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 구조적, 경험적, 인지행동 가족치료 및 해결중심치료, 이야기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가족치료

Ⅰ. 구조적 가족치료

Ⅱ. 경험적 가족치료

Ⅲ. 인지행동 가족치료

Ⅳ. 해결중심치료

Ⅴ. 이야기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하고 사회사업으로 전공을 바꾸
었다. 그의 배경을 감안할 때, 그가 철두철미한 반기계론자이고 기계적 성격을
지닌 체계론적 사고와 사이버네틱스를 거부하였다는 것에는 놀라울 것이 전혀
없다. 그는 사람들이 어떻게 세계를 지도화하는가(how people map the world)
에 관심을 가졌다. 나아가서 그는 제도의 비인간화 양상을 비판하는 미셀 푸코
(Michel Foucault)의 영향을 받아서, 어떻게 문제가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그의 이론을 발달시켰다(Nichols & Schwartz, 2005, 249-250).
이야기치료는 존경심을 가지고 비난하지 않는 접근을 중요시하며, 사람들을
그들의 삶의 전문가로 간주한다. 이 치료는 문제와 사람을 분리시켜 보며 사람
들은 문제와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기술-능력, 신념, 가
치, 헌신-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한다. 이야기치료는 때로 '다시 쓰는(re-
authoring)' 혹은 '다시-이야기하는(re-storying)' 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이와 같이 이야기는 이야기치료에서 매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야기치료자는 이야기를 '지배적 이야기'와 '대안적 이야기'의 측면에
서 본다. 예를 들어, 나는 스스로에게 '훌륭한 운전사'라는 이야기를 쓸 수 있
다. 내가 운전을 잘 했던 경우가 많고 일부 잘 못했던 경우도 있겠지만, 나의 이
야기에서는 잘 했던 경우만 선별되고 이들이 우세해지는 것이다. 일단 우세해지
면, 이들 사건은 서로 연계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훌륭한 운전사라는 이야기
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배적 이야기는 현재 나에게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앞으로 행동이 가지는 의미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gms히 클라이언트들의 지배적
이야기는 문제로 가득 찬 이야기(problem-saturated story)이다. 이에 따라 이야
기치료자는 대안적 이야기를 추구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 대안적 이야기는 문
제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추구하게 하는 것이다.
이야기치료의 주요한 치료기법은 외재화(externalization)이다. 외재화는 새로
운 말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치료에서는 외재화를 기법이나 기술이
아니라 대화에서의 태도이며 오리엔테이션이라고 주장할 정도이다. 예를 들어,
"나는 우울증을 가진 사람이다. " 대신 치료자는 "우울증이 당신을 밖에 외출하
기 어렵게 하고 있다."와 같은 방식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우울증이라는 문제를
외재화하는 것이다.
다음은외재화 질문의 예들이다.
"무엇이 이 문제를 배불려 줍니까?'
"무엇이 이것을 배고프게 합니까?'
"누가 이것으로부터 이득을 얻습니까?'
"누가 이 문제를 정당화하거나 방어할까요?'
"누가 이 문제와 이것이 의도하는 바에 반대할까요?' (Freedman & Combs,
2002; Nichols & Schwartz, 2005: 257에서 재인용)
이야기치료의 단계는 (1) 외재화: 사람이 문제가 아니다, (2) 사람과 문제 중
누가 책임이 있는가, (3) 문제 이야기의 행간 읽기, (4) 전체 이야기 다시 쓰기,
(5) 새로운 이야기 강화하기, (6)파괴적 문화적 가설 해체하기의 순으로 진행된
다. 이야기 접근법의 강점이자 단점이 바로 인지에 대한 초점이다. 장점의 측면
에서, 이야기치료는 사이버네틱 모델-가족이 역기능적 순환고리에 고착되어
있다는-을 거부함으로써 문제를 가진 가족에게 무엇인가 잘못이 있다는 아이
디어를 거부하였다. 반면, 불행히도 이야기치료는 가족치료의 세 가지 주요 개
념-(1) 심리적 중상은 흔히 가족갈등에 관련된다는 것, (2) 인간 문제를 상호적
으로 사고하는 것, (3)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는 것-에까지도 등을 돌렸다.
마지막으로 이야기치료는 가족을 넘어서 가족이 자리한 문화적 가설(cultural
assumptions)에까지 관심을 넓혔다. 일부에서는 엄격한 치료적 중립성을 고수
하지만, 많은 치료자들이 불공평한 문화적 가설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의 입장이다.
* 참고문헌
- 이여봉(2006). 가족 안의 사회 사회안의 가족. 양서원
- 장혜경(2005). 가족정책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여성가족부
- 박태영(2001). 가족치료의 적용과 실천. 학지사
- 김유숙(2003).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 사이소림 엮음(1993). 이혼 또 하나의 선택. 여성사
- 이영분 외(2001). 사회복지실천론. 동인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