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레우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아트레우스(Atreus) 왕가 ]

나의 생각

[ 오레스테이아(Oresteia) (3부작) ]

Author : 아이스킬로스(Aeschylos, BC 525-456)

생애와 작품활동

주요 등장인물

작품의 주요내용

[제 1 부 : 아가멤논]

[제 2 부 : 코에포로이(공양하는 여인들)]

[제 3 부 : 에우메니데스(자비로운 여신들)]

감상 및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클리타는 자신을 비난하는 장로들에게 기세등등하게 자신의 승리를 확언한다.
[제 2 부 : 코에포로이(공양하는 여인들)]
아가멤논의 딸인 엘렉트라와 아들인 오레스테스가 부친의 원수를 갚는다는 내용이다. 부친의 살해 당시 국외로 도피하여 성장한 오레스테스는 아폴론 신의 명령과 가호를 받아 귀국하여 부친의 무덤 앞에서 누이인 엘렉트라를 만나게 된다. 엘렉트라 역시 어머니 밑에서 굴욕적인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두 남매는 부친의 죽음을 애도하며, 그 죽음을 헛되게 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
한편 클리타는 양심의 가책으로 매일밤 무서운 악몽으로 시달리고 있었다. 그때 그녀에게 뜻하지 않은 오레스테스 사망소식이 전해진다. 그러나 그 소식을 전한 것은 나그네로 변장한 오레스테스 자신이었다. 그는 교묘한 책략으로 클리타의 정부인 아이기를 살해하자, 어머니는 그것을 알고 젖가슴을 드러내며 애원한다. 그러나 그녀 역시 죽고 만다. 오레스테스의 행위는 정당한 것이었으나, 생모 살해죄를 면할 길 없어 복수의 여신인 에리니에스에게 쫓기게 된다.
[제 3 부 : 에우메니데스(자비로운 여신들)]
복수의 여신들에게 쫓기는 오레스테스를 그리고 있다.
복수의 여신들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임무인 복수를 하기 위해서 어머니와 계부를 살해한 오레스테스를 쫓아다닌다. 비록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 것이 그의 의무였지만, 어머니를 죽인 것은 복수의 여신들의 눈에는 끔찍스런 죄였기 때문이다. 오레스테스는 아폴론신의 도움을 받아, 아테나 여신이 연 법정에서 무죄를 인정받는다. 아테나 여신은 분노한 복수의 여신들을 달래고 복수의 여신들이 앞으로 자비의 여신 으로 숭앙될 것이라는 약속을 하여 화해한다. 아테네 시의 번영을 축원하는 대합창 속에 3부작 비극의 마지막 편의 막이 내린다.
감상 및 문학사적 의의
이 드라마는 크고 웅장한 서사시적인 규모를 가진 오레스테스 이야기다.
아가멤논 에 나오는 파수병의 암시적인 대사로부터 작품 전체를 뒤덮는 어두운 그림자는 최후까지 계속되고, 합창대의 막연한 근심, 신들의 힘, 인간의 덧없는 운명 등은 드라마를 깊은 우수로 휩싸고 있다. 아이스킬로스는 소포클레스처럼 구성에 긴밀하고 합리적인 드라마를 만들려고 하지는 않았다. 그는 견실한 구성보다는 분위기를 중시하고, 장대한 합창단의 노래로 전체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3부작을 통하여 색채의 배분 또한 효과적이다. 진홍색으로 색칠된 제1부와는 대조적으로, 제2부에서는 검은 상복의 여자들이 무리지어 등장하고, 이야기 또한 검은 핏빛으로 물들어져 있다. 그러나 극의 구성으로서 가장 흥미있는 것은 오레스테스가 태양신인 아폴론의 요구에 따라 어머니를 살해하고 그 결과 땅의 신들의 추적을 받아 쫓기는 장면이다.
제3부는 앞의 두 작품에 비해 환상적인 색채가 강하다. 신들과 인간의 구별이 흐릿해지고, 양자 모두 우주적인 정의와 자비의 세계에 병존하게 된다.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원령들의 모습은 처참하여 관객에게 공포감을 불러일으키게 할 정도였다고 한다. 원령들의 합창대에서 소용돌이치는 기묘하고 끈질긴 리듬은 오늘날에도 그 본문을 통해 충분히 알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이 작품은 극시적이라기보다는 서사시적이라 하여 별로 적극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 그의 비극시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 작품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행하여졌다. 그 대표적인 것이 클로델과 미로에 의한 음악시적인 재현, T. S. 엘리어트의 성당의 살인 과 일가족 재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그의 작품에 흐르고 있는 일관된 사상은 인간행동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죄 하는 관념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떠한 이유이든 비록 신이 내린 명령이라 하더라도 인간은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 신이 명령한 일을 실행하여 죄로 문책당하는 결과가 되면 그 인간은 두려운 딜레마에 빠진다. 이것이 시인이 만들어낸 비극적 상황이며, 최종적으로는 제우스의 정의에 의해 인간은 구제받고 신의 지혜를 배운다고 되어 있다. 그는 신들의 최후의 정의를 믿고, 인간의 정의가 언젠가는 신의 정의와 일치한다는 점을 비극에서 노래하였다.
그의 가장 진지한 희곡인 결박당한 프로메테우스 에서 아이스킬로스가 묘사한 프로메테우스는 신의 위협까지도 과감하게 물리칠 수 있는 독립심이 강하고 자존심이 센 반항적 인간의 모습이다. 그것은, 고귀하고 명예로운 행위는 항상 혹심한 대가를 지불해야 하며, 또 불굴의 정신에 의해서 그 진정한 가치가 인식될 수 있음을 암시한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2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