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갈등으로서의 문화간 갈등) 도덕적 갈등의 특징과 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도덕적 갈등으로서의 문화간 갈등

Ⅰ. 도덕적 갈등의 특징

1. 지속적이다
2. 속된 표현을 사용한다
3. 설득이 무용지물이 된다
4. 일정한 패턴이 형성, 유지된다

Ⅱ. 도덕적 갈등 관리

1. 다양성과 개방성
2. 초점을 바꾼다
3. 비교 기준의 창안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도 있
다는 열린 마음을 갖고 자신과 상반된 정의의 개념도 존중해야 한다
는 원칙 하에 진지하게 토론과 협상에 임했다면 어느 정도 이해의
폭을 넓혀 양쪽이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 사례 -
도덕적 갈등으로서의 문화간 갈등
미국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한국인 선희는 최근에 문화 충격(culture
shock)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에 그녀는 같은 학교에 다니는 미국인 친구
존과 열띤 논쟁을 벌여 왔다. 선희는 미국인들의 생활과 행동이 매우 비도
덕적으로 여겨졌다. 반면에 매사에 문제를 제기하는 선희가 존에게는 불평
불만이 많고 부정적인 사람으로 여겨했으며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고 즐기
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부족함이 못마땅했다. 다음은 이러한 성격의 문제를
담고 있는 선희와 존의 대화이다. 이 대화에서 존의 아버지가 이혼한 두번
베 아내와 다시 만나고 있으며, 또한 국제 결혼 상담소를 통해 필리핀 여자
중에서 새 부인을 찾고 있다는 말에 선희는 흥분하며 도덕관이 없다고 비난
했다. 이 말에 존은 자신도 물론 아버지의 행동이 맘에 드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의견을 존중한다고 하였다. 또한 아버지가 도덕관이 없는 건 아니고
도덕관이 다를 뿐이라고 하없다. 둘의 논쟁은 다음과 같이 계속되었다.
Sunny: If your father has a moralitv, It Is low and weak
John: No, it's a different morality. You shouldn't make an evaluative or qualitative judgement on this.
Sunny: 1 don't bed'eve you said that! You can't tell what's right or wrong because you are an American. Everyone 1 know says Americans are only interested in money and sex. Think there is too low morality in this country.
John: You really make me mad. You find a problem in even/thing. You are so neaative! Nothing seems good enough for you. Why can't you see other sides as well?
이 대화 후 선희는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고 비난만 하는 존에게 분노와
실망감을 느껴 아무 말도 않고 있다가 자리를 띤다.
이 대화에서 선희와 존은 상대방의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선희는 존의 아버지의 행동을 비난하고 존은 선희의 행동을 비난했
다. 둘 다 모두 표면적인 문제에만 신경을 쓰고 있으며 근본적인 도
덕관의 차이는 간과하고 있다. 각각의 행동의 근저를 이루는 도덕관
을 비교할 수 있는 틀은 가치관과 정체성의 차이이다. 선희가 존의
아버지의 행동에 분개하는 것은 한국의 '전통적인 도덕관(traditional
morality)'(Maclnty re, 1984)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전통적
인 도덕관에서는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는 절대적인 법이 있으며 이
법을 위배할 수 없다. 이 법을 위배할 때는 사회적 제재가 가해진다.
이러한 전통적인 도벽관은 집단을 중시하는 집단 정체성을 지닌 문
화의 토대이지만,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개인 정체성을 지닌 문화
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요시되지 않는다. 선희의 도덕관에서 보면 존
아버지의 행동은 사회적으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비난을
받아도 마땅한 것이다. 또한 관계를 중시하는 집단 정체성에 토대를
둔 선희에게 자신의 편을 조금도 들지 않으며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
을 이해도 못하는 존이 매우 냉정해 보여 서운한 감정이 들었다.
반면 존이 선희의 행동을 비난하면서 아버지의 행동은 이해하려고
하는 것은 '실용적인 도덕관(untlitahan morality)'(Madntyre, 1984)이
라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실용적인 도덕관은 개인의 자유와 선
택을 최대한으로 존중하는 개인 정체성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
서 존은 아버지의 행동에 대한 자신의 판단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아버지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다. 적어도 그의 의견에 강하게
반대함으로써 그의 자유를 침해하거나 박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
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아울러 선희의 기분이나 그녀와의 관계에 상
관치 않고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것도 그의 개인적 자유를 중요시
하는 개인 정체성에서 보면 공감할 수 있다.
선희와 존이 상대방의 관점을 좀더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했다면
이들의 대화의 양상은 달라질 수 있었을 것이며 이들의 갈등도 심화
되지 않았을 것이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서 도덕적 갈등을 겪고
있을 때 우리는 흔히 우리가 이러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또한 갈등의 원인이 근본적으로 다른,
그러나 똑같이 가치 있는 도덕관 때문이라는 사실을 간과한다. 그러
한 사실을 인식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것과 매우 상이한 또는 상반된
도덕관을 수용하기는 매우 힘들다. 우리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자신의
도덕 기준을 상대방에게 적용하고 강요하려 한다. 이럴 때 자기 방어
에만 급급하거나 일방적으로 자기 문화 중심(ethnocentric)적으로 상대
방을 공격하면 갈등 상황은 악화되며 더욱더 해결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덕관의 차이를 인식, 인정하고 상호 존중
의 철칙 하에 상호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비교 기준 잣대를 만들어
토론이 가능한 상황을 도출해 내야 한다.
*참고문헌
-최윤희 · 김숙현(1997),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서울: 범우사
-Rick, David(1993). Blunders in International business
-구로다 가쓰히로(1995). ‘한국의 세계화를 위한 기본 과제’
-Huntingson, Samuel(1996).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2000)
-최재석(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현음사.
-이현우(1997). ‘현대를 살아가기 위한 갈등 대응 전략’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5.1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