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의 이론적 관점] 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학적 관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관점

Ⅰ. 기능이론적 관점

Ⅱ. 갈등이론적 관점

Ⅲ.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Ⅳ. 해석학적 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안정 지향' 대 ‘변화 지향’ 혹
은 '상호의존' 대 '상호대립' 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
구하고 두 이론은 또한 일정한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모두 학교교육을 사회구조와 지나치게 관련지
어 논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두 이론은 모두 인간을 외부의 자극, 특히 사회
의 요구나 필요에 따라 단순히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두 이론이 모두 거시적 접근을 택하여 교육이 현상유지 또는 현재의 체제
유지에 얼마나 공헌하며 기능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4)해석학적 관점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이론은 사회체제와의 관계 속에서 학교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데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체제나 구조보다는 과정과 상호작용을 보다 강조하는 미시적 접근방법이
점점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1970년대 이후학교의 교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연구하는 규범적 패러다임보다는 학교에서의 교사-학생 간의 사회적 상
호작용론, 현상학, 민속방법론 등 사회학적 이론들이 중요시되었다. 교육과 사
회의 관계를 미시적 측면에서 해석하는 해석학적 관점에서는 교사와 일상생활,
행위자 자신의 상황 등에 대한 해석에 강조점을 둔다.
Wilson은 사회학을 크게 '규범적 패러다임'과 '해석적 패러다임'으로 구분
했다. 규범적 패러다임은 인간의 사회적 행위가 규칙에 따라 지배되고, 그러한
행위 패턴의 사회학적 설명이 자연과학적 모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다. 반면, 해석적 패러다임은 이런 전제들을 의심한다. 즉, 인간의 사회적 행위
란 일정하게 공유된 규칙에 따라서 일관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행동을 의미 있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면서 상호작용하는 해석적 과정이라는 것
이다.
해석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세상의 실체와 그 법칙은 인식 주체,즉 인간의 인
식 밖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부단히 구성하여 가는 것이
다. 사회과학에서 해석학은 인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해석과 의미
부여에 관심을 갖고, 상호작용을 하나의 해석적 과정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상
호작용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상세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해석적
기술이 강조된다. 이러한 해석학적 패러다임은 해석하는 학자들마다 분류하는
방식이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후설(E, Husserl)과 슈츠(A, Schutz)가 기초를 밖은
현상학적 해석학, 미드(Mead)와 블루머(Blumer)로 대표되는 상징적 상호작용
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자와 현상학자들의 관심사로부터 도출되어 나온 민속방
법론 등이 이에 해당한다.
먼저 현상학적 해석학은 베버(Weber)의 이해사회학과 후설(E, Husserl)의 철
학방법론을 병합하여 슈츠(A, Schutz)가 체계화한 이론으로,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과학적 실증주의적 접근이 아니라 의식의 과정, 즉 행위자
들의 주관적인 상태가 어떻게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생성되고 유지되며, 또한
변화되는가에 관한 것에 있다. 또한 교육에 대한 현상학적인 접근은 교육 참여
자들, 즉 교장, 교감, 교사, 학부모들이 교육경험을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
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한다.
둘째,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프래그머티즘의 사상을 배경으로 한 이론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적인 관점에서 학교교육은 교사와 학생의 관계, 즉 교수-학
습과정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규정될 수 없는 성질의 것이며, 그것이 이루어
지는 상황과 교사와 학생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다양한 관계가
끊임없이 진행되면서 관계가 형성, 발전되어 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회관계
는 상호작용 관계에 있는 쌍방이나 각각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상대방이 어떻
게 대옹할 것인가를 예견하고, 상호 용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황을 정의하며,
쌍방이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의 한계를 설명해 준다. 사회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
용 관계로 봄으로써 사회의 불변하는 구조적 측면을 중시하는 기능주의 이론과
는 달리, 사회의 과정적 측면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민속방법론은 1960년대 초 가핑클(Gafinkel)이 발전시킨 것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당면하게 되는 타인과의 관계를 규정짓는 기본원칙에 관
한 연구다. 현상학과 마찬가지로 민속방법론은 '저기 어딘가' 에 이미 존재하는
외재적인 실체를 부정한다. 이들에게 직접적으로 관찰 가능한 것은 하나의 공
통적인 사회적 실재에 대한 감각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노력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상호작용론, 민속방법론, 해석학, 현상학적 관점은 거시적
관점이 소홀히 다룬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사실들을 들여다봄으로써 우리가 흔
히 간과할 수 있는 구체적 현실을 관심의 표면으로 끌어올린 장점을 지니고 있
다. 그럼에도 해석학적 관점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해석학적 관점은 주관적 측면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다. 둘째, 해석학적 관점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은 추상적
이어서 그 뜻이 명확하지 않을 때가 많다. 셋째, 해석학적 관점은 주관적 측면
을 강조하는 것 같으면서도 정작 인간의 무의식, 감정 욕구, 동기, 포부 등의 심
리적 측면을 과소평가한다. 넷째, 너무 사소한 일상적 현상에 초점을 맞추다 보
니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를 간과할 우려가 있다. 다섯째, 해석적
교육관은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하지 않을 뿐더러
어떤 주장을 한다 해도 그 내용이 일관되거나 명확하지 않다. 여섯째, 교육의
미시적인 차원에 주된 관심을 두다 보니 해석적 교육관은 사회가 교육에 미치
는 영향력을 소홀히 다룬다.
* 참고문헌
- 김홍규, 원애경(2007). 상담심리학. 서울: 양서원
- 김범준, 구병두(2007). 교육학개론. 서울: 공동체
- 교육공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 변영계 외(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박숙희, 엄명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권성호(1998). 교육공학의 탐구. 서울: 양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