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교육][인권지도][인권]인권교육의 가치, 인권교육의 목표, 인권교육의 동향, 인권교육의 대상, 인권교육의 방법, 인권교육과 탈분단교육, 인권교육과 정규교육, 인권교육의 사례, 인권교육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권교육][인권지도][인권]인권교육의 가치, 인권교육의 목표, 인권교육의 동향, 인권교육의 대상, 인권교육의 방법, 인권교육과 탈분단교육, 인권교육과 정규교육, 인권교육의 사례, 인권교육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권교육의 가치

Ⅲ. 인권교육의 목표

Ⅳ. 인권교육의 동향

Ⅴ. 인권교육의 대상
1. 아동과 그들의 부모
2. 의사와 간호사, 변호사와 판사, 사회사업가, 언론인, 경찰 및 군대 책임자
3. 활동가와 민간단체
4. 선출 및 임명직 공무원
5. 유력 인사

Ⅵ. 인권교육의 방법

Ⅶ. 인권교육과 탈분단교육

Ⅷ. 인권교육과 정규교육
1. 독립된 교과
2. 기존 교과의 하위 분과
3. 전 과목에 공통 주제로서 통합

Ⅸ. 인권교육의 사례
1. 인권단체의 인권교육 :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사례
2. 억압받는 자와 함께 하는 인권교육 : 일본의 “Dowa Education”
1) 발단
2) 주요 목표와 성과

Ⅹ.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려 할 때는 특별한 고민이 필요하다.
* 논의의 배경
AI가 인권교육에 관심을 갖는 궁극적인 목적은 ‘인권침해의 종식’이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인권침해를 폭로하고 방지하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 인권의 충분한 보장은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가 무엇인지를 아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AI는 보다 예방적인 사업에 종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인권교육에 대한 관심은 93년 인권교육 전략문건을 연차총회에서 채택하는 것으로 고양되었고, 그 이후로 각 지부에서뿐 아니라 국제적 차원에서 다양한 인권교육 활동을 실천하게 되었다.
2. 억압받는 자와 함께 하는 인권교육 : 일본의 “Dowa Education”
‘Dowa’(同化)교육은 일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 인권교육 실천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동화교육은 일본 사회의 뿌리 깊은 ‘부락민에 대한 차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탄생하고 발전을 거듭해 왔다. 현재 일본의 부락(部落, Buraku)이라 불리는 지역에는 3백만에 이르는 가난한 사람들이 몰려 살고 있다. 부락민은 중세시대의 노예나 천민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부락출신 사람들에 대한 차별은 오랜 세월 일본 사회에서 구조화되어온 대표적 유형의 차별이다.
1) 발단
동화교육이 처음 주창된 것은 2차세계대전 중 군인들 사이에서 부락민에 대한 차별행위가 심해 효과적인 전쟁수행을 방해할 정도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부락민을 일본 주류사회에 통합시키기 위한 동화교육이 일본 군부에 의해 제안되었다.
하지만 사회통합을 위해 주창되던 동화교육은 이후의 저항과정을 통해 그 개념이 확대되기 시작한다. 부락해방운동(Buraku Liberation Movement)은 ‘해방교육’ 혹은 ‘이른바 동화교육’이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주류 동화교육에 저항하면서 동화교육에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이들은 부락민을 비롯한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진정한 의미에서의 동등한 기회를 보장할 수 있는 사회민주화의 전략으로서 ‘동화교육’을 해석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부락민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비판적 문해능력을 발달시키고 지역사회와 학교와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차별과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해방을 위한 능력(ability for liberation)”을 키우는 교육으로서 동화교육을 발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졌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오늘날의 동화교육은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하는 교육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부락해방운동은 교육과 더불어 시작하여 교육으로 끝난다”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부락해방운동과 동화교육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다.
2) 주요 목표와 성과
동화교육은 부락민과 부락 아이들에게는 교육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 그들의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을 고취시키는 것,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하는 것 등을 통해 부락민들의 잠재된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동시에 부락민이 아닌 일반 사람들과 아이들에게는 부락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도록 하고 상호간의 존중심을 개발함으로써 부락민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에 반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 하에 성인 부락민들을 대상으로 한 문자해득과 비판적 문해교육을 수행했다. 대부분의 부락민들이 학교에서의 차별과 가정과 지역사회의 빈곤 등으로 인해 교육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문맹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문자를 읽음으로써 세계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to read the world by reading the word)을 목표로 이들이 과거 삶의 경험에 기반 하여 그들이 왜 학교에 갈 수 없었는지, 어떻게 차별받았는지, 문맹으로 인해 어떻게 고통 받았는지를 성찰하고 사회의 책임을 묻는 비판적 문해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노력했다.
부락 아이들의 교육기회 보장과 학교에서의 차별 방지, 지역사회에서의 참여 증진 등을 위한 활동도 계획되었다. 많은 지역에서 부락출신 아이들의 자발적 조직들이 결성되어 지역사회에 부락문제를 널리 알리고 정부의 정책변화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학교에서도 부락문제의 역사와 현실이 교과과정 내에 포함되었다. 1953년 지역사회에서 동화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국 동화교육자협회’의 창립 이후, 교사들은 부락해방센터나 부락사회와의 긴밀한 연계 하에 부락 아이들의 취학률증가, 학교시설 개선, 무료 교과서 제공, 부락문제와 역사를 교과과정 내에 통합시킨 교과과정의 개발, 교재 개발, 동화교육의 영역 확대 등을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동화교육에 참여했던 부락 아이들은 동화교육의 성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어렸을 땐 부모님이 그냥 밉기만 했어요. 하지만 부락해방운동에 참여하고 부모님이 얼마나 어려운 고통을 이겨내면서 나를 키웠는지 이해하게 되자 부모님을 사랑하게 되었죠.”
“출신을 숨기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었어요. 항상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볼까 불안해했죠. 이 운동에 참여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에요. 그래도 나의 존재를 숨기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일이죠.”
Ⅹ. 결론 및 제언
다른 교육과 달리 인권교육 분야에서는 평가가 발전돼 있지 않다. 점수로 계산할 수 없는 기술과 태도를 강조하는 면도 그렇지만 정규 교육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긴 안목에서 인권교육의 효과와 영향을 평가할 기회도 부족했다. 인권교육의 과정과 결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인권교육의 결과를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 인권교육의 정당화를 위해 평가 분야에 대한 관심이 고양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진섭(2002), 초등학교 인권교육 정책의 현황과 바람직한 실시방안 모색인천교육대학교
이수광, 학생 인권 신장 방안 연구, 교육학 박사
유네스코한국위원회(1999), 아시아의 인권교육, 사람생각, 인권총서⑤ - 호주·인도·홍콩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역(1995), 인권교육의 이론과 실제 - 학교에서의 실천적인 활동지침
임용수(1994), 인권의 교육학적 의의와 인권교육에 대한 고찰, 경희대교육문제연구소논문집
학교 인권교육 교육과정 구성반안에 관한 연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6.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