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식량난과 인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부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이해
1장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이해 13

제2부 식량난과 북한주민의 경제적․사회적 권리
2장 식량난과 생존권 30
1. 식량부족과 대량아사 실태 30
2. 어린이 성장 장애 및 교육권 침해 42
3장 개인의 경제활동권 48
1. 이동의 자유 제한 48
2. 장마당 생계활동 제한 58
3. 개인영농의 권리 제한 61
4장 평등권과 소수자 인권 66
1. 출신성분제와 연좌제 67
2. 여성과 아동권 73
2부 소 결 83

제3부 식량난과 북한주민의 시민적․정치적 권리
5장 개인의 신변안전권 89
1. 주민상호간 폭력 89
2. 공권력 및 공권력 빙자 폭력 93
6장 법적 보호받을 권리 101
1. 고문과 비인도적 처벌 및 행위 101
2. 공개처형 106
7장 사상 및 표현의 자유 111
1. 표현의 자유 112
2. 정보접근의 자유 114
3. 종교의 자유 117
3부 소 결 121

제4부 북한주민의 권리 보장 및 개선을 위한 제언
8장 북한 당국에 대한 권고 및 제언 128
1. 국제사회와의 적극적 인권대화 129
2. 식량난 실태 공개 및 분배의 투명성 보장 129
3. 주민의 경제사회권 보장 130
1) 이동권 보장
2) 장마당 전면 허용
3) 개인영농 인정
4) 신분제와 연좌제 철폐
4. 시민적․정치적 권리의 향상 134
1) 탈북자 및 생존형 범죄자 처벌 완화
2) 고문 및 비인도적 처우 개선
3) 표현의 자유 보장
5. 인도주의적 차원의 인권개선 136
9장 한국 및 국제사회에 대한 제언 138
1. 한국 139
1)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의지 표명
2) 식량․의약품 등 인도적 지원 확대
3) 남북경협 확대
4) 남북 군비축소 회담
5) 대북지원 및 북한인권단체: 정보공유 및 탈정치적 접근

2. UN 및 국제사회 143
1) 인권상황에 대한 차이 인정
2) 대량의 인도적 지원 병행
3. 미국 144
1)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2) 대량의 인도적 지원 및 대북 경제제재 조치 해제
3) 불가침 협정 후 북미수교
4)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완화
4. 일본 147
1) 납치자 송환문제와 대북 인도적 지원 분리
2) 대북 경제제재 법안 철회
3) 북한 비방 및 조총련 탄압 중지
4) 북일 외교관계 정상화
5. 중국 149
1) 북한난민에 대한 수색․연행․강제송환 중지
2) 임시 거류증 부여
3) 어린이와 여성의 인권 보호
4) 국제결혼 인정

■■표 차례 ■■

<표 1> 조사대상자 가족의 연도별 출생자 및 사망자 비율 30
<표 2> 조사대상자의 총 가족 구성원 중 연령별 사망자 비율 33
<표 3> 꽃제비 아이들의 부모 생존 여부 35
<표 4> 배급 중단 이후 생계유지 방식 36
<표 5> 생계유지를 위해 먹었던 음식 37
<표 6> 하루 끼니 횟수 37
<표 7> 조사대상자 가족 구성원들의 사망 원인 38
<표 8> 조사대상자들의 건강상태와 질병 현황 40
<표 9> 가족이 질병에 걸렸을 때 치료 방법 42
<표 10> 남북한 청소년 평균 체중 비교표 43
<표 11> 남북한 청소년 평균 신장 비교표 44
<표 12> 성과 연령에 따른 5세 미만 어린이의 영양 장애 유병률(1998년) 45
<표 13> 자녀가 굶주려 결석했던 경우 46
<표 14> 북한 밭면적의 경사도별 면적 분포 비율 63
<표 15> 주민성분 조사사업 67
<표 16> 성분 분류 및 대우 69
<표 17> 북한의 경제제도 중 폐지되어야 할 것 132

■■그림 차례 ■■

<그림 1> 조사대상자 가족 구성원 중 사망자 비율 32

본문내용

부에게 간절히 요청하는 바이다.
좋은벗들 인용 자료
권혁(1999), 「고난의 강행군」, 좋은벗들 편, 정토출판
좋은벗들(1998), ‘꽃제비 어린이 지원 현황 분석 - 중국내 북한 꽃제비 482명의 면담 조사’, 미간행자료
-------(1999), 「사람답게 살고싶소」, 정토출판
-------(2000), 「북한사람들이 말하는 북한이야기」, 정토출판
-------(2001), 「북한사회 무엇이 변하고 있는가?」, 정토출판
-------(2003), ‘2000년도 278건의 인권관련 증언모음집1, 2’, 미간행자료
참고문헌
단행본
강철환 & 안혁(1993), 「대왕의 제전」, 향실
권태진(2003), “국제사회의 대북 농업지원 전망”. 「KREI 북한농업동향」, 제4권 제4호
김완배(2002), “북한의 농정개혁”, 김성훈심의섭 편, 「사회주의와 북한의 농업」, 비과출판사
남성욱(2002), “북한 71 경제개선관리조치와 농업개혁”
-----(2002), “북한의 농업회복”, 김성훈심의섭 편, 「사회주의와 북한의 농업」, 비과출판사
미 해리티지재단(1992), 「오웰의 악몽, 북한의 인권」, 남북문제연구소
부경생외(2001), 「북한의 농업:실상과 발전방향」, 서울대출판부
(사)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2002), 「북한 어린이 건강실태 보고서」
서재진(1996), “북한의 지하경제”,「북한의 경제정책과 지하경제」, 인제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샐리그 해리슨(2003), 「코리안 엔드게임」, 이홍동 외 역, 삼인
(Selig S. Harrison, Korean Endgame : a strategy for reunification and U.S. disengage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신지호(2000), 「북한의 ‘개혁 개방’: 과거현황전망」, 한울 아카데미
아마티아 센(2001), 「자유로서의 발전」, 박우희 역, 세종연구소
(Amartya Kumar Sen, Development as freedom, New York: Knopf, 1999)
아시아감시위원회 외(1990), 「북한의 인권」, 송철복 외 역, 고려원
오일환정순원(1999), 「김정일 시대의 북한 정치 경제」, 을유문화사
임채완최영관(2001), “중국내 탈북자의 ‘난민적’ 상황과 그 대책: 연변자치주지역 조사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평화문제연구소
정세진(2000), 「‘계획’에서 시장으로: 북한체제변동의 정치경제」, 한울 아카데미
잭 도널리(2002), 「인권과 국제정치: 국제인권의 현실과 가능성 및 한계」, 박정원 역, 도서출판 오름
(Jack Donnelly, International Human Rights, Westview Press, 1998)
최성철 편(1995), 「북한인권의 이해」, 북한인권개선운동본부
최의철(2001), 「인권과 국제정치 그리고 북한인권」, 백산자료원
최진욱(2001), “북한 선군정치의 정치적 함의”, 「현대북한연구」 4권 2호
통일교육원(2000), 「북한이해」
통일연구원(2002), 「북한인권백서」
---------(2003), 「북한인권백서」
한국개발연구원(2003), 「KDI 북한경제리뷰」, 제5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0a), 「북한의 농업개발 전략과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
----------------(2000b), 「북한의 주요농업개발 현황과 협력방안」
한국인권재단(2001), 「한반도의 평화와 인권2」, 사람생각
UN, Statistical yearbook for Asia and Pacific, 2001
UNDP(2000), 「인권과 인간개발」, 한국 UNDP 대표부 역, 한국 UNDP 대표부, 2000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2000: human rights and human development)
북한 자료
북한 과학백과사전(1996), 「인구학 개론」, 북한 과학백과사전 종합출판사
북한(1999),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이행에 대한 조선 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정기보고서”
---(2000), “UN 인권이사회의 29개항 서면 질의응답”
---(2002),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이행에 대한 조선 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정기보고서”
언론매체 자료
연합뉴스, 2001년 7월 18일자, “다산(多産) 우대로 바뀐 북의 출산정책”
-------, 2003년 10월 24일자, “북한내 국군포로 1천186명 첫 공식확인
-------, 2003년 11월 3일자, “북한 99년 형법 개정”
-------, 2004년 1월 28일자, “일, 중의원 대북제재법안 가결”
-------, 2004년 1월 30일자, “일, 기업에 수출규정 제정 요청”
-------, 2004년 2월 6일자, “13차 장관급회담 성과와 과제”
NK조선, 2003년 5월 21일자, “북, 장마당서 누구나 장사해도 좋다”
------, 2002년 8월 27일자, “‘뙈기밭’에도 토지사용료 부과”
한겨레신문, 2003년 12월 23일자, “국무회의, 추가파병안 확정”
---------, 2003년 12월 31일자, “김대중, ‘북 먼저 핵포기 선언해야’”
한겨레21, 2002년 4월 18일자, “탈북딜레마 생존드라마!”
인터넷 자료
김병로(1999), “중국 내 탈북자 처리 대책”, www.iloveminority.com
“남북한 교통망연결을 위한 기초조사: 육상교통 중심으로”,
www.koti.re.kr/project/PubReports.nsf/A16BBD84FCB260BA49256C9100036E89/$file/basic2000-08.pdf
서재진, 김수암(2002), 「2002년 미국의 북한인권 문제관련 동향 분석」, 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2000년 남북관계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www.unikorea.go.kr
-----, “대북지원업무 편람”
한호석, “‘선군혁명령도’와 ‘제 2의 천리마 대진군’” 1990년대 말 북(조선)정세인식의 초점“, www.onekorea.org/research/t26.html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54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