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 활용문제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제고찰의 동기 및 목적

2.중국고전문론의 현대적 활용이 부진한 이유

1)현대문학계의 중국고전문학이론에 대한 유리

2)중국고전문학이론종사자의 현대문학현상에 대한 유리

3.중국고전문론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전제조건

1)고전문학이론자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파악

2)현대적 해석을 위한 문론어휘의 정립

4. 가능한 활용방안의 제시 및 활용의 의의와 목적

【참고자료】

본문내용

국고전문학이론 가운데 문학현상을 이해하고 향유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쉬운 내용의 개설서를 저작하여 문학이론학습의 교본으로 활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개설서는 어느 한 방향의 서술만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古今東西를 초월하는 문학현상의 보편적인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고전문학이나 현대문학을 아우르는 문학본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의 저작도 가능할 것이며,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특수성에 중점을 두어 중국고전문학이론의 독특한 미학범주나 문학관점등을 소개함으로써 중국고전문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현대문학이론계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거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부분들을 선명하게 해주는 내용의 저작도 가능하리라 본다. 이러한 개설서의 탄생이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학술적인 전문분야로 주변화됨으로써 오늘날의 문학현상의 이해와 향유에 도움을 주는 이론들에서 유리 되어있던 중국고전문학이론이 그 가운데 가치 있는 개념이나 범주 이론내용 및 사유방식등을 중심으로 오늘날의 문학현상의 이해와 향유에 일조를 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이론개설서와 실제비평활동이 겸비된다면 보다 설득력 있게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활용가능성이 검증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학자들의 경우 많지는 않지만 이러한 시도를 하는 이들이 있다. 주로 비교문학연구에 종사하거나 서구에서 연구를 한 경험이 있는 연구자들 중에서 많이 행해지고 있는 편이다. 예를 들자면 黃維樑은 《中國古典文論新探》이라는 책에서 중국고전문론의 현대적 활용의 가능성을 고전문론자체의 내용에서 분석해내고 이를 현대중국문학작품을 분석하는데 직접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이렇게 구체적으로 작품을 분석한 경우를 보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활용의 방식은 얼마든지 가능하리라 본다.
현대는 국제화시대라고 말해지고 있으며 모든 것이 다원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문학연구나 문학이론의 정립에 있어서도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고전문학이론의 연구의의나 연구성과의 활용목적도 한국고전문학이론연구에 일조를 할 수 있다거나 중국고전문학이해에 도움이 된다거나 정도로 소극적으로 설정할 것이 아니라, 외국인으로서 그러면서도 같은 동양권에 속하여 중국문화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유리한 입장을 십분 활용하여 단시간내에 무언가를 이루려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문론의 정립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활용목적을 설정해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서구문론의 사조가 오늘날의 문예사조를 거의 잠식하고 있으므로 중국고전문론을 현대한국의 창작과 비평에 활용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모든 새로운 시도는 늘 열악한(?)상황에서 새로운 변화(新變)를 연출함으로써 시도되었던 것이고, 이것이 결국은 시대의 흐름에 수정을 가하거나 전적인 변화를 유도해왔음을 중국문학비평사도 보여주고 있듯이 중국고전문학이론이 현대 한국의 창작 및 비평계에서 보편적인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작업을 작은 부분에서부터 모색해가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노력은 단지 중국고전문론에도 쓸만한 요소가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목적이기보다는 중국고전문론 속에서 현대문학이론계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거나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한 부분들을 선명하게 해줄 수 있는 것들이 있다면 이를 찾아내어 현대에 맞게 개조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자는 데 진정한 의도가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중국고전문학이론연구의 현대적 활용이 갖는 궁극적인 목적 및 의미는 오늘날의 문학현상의 이해 및 향유에 일조를 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 활용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에서 본고의 주제를 사고하기 시작했으나 가능하다라는 전제로 본고의 내용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필자가 앞에서 언급했던 바대로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인 활용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우선적으로 해결 되야 할 문제들이 쌓여있고 필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전제조건에서 보았듯이 문제의 해결은 어느 한사람이나 소수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데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인 활용의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다시금 절감하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 활용이 가능하다라는 전제로 진행한 본고의 의도에 대부분의 중국고전문학이론연구자들이 공감할 것인가도 의문이고, 필자가 제시한 활용을 위한 선결조건이나 활용방안들의 대부분이 중국고전문학이론연구자들의 공동의 노력을 통해서만이 가능한 것인데 이러한 노력의 필요에 공감대가 가능할 지도 의문이다. 필자가 아직은 시기상조일지도 모른다는 불안에도 불구하고 본고의 주제를 공론화한 것은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인 활용이 오늘날 한국의 중국문학연구상황 및 문학현실에서 과연 가능하며 가치가 있는가를 타진해보는 데 있다. 그리고 이것이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 활용문제에 구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첫 단계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해서이다. 본고의 주제와 관련된 필자의 관점 및 의견제시의 방향에 대한 많은 비판과 수정을 진심으로 바란다.
【참고자료】
1. 1997년 11월 중국계림에서 개최된 제10차 中國古代文學理論國際學術硏討會에서 ‘중국고전문학이론의 현대적 전환’이라는 전체주제에 관련되어 발표된 논문 및 토론된 내용
2.이우정, <한국에서의 중국고전문학이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 《중국학보》 38집, 1998.6
3.원종례, <한국적 중국문학이론과 비평의 연구와 교육을 위한 제안>, ‘한국적 중국어문학연구의 위상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연세대학교에서 개최된 한국중국어문학연합 학술대회 발표논문
4.張海明, 《回顧與 反思》,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7.5
5.黃維樑, 《中國古典文論新探》, 北京大學出版社, 1996.11
6.劉若愚著 杜國淸譯, 《中國文學理論》, 聯經出版事業公司, 1985.8
7.T.S.엘리어트, 《문예비평론》, 汎湖社, 1985.11
8.曹順慶, 《中外比較文論史》, 山東敎育出版社, 1998.4
이 외 평소에 읽었던 한신출판사의 《현대비평과 이론》등의 국내비평관계전문잡지 및 서구문예미학사 및 문예이론사를 다룬 일련의 서적들 그리고 중국의 현대문론에 관련된 서적들 및 한국문학사류의 서적들이 본 주제를 고찰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5.16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