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문학토의][문학교사][문학교육의 내실화 방향]문학교육의 지향점, 문학교육의 연구, 문학교육의 평가, 문학교육과 문학토의, 문학교육과 문학교사, 문학교육의 문제점, 문학교육의 내실화 방향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교육][문학토의][문학교사][문학교육의 내실화 방향]문학교육의 지향점, 문학교육의 연구, 문학교육의 평가, 문학교육과 문학토의, 문학교육과 문학교사, 문학교육의 문제점, 문학교육의 내실화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학교육의 지향점

Ⅲ. 문학교육의 연구

Ⅳ. 문학교육의 평가

Ⅴ. 문학교육과 문학토의

Ⅵ. 문학교육과 문학교사

Ⅶ. 문학교육의 문제점

Ⅷ. 향후 문학교육의 내실화 방향
1. 언어와 문자의 새로운 이해
2. 문학 개념의 새로운 설정
3. ‘문형학’의 문제설정
4. 한국어에 기반을 둔 문학교육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 가라타니 코진에 따르면 내면의 발견과 함께 문학적 세계의 열림이 가능해졌다. 여기서 오늘날 우리가 문학이라고 부르고 있는 현상은 역사적으로 출현한 특정한 형태이며, 문자로 쓰인 것과는 다른 가치부여가 이루어진 문자표현물임을 알 수 있다. ‘문학’의 영어표현은 리터러처(literature)이다. ‘문헌’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리터러처는 문학이기 이전에 ‘문자로 쓰인 것’이라는 의미가 더 먼저였는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대문자 문학\'(Literature)의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언어문화교육의 차원에서 생각할 때 이런 사실은 우리가 문학이라고 부르는 대상이 지금 이해되고 있는 것과는 다른, 어쩌면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음을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3. ‘문형학’의 문제설정
평소에 이런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문학을 문자학 혹은 문형학의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피력해오고 있다. 문자, 문형의 개념은 한자문화권의 전통에서 사용해온 ‘문’에 기반을 둔다. ‘문’의 한자인 ‘文’은 갑골문자에서는 가슴에 문신을 새긴 사람을 나타낸다고 한다. 여기서 우리는 이 ‘文’이 폭넓게 무늬, 꼴, 형태, 모양새, 생김새, 짜임새, 결, 구조 등과 연결될 수 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단어가 한자문화권에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천지인’(天地人)의 모습 혹은 이치 등을 가리키는 ‘천문’, ‘지문’, ‘인문’ 등으로 사용된 것은 이런 의미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은 ‘문’의 개념을 적극 활용할 경우 우리는 약 1세기가 조금 넘는 기간 동안 지배적 의미로 작동해온 근대문학의 개념과는 다른 새로운 문학 개념을 설정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런 재개념화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오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매체환경의 변화에 언어문화교육이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길을 터주는 것이 아닐까? 현재의 문학 개념은 순수문학, 문학예술 개념이며, 이에 따른 문학교육은 외국문학과, 한국문학과 가릴 것 없이 순수 문학예술 작품의 독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굳이 강조하지 않더라도 이런 교육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고 있지만, 나는 근대 민족문학의 틀로, 그리고 순수문학의 틀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은 아무리 중요하더라도 문학교육을 대변하거나 포괄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싶다.
4. 한국어에 기반을 둔 문학교육
문학교육을 한국어에 기반을 두고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지적의 정신과는 정면으로 배치하는 듯 들릴지 모르나 그렇지 않다. 대학에서 문학의 연구와 교육을 개별 민족문학으로 분할하여 외국어로 실시하는 것과 문학교육을 우리의 민족 언어로 실시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현재 문학교육의 상당 부분을 외국문학과가 차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서 한국에서 실시하는 문학교육이 외국어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은 문학교육의 부실화는 물론이고 자주적 문학교육의 길을 막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외국문학 중심의 대학 문학교육의 문제는 무엇인가? 첫째 문학교육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외국어 습득에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며, 이로 인해 대학의 교과과정을 이수한 이후에도 문학 일반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특히 일부 외국문학 학과들의 경우 최근 들어와서 인문학 학과의 성격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에 빠져서 사정이 더욱 나빠졌다. 민족문학교육과는 다른 방식의 문학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이 교육은 당연히 한국어에 기반을 두고 실시되어야 한다.
Ⅸ. 결론
문학교육은 文學現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일체의 의도적 과정 및 결과이다. 문학현상은 언어현상 혹은 言語文化의 독자적인 양태이다. 이는 언어활동을 하는 가운데 기호론적인 실천을 수행하는 것인데, 작가와 독자가 언어적인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의미를 확인하고 조정하며 재정립하는 과정과 결과를 뜻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왕의 문학을 텍스트의 구조로 보던 방식에서 벗어나는 사고의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텍스트의 구조가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그 텍스트를 통해 수행되는 記號論的인 實踐이 문제로 떠올라야 한다. 이는 文學觀의 變化에 따른 문학교육의 방향이 조정된 면모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넓은 의미의 문화교육이라는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을 지향하는 것이 된다. 문학교육의 범위를 넓게 잡다 보면, 국어교육에서는 항용 언어일반의 논리에 따라 문학을 재단하려는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는 국어교육의 성격을 언어 사용능력의 신장이라는 협애한 목표로 한정함으로써 생겨나는 오해이다. 같은 언어라 할지라도 그것이 영역에 따라 운용되는 방식이 다르고 주도적인 언어 기능이 달라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言語學에서 문학을 해석하고 의미를 추구하는 示唆點을 얻을 수는 있다. 그러나 문학을 언어학의 한 영역으로 환원하려는 환원주의의 오류에서는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 문학을 문학답게 가르치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다. 문학은 言語文化의 한 양상이며 나름대로 內的인 法則性을 띤다는 점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문학에 대해 잘못된 인상주의적 오류를 언어학의 도움을 통해 밝히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文學의 獨自性은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 문학은 언어학에서 대상으로 하는 \'문장을 넘어\' 존재하는 記號論的인 實踐의 樣態라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수용되어야 한다. 이는 국어교육의 종합적인 성격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또한 그러한 전제를 수용하는 데서라야 문학을 사이에 두고 敎師와 學生이 對話關係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구인환 외(1988), 문학교육론, 삼지원
◈ 권낙원(1997), 토의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현대교육출판
◈ 심유미(2003), 문학 작품 토의시 교사의 질문 유형이 아동의 반응과 독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독서연구 9호, 한국독서학회
◈ 우한용(1995), 신비평이 한국 문학 연구에 미친 영향, 현대비평과 이론10호
◈ 윤호병(1994), 비교문학, 서울 : 민음사
◈ 한계전(1976), 문학교육과 수사학, 선청어문 제 7집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