정상의 대책
1) 조정 및 중재
2) 법률적 재판
3) 자녀에 대한 배려

3. 이혼 후 적응과 대책
1) 이혼적응 단계
· 돌이켜 생각하기
· 회복과정
· 안정된 단계
2)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즉, FDS는 부부에게 위기가 발생했을 때 제 1단계 화해(conciliation), 제2단계
조정(mediation)은 이혼을 평화적으로 동의하도록 하며, 제3단계는 조정에 동의
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조정관에게 조회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실제로 대부분의
부부가 파한에 도달해서야 조정신청을 하기 때문에 조정이 원만하게 성립되지
많을 때가 많다(서울가정법원, 1991). 특히 우리나라는 재판이혼보다 협의이혼
이 많으므로 협의이혼의 경우에도 조정과정을 거치도록 하며 화해 또는 보다
바람직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4단계 중재(arbitration)는 이
혼 동의 후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는 과정이다.
(2) 법률적 재판
계판에서는 재산분할, 위자료, 자녀양육권 및 양육비, 면접교섭에 대해서, 이
혼 후 불리한 배우자를 고려해야 하며 남녀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자
녀의 의견도 고려해야 한다.
(3) 자녀에 대한 배려
부모가 이혼한 경우 자녀를 위해서 세심한 부모의 배려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의 연구에서 부모가 이혼한다는 사실을 자녀들은 미리 알려주기를 바라는
(78.9%)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김정옥 외, 1993) 자녀가 이해할 수 있고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자녀에게 나름대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
3) 이혼 후 적응과 대책
이혼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개인이 갖고 있는 자원을 강화함으로써 이혼가
족이 경험하는 부정적 결과를 경감하고 복지감을 증진할 수 있다고 하였다
(Amato, 2000).
(1) 이혼적응 단계
이혼적응을 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이혼 후 적응에는 2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보며, 재혼 또는 전 배우자와 접촉을 완전히 끊거나 전
결혼의 영향에서 독립적인 단계가 되면 적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이혼 전
획득한 지위나 전 배우자의 영향 혹은 전 결혼생활의 감정적 몰입에 의존하지
않고, 이혼자가 자신의 정체감을 확립하고 독립적으로 가정, 직장, 사회생활 등
일상생활의 제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할 때 적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혼
후 적응은 개인의 인성, 경제적 지위, 사회적 관계, 자녀와 친족과의 관계, 주
거지, 역할 재정의와 같은 변수에 따라 남녀 간 및 개인 간에 차이가 있다.
이혼적응과 관련된 단계들은 다음과 같이 살펴 볼 수 있다(Kessler, 1975;
Wallerstein & Blakeslee 1989; 변화순, 1996, 재인용).
-돌이켜 생각하기(Mourning)
이 과정에서는 전 배우자에 대한 분노, 미움, 고독감, 불행감 등이 나타나
는데, 이것은 보통 별거 후 전 배우자에 대한 환영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준다.
만약 이 시점에서 슬픔이나 분노감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필연적으로 다음 시
점에 발생될 수 있다. 분노는 일반적으로 전 배우자에게 직접적으로 향하는
데, 때로는 참을성을 잃고 자극적인 행동이나 경직된 사고로 표현되기도 한
다. 즉, 어떤 사람들의 분노는 건강한 감정적 표현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또
어떤 사람들의 경우는 역기능적인 표현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
대방에 대한 소유감정에서 벗어나 죄책감이나 자녀에 대한 권리의 포기, 가학
피학적 행동들, 고통이나 복수하겠다는 마음을 갖지 않고 이전 결혼생활을 끝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배우자들은 전 결혼에서 잃어버린 것, 실현되
지 못한 꿈과 소망을 돌이켜 생각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개인은
잃어버린 것에 대한 통찰력을 다시 얻거나 유지할 수 있다.
-회복과정(Recovery)
회복과정의 기간은 개인이 이혼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도에 따라 달
라진다. 그리고 전 배우자나 이전 결혼의 재결합 가능성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혼한 많은 사람들은
이혼이 자신의 참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동기가 된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이혼이 두 사람 사이에 불일치하는 감정의 갈등으로부
터 자유로울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 이혼자들은
회복과정을 빨리 경험한다고 볼 수 있다.
과거의 결혼생활로부터 벗어나 자신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찾고, 새로운
정체감을 확립하는 과정이 주어질 때 이혼의 상처로부터 회복할 수 있다. 즉,
새로운 관계나 새로운 역할, 오랜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시도할 용
기와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한 모험을 계속함으로써 이혼에서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안정된 단계(Stability)
이 단계는 불안정성이 사라지고, 자신의 참좌 목표들에 재몰입되는 단계이
다. 이혼한 사람들은 현실적인 목표를 정하고 그리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이행한다. 게다가, 개인들은 개인적 약점보다는 장점에 기초를 둔 새
로운 관계를 만들 준비를 한다. 이 단계에서 이혼한 사람들은 타인에 대해 더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방적이고, 더 수용적이며 친절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
이 이혼과정의 종결이며,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 강해진 모습으로 변화되었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혼 후 과거의 결혼에서 갖는 책무나 기억, 교훈들이
현계의 경험들과 공존할 때 더욱 안정된 단계를 이를 수 있다.
(2) 교 육
이혼자들에게 이혼에 대한 긍정적발전적 사고와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지모임 등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한편 부모의 이혼으로 인하여 편부모와 지내게 된 자녀들의 적응을 위한 각
종 적응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개정가족법에서 자녀의
면접교섭권을 보장받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법적인 보장이 되었으므로 이제는
미시적 관점에서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영화 외(2004).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양서원
-조흥식 외(2003). ‘여성복지학’. 학지사
-최선화(2006). ‘여성복지론’. 학현사
-테레사 쿨라빅 외(2000). ‘복지국가와 여성정책’. 새물결
-박재창 편(2000). ‘정부와 여성참여’. 법문사
-김훈(2004). ‘사회복지법제론’. 학지사
-한국여성연구소(2005). ‘새여성학 강의’. 동녘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