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듀이][전통적교육][진보주의교육]존 듀이의 교육철학 배경, 존 듀이의 교육원리, 존 듀이의 민주주의사상, 존 듀이의 전통적교육과 진보주의교육, 존 듀이의 사회성이론, 존 듀이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 듀이][전통적교육][진보주의교육]존 듀이의 교육철학 배경, 존 듀이의 교육원리, 존 듀이의 민주주의사상, 존 듀이의 전통적교육과 진보주의교육, 존 듀이의 사회성이론, 존 듀이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존 듀이의 교육철학 배경

Ⅲ. 존 듀이의 교육원리

Ⅳ. 존 듀이의 민주주의사상

Ⅴ. 존 듀이의 전통적교육과 진보주의교육

Ⅵ. 존 듀이의 사회성이론

Ⅶ.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지 못하도록 정화된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즉 학교는 환경으로부터 나쁜 요소들을 제거하고 최선ㆍ최상의 것만을 선정하여 학교만의 전용물로 삼아 최선의 환경이 가진 힘을 강화함으로써 사회 환경의 개선에 기여한다. 셋째, 학교는 사회 환경의 여러 요소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각 개인으로 하여금 각자가 태어난 사회 집단의 제약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환경과 산 접촉을 가질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하여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에 대한 지식을 확대하고 그들과 공유하고 있는 목적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사회적 교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생활의 민주적인 개선에 참여한다.
요컨대, 듀이에게 있어 교육은 사회적 활동이며 학교는 사회적 기관이다. 다시 말하면 학교와 사회는 부단히 상호 작용하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학습은 학교 밖의 학습과 연속성을 가져야 한다. 이 양자의 학습 사이에는 자유로운 상호교류가 있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게 되려면 반드시 한 쪽의 사회적 관심과 다른 쪽의 사회적 관심 사이에 많은 접합점이 있어야 한다.”(Dewey, 1916a : 368)
교육이 사회와 고립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곳이 아니라,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통하여 영향을 주고받는 곳이라는 바로 이 명백한 믿음이 듀이로 하여금 한 평생을 통해 교육 또는 학교가 사회개혁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게 하는 논리적 근거로 작용하였다. 즉, 교육 또는 학교와 사회의 상호 작용 관계에 대한 듀이의 신념은 그가 교육 또는 학교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이라는 문제에 접근하는 대전제이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볼 때 듀이가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에 대한 신념을 포기했다는 주장은 교육과 사회의 상호 작용 관계에 대한 그의 신념을 포기했다는 주장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후기에 쓰여진 듀이의 어떠한 저술이나 글에서도 그가 이 대전제를 포기했다는 증거를 발견하기 어렵다.
Ⅶ. 결론 및 시사점
Dewey의 철학에 붙여진 이름은 실용주의, 도구주의, 실험주의, 경험적 자연주의, ‘삶의 철학’ ‘과학과 자유의 철학’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것은 ‘실용주의’라는 이름일 것이다. 대체로 보아 실용주의는 하나의 철학적 방법으로 처음 과학적, 경험주의적 의미론 또는 논리학으로 출발하였으나 James에 의하여 진리론, 도덕론으로 확장되고 다시 Dewey에 의해 탐구의 이론, 교육의 이론으로 심화되어 갔다.
Dewey의 철학은 한마디로 ‘삶의 철학’ ‘경험의 철학’이라 말할 수 있다. 그에 있어 삶은 곧 인간성의 본질이며 기본적 실재이다. 따라서 인간적인 일의 모든 측면은 삶과 관련되어야 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해야 하며 철학도 그것이 인간활동의 한 측면인 이상 예외일 수가 없다. 말하자면 “철학이든, 교육이든. 과학이든, 종교이든 삶이 인간의 활력과 행복의 원천임을 부정할 수 없으며 그에 봉사할 책임을 면제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삶의 문제와는 별개의 어떤 고정된, 초자연적, 초경험적 진리를 추구한다는 안일한 전통철학의 관념에서 벗어나 인간의 삶과 경험, 공동체 생활의 제반 문제를 과감하게 직면하고 그 해결 방향을 모색하는 철학으로 개조해야 하겠다는 적극적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소위 과학연하는(would- be science) 입장에서 잃은 것을 인간성의 관점에서 회복하자”는 것이다. 그에 있어 ‘애지(愛智)’의 ‘智’는 내세나 천상의 지식 또는 지혜가 아니라 현세의 삶을 위한 지혜라 하겠다. 또한 그를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철학적 문제는 이원론(dualism)이었는데, 그는 이원론을 전통사회의 계급적 산물로 보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삶과 앎, 몸과 마음, 경험과 이성 등 양자를 공히 활성화하고 풍요롭게 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전체로서의 문화적 발전을 성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의 자유와 평등, 참여를 강조하는 민주사회의 절박한 과제로 인식했다.
참고문헌
곽철규(1990) - John Dewey의 사회철학 : J. Dewey의 사회개혁론, 호서문화연구, 제9집, 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김태길(1978) - 존 듀이의 사회철학, 태양문화사
김재만(1980) - 듀이 철학, 배영사
엄태동(2001) - 듀이의 경험과 교육, 원미사
이주한(1998) - 듀이의 교육철학에서 사회개혁과 교사, 학생생활연구, 제22집, 춘천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최한수(2000) - 아동중심교육과 존듀이, 문음사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7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