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지축정비지회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조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총괄요약본
Ⅱ. 설문조사결과
-작업관련평가
◎ 작업시간 및 형태에 관한 항목
◎ 결혼여부, 운동, 흡연, 음주량
◎ 주 작업의 위치
◎ 의자의 만족도
◎ 중량물 취급작업의 유무
◎ 공구의 사용
◎ 주관적 노동강도의 측정
◎ 부적절한 작업자세
◎ 신체부위별 불편도 및 통증의 측정
◎ 각 기준에 따른 유병율 분석
◎ 작업조건 및 운동여부와 근골격계 증상 유병자군과의 관계
-직무스트레스
◎ 스트레스 관련 증상 조사 결과
◎ 관련된 요인 분석
Ⅲ. 증상자에 대한 현장 상담 및 병원 진료 결과
Ⅳ. 공정별 유해요인 조사 및 개선방향
◎ 유해요인 평가도구
◎ 작업유형별 유해요인
◎ 평가 및 개선방향의 정리
Ⅳ. 근골격계의 의학적 관리

첨부자료
1. 지축정비지회 근골격계 사업보고
2. 공정별 유해요인 평가 (개별)
3. 신체부위별 흔한 근골격계질환 및 작업요인
4. 설문지

본문내용

한 진단 결과는 현장 진단에서 보인 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나 통증이 높게 나타난 부위가 심해지는 경우에 진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 3-4 . 병원 내원 진료 결과 - 진단명(중복응답 허용)
진단명
요부염좌
추간판탈출증
근막통
증후군
반월상
연골손상
어깨
건염
손목
건염
팔꿈치
상과염
경추
추간판
탈출증

빈도(명)
17
8
7
5
2
1
1
41
산재 요양 신청자 31명의 평균 나이는 34.8세(±2.4)로 현장 의학적 상담자 138의 연령과 차이가 없었다. 30명에 대해 부서별로 분포를 보았을 때, 대차부서가 18명(18.0%)로 제일 많았으며, 차체 5명(14.5%), 제동 6.1%, 입출창 5.9%, 부품 4.0%, 회전기 3.0%로 나타나 대차와 차체에서 증상이 심한 경우가 많았으며 전체 작업자의 7.6%가 한 시점에서 산재 요양이 필요할 정도가 근골격계질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5 . 부서별 증상 유병자의 분포
부서
대차
차체
회전기
부품
제동
정비
장비
기계
입출창

부서인원
100
69
67
75
33
21
13
14
17
409
병원 진료
(증상유병률%)
18
(18.0)
5
(14.5)
2
(3.0)
3
(4.0)
2
(6.1)
0
(0.0)
0
(0.0)
0
(0.0)
1
(5.9)
31
(7.6)
Ⅳ. 공정별 유해요인 조사 및 개선방향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관련한 현장의 직업적 유해요인의 종류 및 위험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유해요인조사가 진행되었다. 현장평가는 2003년 12월 예비조사를 시작으로 2003년 12월 29일과 2004년 1월 8일등 총 2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산재신청을 한 31개 공정의 작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1. 유해요인 평가도구
유해요인의 평가에는 현재 인간공학 및 관련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평가기법을 작업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기준 중 중량물 취급과 관련하여서는 미국 국립안전보건연구원의 들기작업평가지수(NIOSH Lifting Guide)를 기준으로 평가를 하였고, 자세와 관련되어서는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손부위 반복작업과 관련된 평가에서는 JSI(Job Strain Index)를 사용하여 평가를 하였으며, 그 외 인간공학적인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 NIOSH Lifting Guide : 들기작업에 대한 권장무게한계를 쉽게 산출하도록 하여 작업의 위험성을 예측하여 인간공학적인 작업방법의 개선을 통해 작업자의 직업성 요통을 사전에 예방함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NIOSH Lifting Guide는 특정 작업에서의 권장무게한계를 제시하므로, 작업장에서 권장무게한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작업위치를 바꾸거나, 작업 빈도를 줄여주거나, 손잡이를 개선하는 등의 작업 설계의 변화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인간공학적 작업설계를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분석결과 안전들기지수(LI: Lifting Index)가 1 이상의 값이 나오면 요통발생의 위험이 높은 작업으로 분류되며 1이하인 경우 요통발새의 위험이 적은 작업으로 분류되어진다.
- RULA 점검표 : RULA 점검표는 현재 작업장이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되었는지에 대한 분석과 작업의 위험성과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주로 정형적이며 상체를 주로 사용하며 이루어지는 작업을 평가하는데 사용한 평가방법이다. 최종 분석된 RULA 점검표의 작업환경 평가 단계는 총 7단계로 나누어지며, 1-2단계는 적절한 작업환경임을 의미하고 3,4단계는 지금은 괜찮지만 앞으로 조사 및 분석의 대상 환경이라는 의미이며 5,6단계는 작업환경 개선단계로서 빠른 시일 안에 작업 환경이 개선 및 조사, 분석 되어져야 한다는 평가결과를 의미한다. 그리고 마지막 7단계는 즉시 작업환경이 개선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REBA 점검표 :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점검표는 현재 작업장이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되었는지에 대한 분석과 작업의 위험성과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REBA 점검표의 경우 불편한 작업자세의 위해 요인을 측정하며, 팔, 어깨 및 허리, 다리 등의 신체의 전체부위를 모두 사용하는 작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RULA평가표를 개선하여 개발된 것이다. 주로 비 정형적인 형태의 작업을 평가하는데 사용한다. REBA점검표의 평가결과는 작업내용에 따라 평가된 총점에 따라 총 5단계로 구분되며 1단계는 작업환경의 위험요소가 낮은 작업임을 의미하고, 2단계는 보통의 작업환경, 그리고 4-5단계는 작업환경의 위험요인이 높거나 매우 높은 개선단계로서 곧, 그리고 즉시 작업조건과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4-1] REBA 점수별 조치 단계
조치단계
REBA 점수
위험단계
조치(추가 정보조사 포함)
0
1
2
3
4
1
2~3
4~7
8~10
11~15
무시해도 좋음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
필요 없음
필요할 지도 모름
필요함
곧 필요함
지금 즉시 필요함
- JSI(Job Strain Index)는 손과 손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등에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평가 도구이며, 6개의 요소(근육사용정도, 사용기간, 빈도, 자세, 작업속도, 하루작업시간)를 곱한 값으로 표현이 된다.
6개의 요소를 곱한 결과 값에 대한 해석은 아래와 같다.
* JSI <= 3 : 안전한 작업
* JSI > 5 : 상체부위의 근골격계질환에 노출된 작업으로 평가 (정밀조사 요구)
* JSI >= 7 : 상체부위의 근골격계질환의 발병가능성이 매우 높은 위험한 작업으로 평가 (신속한 조치가 요구됨)
서울지하철 지축차량기지의 현장의 공정중에서 산재신청을 희망한 작업자들의 공정 31개에 대하여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에 대한 공정별 유해요인 및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이 [표4-2]에 정리되어있다. 작업내용이 동일한 유사공정은 함께 묶어서 정리하였다. 보다 자세한 개별 공정에 대한 작업평가내용은 개별 유해요인평가결과를 참고하기 바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05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