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강암 그것이 알고싶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에서 생성된 CO2가 물에 용해되어 생성된다.
CO2 + H2O → H2CO3 (Carbonic acid)
H2CO3 → H+ + HCO3- (Bicarbonate)
토양에 이러한 산이 가해질 때 H+ 이온의 일부는 Ca, Mg, K 또는 Na와 교환되어 토양교질 입자에 흡착되고 교환된 Ca, Mg, K등이 용탈을 통해 제거되며 이러한 염기의 용탈이 계속되면 H+ 이온의 흡착은 더욱 촉진되고 토양은 점차 산성화된다. 우리 나라 토양을 형성하는 암석은 주로 Ca, Mg, K 등의 함량이 낮은 화강암이며 비교적 강우량이 많은 기후 조건이므로 용탈 또한 심하여 자연히 우리 나라 토양은 비교적 산성을 띠게되는 것이다
(지하수)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지하수를 개발하려면 가급적 화강암지대에서는 지하수개발을 피해야 하며, 화강암 지대에서 지하수를 개발할 경우 가급적 지하수심을 낮게 개발하여야 한다.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하수 개발시 지하 암석 및 지하 수심 등을 고려하지 않고 수량 확보에만 주안점을 두고 개발하다 보니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재개발을 하여야 하는 등 시간 및 예산 낭비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검출되고 있는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여러 가지 항목들 중 불소가 많이 검출되고 있는 지역에 대하여 2002년도와 2004년도 2년간 불소와 지하암석과 상관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수층의 깊이가 불소농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 결과 도내에서 지하수질에서 불소농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고 있는 지역의 불소농도와 지하암석과의 관계성을 평가한 결과 화강암 지역에서 불소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단층대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지질대와 불소농도와의 관계성을 검토해 본 결과 화강암 암질의 단층대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에서도 불소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미루어 단층대의 심부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는 불소가 용출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심부의 지하수(통상 지하 300m 이상 깊이)가 아니더라도 천부 지하수에서도 불소농도가 먹는물 수질기준농도 이상의 고불소가 검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화강암의 심부 지하수가 천부의 지하수로 유입되어 불소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하수 개발시 화강암지대에서는 가급적 지하수개발을 억제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지하수를 개발할 경우에는 가급적 지하수심을 낮게 개발하여 불소농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에 초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8)참고문헌
홍승천외, 1982, 한국지질도, 1995; 대한지질학회, 1999; 이병주외, 1999
권혁재, [지형학] 제4판, 법문사, 2005.
류장발외, [농업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1997
정상원, 정상용, 서울시 북동부의 서울화강암에 대한 불연속면의 특성, 2002
이종운, 전효택, 전용원, 국내 화강암질암내 심부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1997
보건환경연구원, 화강암지대 지하수개발 자제해야... , 도정신문, 2004

키워드

화강암,   풍화,   토양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16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