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반산업(음악산업)의 특성,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외국동향,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생산구조, 음반산업(음악산업)과 MP3, 음반산업(음악산업) 전망요인, 음반산업(음악산업) 문제점, 음반산업(음악산업) 정책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반산업(음악산업)의 특성,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외국동향,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생산구조, 음반산업(음악산업)과 MP3, 음반산업(음악산업) 전망요인, 음반산업(음악산업) 문제점, 음반산업(음악산업) 정책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음반산업(음악산업)의 특성
1. 사치재적 특성
2. 공공재적 특성

Ⅲ.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외국 동향
1. 아메리카
2. 유럽
3. 아시아
4. 라틴아메리카

Ⅳ.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생산 구조

Ⅴ. 음반산업(음악산업)과 MP3
1. 매디슨 프로젝트(Madison Project)
2. 대규모 ISP의 포탈사이트 서비스
3. SDMI 계획

Ⅵ.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전망 요인
1. 디지털 음악매체 등장
2. 인터넷사용자 수 증가

Ⅶ. 음반산업(음악산업)의 문제점

Ⅷ.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정책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물류측면에서도 음반순환주기의 협소성, 단기성, 비예측성 등으로 음반유통물량 파악이 어렵고 생산에서 재고까지 연결되는 생산량 조절과 재고관리를 불가능하게 만들며, 반품물량이 많아져 폐기처분 등으로 자원손실이 되고 있으며 물류비용도 상승하고 있어 이러한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상을 낳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이나 통신상으로 음반을 주문하여 구입하거나 MP3음악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등 디지털 음반유통의 형태가 급속히 성장하여 디지털유통관련 이해당사자간 갈등이 야기되고 있으며, 불법다운로드 등으로 기존 음반시장 매출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COMPILATION음반으로 인한 제살 깎기식의 제작은 음반 시장 전체를 고사시키는 주원인으로 MP3 불법다운로드 문제와 함께 음반업계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컴필레이션 음반은 69개사에서 397개를 출시하였다. 한편, 국내 음반업계의 해외진출은 중국의 한류 열풍을 불고 오며 지난 몇 년간의 투자가 이제 빛을 발하기 시작 하는 단계이다. 안재욱, N.R.G., 베이비복스, H.O.T. 등은 중국 최고 인기가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일본 음악보다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발을 맞춰 (재)문화산업지원센터는 일본에 이어 중국 북경에도 음악산업의 중국시장 진출 전진기지로 북경 사무소를 설치하고 있다.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해외음악산업 동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외국인이 선호하는 음반을 개발하여야 하나 우리나라는 해외유통망 구축이 되어있지 않고 댄스음악의 발달이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며, Music Source도 미흡한 상태로서 국내음반계가 해외진출을 위한 마인드를 새롭게 다져야한다.
이와 같은 실정에서 몇 개 업체의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를 통한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유사이래 우리의 대중음악이 중국에서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으나 한국 음반업체들의 중국진출에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함은 여전한 과제로 남아 있다. 문제는 중국 내 불법음반으로서 이는 양국 산업계와 정부차원에서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전문인력양성 측면에서는 고도의 기술과 마케팅능력 등을 겸비한 우수한 대중음악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나 기존 대학 등에서도 인기위주의 가수나 기악분야에 인력이 집중되어 있고, 교육방식도 실기보다 이론에 치중되어 있어 기획제작분야나 음향, 녹음엔지니어링, 뮤직비지니스분야 등은 음악산업현장에 투입할 인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우수인력확보를 위한 음악전문대학 설립 등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원 등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Ⅷ.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정책 방향
음악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첫째, 국내 대중음악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 시스템화가 필요하며 먼저 창조적 산업으로서 대중음악산업을 인식하여야 한다. 우수한 음악가의 발굴과 유능한 음반기획자와 녹음기술자가 양성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음악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기획력에 의존하는 음반산업을 지식집약도가 높은 벤처산업으로 육성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대중음악 관련자료도 소멸되기 전에 수집정리하여 음악관계자가 창작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둘째, 음반유통물류구조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우리의 음반유통시장은 메이저 직배사를 비롯한 일본의 음반유통사까지 진출해 있는 실정이다.
셋째, 창작의욕과 투자의욕 고취를 위해 음반제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불법음반유통을 근절하여야 한다. 이를 저해하고 음반 등 음악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불법복제음반이 근절될 수 있도록 정부나 민간이 모두 노력해나가야 한다.
넷째, 국내음반 해외진출을 적극 추진할 것이다. 경쟁력 있는 음반개발을 촉진하고 해외마케팅 및 홍보지원 등을 통해 국내음반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유도해 나갈 것이다.
다섯째, 새로운 디지털유통을 통한 음반시장의 확산을 도모하는 일이다. MP3는 초기 일부 음악 애호층들만 접근 가능한 시기에는 CD시장을 잠식할 가능성도 있으나 네트워크효과를 보이는 일정수준부터는 CD시장을 대체한다기보다는 CD의 존속 하에 음반시장 자체를 확대시킬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과감한 규제개혁 등 제도개선을 통해 우수음반 창작환경을 조성해 주고, 음반산업발전을 위한 연구원 설립 등도 장기적 과제로 추진해야 할 것이며, 세제, 금융지원책을 강구하여 국내 음반업계가 고도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경쟁력 있는 음반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도 역점을 둘 것이다.
Ⅸ. 결론
국내 음반산업은 1980년대 후반 이후 노래의 음반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영상산업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80년대 이전까지 성인 층이 주 음악소비층이었다면 1980년대 중반을 거쳐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젊은 층, 그 중에서도 10대가 가장 구매력을 지닌 소비 계층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음반제작사의 수도 크게 늘어나게 되었는데, 1971년에 13개에 불과하던 것이 비디오와 음반을 다같이 제작하는 제작사를 포함하여 142개로 늘어났다.
장르별 시대변천을 보면 1950년대는 트롯이 주류를 이룬 반면, 1960년대에는 트롯보다는 미국풍의 팝에 크게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20대 이후 성인취향의 팝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 소비층이 하향 추세를 보이면서 10대 위주의 댄스음악이 크게 성행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 음반시장의 판도는 주 소비층인 10대 취향의 음악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장르 역시 특정 계층위주로 개발됨으로써 향후 국내 음반시장의 성장에 적지 않은 장애 요인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관광부(2004), 문화산업백서
삼성경제연구소, 국내 음반산업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보고서
신현준 외(2002), 글로벌, 로컬 한국의 음악 산업, 한나래
조태종(2002), 온라인 음악산업의 현황과 전망, 소프트뱅크리서치, IT Brief
편집부(2006), 음악산업백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SERI(2003), 국내 음반산업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7.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