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종교 개념][종교 특징][종교 이론][종교 역할][종교 사회화][종교와 종교관][종교와 문화]종교의 개념, 종교의 특징, 종교의 이론, 종교의 역할, 종교의 사회화, 종교와 종교관, 종교와 문화, 종교 관련 제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종교 개념][종교 특징][종교 이론][종교 역할][종교 사회화][종교와 종교관][종교와 문화]종교의 개념, 종교의 특징, 종교의 이론, 종교의 역할, 종교의 사회화, 종교와 종교관, 종교와 문화, 종교 관련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종교의 개념

Ⅲ. 종교의 특징
1. 거룩한 것
2. 초자연적인 것
3. 계시
4. 종교의식
5. 구원관

Ⅳ. 종교의 이론

Ⅴ. 종교의 역할

Ⅵ. 종교의 사회화

Ⅶ. 종교와 종교관

Ⅷ. 종교와 문화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형태들의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면 문화와 관계하고 있는 것이며, 의식이 무조건적인 것이나 의미를 유입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면 종교를 갖는 것이 된다라 한다. 문화가 특수한 형태의 의미의 성취와 그들의 통합을 지향하는 모든 영적 행위의 總計라면 종교는 의미 통합의 성취를 통하여 무조건적인 의미(The Unconditioned Meaning)를 파악하려고 지향하는 모든 靈的 행위의 總計이다. 문화와 종교가 만나는 영역은 의미의 통합을 향한다는 공동 지향성에 있다.
문화와 종교는 둘 다 의미의 표현들인데 전자가 실존적 형식이나 내용을 통하는 것임에 반해 후자는 본질적 유입을 통하는 것이다. 어떠한 문화적 표현들도 비록 그들의 의도가 종교적이지는 아닐지라도 종교적 실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즉 문화 신학은 문화 속의 종교적 핵심을 발견하기 위한, 문화의 실체에 관한 체계적 분석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문화 인류학이 의미 체계의 분석에 주로 관심을 둔다면 신학이나 종교학은 의미의 擔持者로서의 象徵의 분석과 우리에게 드러나는 存在(Being)의 의미에 주로 관심을 두며 철학은 존재 자체의 구조에 주로 관심을 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P.Tillich의 견해는 Martin Heidegger가 이해 자체에 본유하고 있는 시간성이 언제나 과거 현재 미래에 의해 보고 있음 속에 있으며 이해는 인간이 실존적 생활세계 안에서의 그 자신의 존재 가능성을 파악할 힘이라고 말하면서 이해를 해석의 근거로 본 입장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M.Heidegger는 해석에 있어서 이해는 다른 무엇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해는 자기자신이 되는 것이며 그러한 해석은 실존론적으로 이해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이해가 해석을 통해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며 해석은 이해된 것을 납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해 속에 企投된 가능성을 완성하는 것이다라 한다. 따라서 이렇듯 조건적으로 드러나는 해석의 다양한 現狀性과 해석의 다양성을 가능하게 하는 무조건적인 것인 이해의 先在性으로 해석과 이해를 이분법적으로 설명한 입장은 존재의 의미와 존재 자체로 나누어 전개하는 논조와 같은 思惟의 Paradigm인데, 이는 의미 체계로서의 문화와 의미의 담지자로서의 무조건적 존재를 지향하는 종교로 나누어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 혹은 그것의 역사성이란 인간이 그 자신과 세계의 관계를 지각하면서 해석함인데 의미의 추궁을 통해 스스로를 드러낸다. 인간의 역사란 관계의 지각에 관한 인간의 해석이며 그것의 파악은 의미의 해석을 통해서이다. E.Cassirer(1874-1945)가 말했던 것처럼 역사는 이해된 관계(의미)이며, 역사가 의미의 체험적 범주에 의해 이해되고 해석될 수 있는 그러한 새로운 실제의 차원에 관한 인간의 해석을 본질로 하기 때문에 의미는 역사의 본질이다.
의미의 추궁 혹은 의미의 해석이라는 점에서 문화 혹은 역사성은 다양성과 상대성을 띠게 되는 것이며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이해의 선재성을 요청하면서 그것의 상대성으로부터 빚어질 수 있는 문화 갈등의 融和를 위한 상징체계를 요청한다.
Ⅸ. 결론 및 제언
종교학자들은 우리나라의 종교현실을 다종교상황이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상황은 다른 나라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종교 간의 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종교 간의 갈등이 아니고 종교 간의 공존이 가능하도록 서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종교 간의 공존이 가능해 지려면 우리는 무엇보다도 종교의 자유와 종교의 평등이 왜곡되지 않고 실현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보는 슬기를 지녀야 한다.
종교의 자유를 말 그대로 실현하려면 종교가 개개인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귀중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우리는 주변에서 종교의 자유 대신에 종교에 대한 박해가 자행되고 있는 경우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얼마 전에 친척집의 제사에 참석한 적이 있었다. 문제는 그 집의 작은 아들이 개신교 신자임을 이유로 절을 안 한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제사가 끝나자마자 집안 어른은 그 아들을 호되게 꾸짖었고 엄숙하고 즐거워야 할 분위기는 일순간에 깨지고 말았다. 또 얼마 전에 천주교 성당에서 행한 조촐한 결혼식에 참석을 한 적이 있었다. 천주교인이 아니면서도 축하를 해 주기 위해 참석한 대부분의 하례객들은 결혼미사가 시작되고 정확히 30초 뒤에 당당히 성당을 빠져나갔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이러한 상황이 어쩔 수 없는 것이거나 하찮은 것으로 여기고 마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예들과 대조가 되는 경우도 찾아 볼 수 있다. 필자의 장모는 독실한 천주교인인데 장모의 여동생 되시는 분은 일본의 신종교인 창가학회의 독실한 회원이다. 경우에 따라서 이들 자매는 종교에 대해 진지한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자매 사이의 우애는 주위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이와 같이 대조가 되는 상황을 보고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것은 다른 종교를 믿고 있는 사람을 별종으로 볼 것이 아니고 우리와 똑 같은 인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간 대접을 받을 권리가 있고 동시에 다른 사람을 인간으로 대접할 의무가 있다. 다른 사람을 인간으로 대접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사람에게 중요하고 고귀한 것이 적어도 그 사람에게는 중요하고 고귀하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렇게 되었을 때에만이 비로소 우리는 가족을 가족으로, 친척을 친척으로, 같은 동네 사람을 같은 동네 사람으로, 그리고 같은 민족을 같은 민족으로 여길 수 있는 바람직한 현실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홍권(1997),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 평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연구소
* 박경민(1998), (한 권으로 읽는)세계종교산책, 서울 : 아세아문화사
* 송경호 저, 종교 사상의 이해
* 심대섭(1993), 종교와 사회복지, 원광대학교 출판국
* 정진홍(1985), 종교문화의 만남, 신학사상
* 최정만, 비교 종교학개론, 도서출판 이레서원

키워드

종교,   종교관,   신앙,   종교문화,   믿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