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와 장고(장구),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한국전통악기(국악기) 태평소,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비파와 해금,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아쟁과 북, 한국전통악기 좌고와 진고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와 장고(장구),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한국전통악기(국악기) 태평소,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비파와 해금,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아쟁과 북, 한국전통악기 좌고와 진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

Ⅲ.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고(장구)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1. 훈
2. 부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태평소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비파와 해금
1. 향비파
2. 당비파
3. 해금

Ⅶ.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아쟁

Ⅷ.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북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좌고와 진고
1. 좌고
2. 진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
구궁 감아 친다.
원박인 궁을 치기 전에 부드러운 손목 힘을 이용해 여리게 구를 친다.
장구의 구궁 타법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좌고와 진고
1. 좌고
좌고는 연례악을 연주할 때 쓰이던 북의 하나. 악학궤범에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말기의 화가 신윤복의 풍속도에 보인다.
좌고는 춤의 반주뿐만 아니라 관악합주·합악에는 사용되지만 현악에는 쓰이지 않는다. 주로 장구의 합장단과 북편을 칠 때 이를 따라 함께 친다. 좌고의 양쪽 가죽면 지름은 1척 7촌. 북통의 너비는 7촌. 북통의 상하 좌우로 세 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2. 진고
진고는 주로 우리나라의 제사 때 사용하던 대형북의 하나이다. 진고는 네 기둥을 세우고, 횡목을 가로지른 틀 위에 북을 놓는다. 음악을 시작 할 때와 그칠 때, 그리고 매 구끝에 노고와 동시에 치는데 퇴는 나무로 만든다.
진고는 문묘와 종묘의 헌가에서 사용되는데 종묘제향에서 아헌에 먼저 진고 10통을 친 다음에 고축삼성 등의 절차로 음악이 시작되고, 종헌에는 아예 고축삼성은 없고 진고 3통으로 음악을 시작하는 것이 조선조 후기의 전통이었다.
참고문헌
권오성, 한국전통음악 장단 연구의 문제점, 91-국악회 전국대회 - 한국 음악의 장단, 한국 국악 교육학회, 1990
기청, 어화둥둥 두리 둥둥 이야기 국악, 서울 : 세광음악출판, 1994
대원사, 우리 옛 악기, 1990
송혜진, 국악, 이렇게 들어보세요, 2002
이성천·권덕원·백일형·황현정 지음, 알기 쉬운 국악개론, 도서출판 풍남
주태원,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본질화를 위한 시론,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