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의 특성, 미디어교육의 중요성, 영국 미디어교육의 특징, 영국 미디어교육의 배경, 영국 미디어교육의 경향, 영국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 영국 미디어교육의 모국어교육, 영국 미디어교육 관련 제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디어교육의 특성, 미디어교육의 중요성, 영국 미디어교육의 특징, 영국 미디어교육의 배경, 영국 미디어교육의 경향, 영국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 영국 미디어교육의 모국어교육, 영국 미디어교육 관련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미디어교육의 특성

Ⅲ. 미디어교육의 중요성

Ⅳ. 영국 미디어교육의 특징

Ⅴ. 영국 미디어교육의 배경

Ⅵ. 영국 미디어교육의 경향
1. 웨일즈
1) 웨일즈의 포위스(Powys) 프로젝트
2) 웨일즈의 클리위드(Clwyd)
2. 잉글랜드
3. 스코틀랜드

Ⅶ. 영국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
1. 영국 영화 위원회(British Film Institute: BFI)
1) 설립 및 조직
2) BFI와 미디어 교육
2. 영화 교육(Film Education)
1) 운영 및 역할
2)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교재
3) 교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Ⅷ. 영국 미디어교육의 모국어교육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갖는다.
Ⅷ. 영국 미디어교육의 모국어교육
영국의 미디어 교육은 모국어로서의 영어교육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발전해 왔다. 새로운 의미의 문해력(literacy)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모국어교육에 적극 끌어들이며 변화를 이끌어 온 영국 미디어 교육의 역사는, 1975년 런던 지방교육청 산하에 영어교사들을 위한 교재개발과 교사연수 기관으로 설립되었던 \'영어센터(English Centre)\'가 1990년 \'영어미디어센터(English and Media Centre)\'로 이름을 바꾼 데에서도 엿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학교교사들 중 미디어 교육에 가장 관심이 많은 그룹은 국어교사들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커뮤니케이션의 매체가 발달하고 있는 사회 현실 속에서 언어교육이 대상으로 하는 문해력(literacy) 자체가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포함한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로 새롭게 규정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무시하기 어려운, 과목 자체의 속성과 결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미디어센터에서는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정한 비전을 갖게 된 교사들이 여러 실험적 수업을 하면서 쌓은 노하우와 고민을 다른 교사들과 나누는 강의와 워크숍 형식의 연수를 실시해왔다.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교육 교재 개발 과정 또한 현장 교사들이 그간 각자 자기 수업에서 개발해 온 교재들과 교육방법들을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성과를 축적하는 과정과 맞물려 있는데, 이 과정에는 대학의 미디어 연구자들과 영어 미디어센터 연구진들이 함께 참여한다. 최근 영어미디어센터는 런던대학교 버벡대학(Birbeck College)과 공동으로 미디어 교육 디플로마 과정을 평생교육 과정으로 개설하기도 했는데, 이는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London University Institute of Education)의 미디어 교육 석사과정과 학점 연계가 되어 있다.
영국의 모국어교육 속에 미디어 교육이 제도적으로 안착되게 된 계기는 1975년에 출간된 영어교육에 대한 영국정부 보고서인 <불록 보고서(Bullock Report)>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보고서는 미디어 교육을 적극 도입해 온 영어교사들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영화 및 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수준 높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모국어교육 안에 적극 도입할 것을 권고함으로써 미디어 교육이 영어교육 내에 공식적으로 도입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편 BFI에서는 미디어의 소통 주체(media agencies), 범주 혹은 장르(categories), 테크놀로지(technologies), 언어(languages), 수용자(audiences), 재현(representations) 등 여섯 가지 주요 개념 학습을 중심으로 한 초등과정과 중등과정의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을 각각 1989년과 1991년에 출간했는데, 이는 획일적인 국정교육과정으로서 집필된 것이 아니라 미디어 교육에 대한 BFI의 입장이 담긴 연구 성과에 기인한 것이다. 최근에 BFI에서는 영상미디어 교육에 관한 두 가지 주요 연구물을 발간했는데, <영화,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Making Movies Matter)>(1999)의 경우 영화제작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실현 방안을 제시한 성과물이고, <학교에서의 영상 이미지 교육(Moving Images in the Classroom)>(2000)은 학교 교육 전반에 영화와 텔레비전을 활용한 교육을 권장한 교사용 가이드북으로, 역시 획일화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BFI 및 미디어 교육 관련 기관의 오랜 연구 성과를 반영한 것이다.
1988년 이후 처음으로 도입된 영국의 국정교육과정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위치를 영어교육 내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일단락을 지어 놓았다. 그 내용은 초등, 중등과정의 모국어교육을 받는 모든 연령대의 학생들은 단지 책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 만화, 영화, 텔레비전, 인터넷, 씨디롬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언어와 문학을 배워야 하며, 또 미디어 자체의 소통 방식에 대해서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통 만 16세에 치르게 되어 있는 중등교육과정 자격시험(GCSE: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영어과목에 미디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OCR이라는 시험 주관 기관(examination board)은 2년 동안 (1) 읽기/쓰기, 그리고 (2) 말하기/듣기의 두 영역에서 각 하나씩, 모두 두 개의 코스웍을 제출하도록 하는 한편(각 20% 반영), 모두 4개의 시험 문제 중 2개를 선택해 치르는 것으로 영어과목을 평가하는데(한 문제당 30% 반영), 이 4개의 시험 문제 중에는 비허구적 텍스트(non-fictional texts) 혹은 미디어 텍스트를 읽고 답하는 문제가 2개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영어 과목 시험 중 미디어의 비중이 최소 30%인 셈이다.
Ⅸ. 결론 및 제언
영국의 경우 학교에서는 자국어를 중심하여 범교과적으로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학교에서의 공식 교육(formal education) 뿐 아니라 비공식 학습(informal learning)에 대한 관심이 체계적으로 증대함에 따라, 그리고 유럽연합 전체적으로 청년실업타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비공식 교육 기관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문화산업에서의 직업 창출과 연관짓는 노력이 점차 비중을 더해가고 있다.
참고문헌
스가야 아키코, 안해룡·안미라 옮김(2001) / 미디어 리터러시 : 미국·영국·캐나다의 새로운 미디어 교육 현장 보고, 커뮤니케이션북스
영국의 방송 프로그램 시장(2001) / 영국 미디어 컨설팅기관, 커뮤니케이션북스
은혜정(2000) / 영국의 미디어 교육, 세계 미디어 교육 모델, 한국언론재단
정현선(2004) / 이론과 실천의 만남 : 영국의 미디어교육
정현선(2003) / 영국의 사례를 통해 본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의 다양한 스펙트럼과 그 실천적 함의,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2003) / 한국 및 세계 미디어교육 현황보고서,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